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부. 가드닝의 이해
1. 가드닝의 이해 · 13 1-1. 가드닝의 뜻과 범위 · 13 1-2. 용도별 정원 · 14 1-3. 정원의 유형 · 15 2부. 정원식물과 식물 외 재료 2. 정원식물 · 19 2-1. 정원수 · 19 2-2. 초화 · 23 2-3. 잔디 · 28 2-4. 특성별 정원식물 · 29 3. 정원의 식물 외 재료 · 32 3-1. 정원 공간 구성재료 · 33 3-2. 정원 공간 내 식물 외 재료 · 36 3-3. 기타 정원의 부속 시설 · 37 3부. 정원디자인 4. 정원의 양식 · 43 4-1. 정원의 발달 과정 · 43 4-2. 정원의 양식 · 49 5. 정원의 기능과 공간 · 55 5-1. 정원의 기능 · 55 5-2. 정원의 용도별 공간 · 56 6. 정원디자인 요소와 원리 · 58 6-1 정원디자인 요소 · 58 6-2 정원디자인 원리 · 60 6-3. 정원디자인 기법 · 63 7. 정원디자인 과정 · 65 7-1. 사전 협의 · 65 7-2. 정원 부지 조사 · 66 7-3. 정원의 기본 디자인 · 68 7-4. 정원의 구조물, 시설물 디자인 · 73 7-5. 정원의 식재 디자인 · 75 7-6. 정원의 가구, 장식물, 조명, 음향기기 디자인 · 82 7-7. 정원디자인 도면 작성 · 83 4부. 정원 조성 8. 정원 기반 조성 · 91 8-1. 현장 확인, 시공 준비, 시공 재료 구매 및 현장 반입 · 91 8-2. 부지정리, 정지작업, 식재토양 개선 · 92 8-3. 지하의 급배수·관수·전기 시설 설치 · 94 8-4. 구조물 및 시설물 설치, 식재공간 조성 · 95 9. 정원식물 식재 · 98 9-1. 식재 전 토양 준비 · 98 9-2. 정원식물 구매 · 99 9-3. 정원수 식재 · 100 9-4. 초화 식재 · 104 9-5. 잔디 식재 · 107 9-6. 화분 식재 · 110 10. 작업 현장 정리 및 정원가구, 장식물 배치 · 112 10-1. 작업 현장 정리 · 112 10-2. 정원 가구, 장식물, 정원 조명, 음향기기 배치 · 112 5부. 정원 관리 11. 유기적 정원 관리 · 117 11-1. 정원 관리 복장, 도구, 정원 창고, 퇴비장 · 118 11-2. 유기적 토양 관리 · 119 11-3. 유기적 병충해 관리 · 123 11-4. 유기적 재배 환경 관리 · 129 12. 관수 · 132 12-1. 관수 시설 및 장치 · 132 12-2. 관수 방법 · 134 12-3. 관수 시점, 관수 빈도, 관수량 · 136 12-4. 수질 · 140 13. 제초 및 잡초 방제 · 142 13-1. 정원수와 초화 식재공간 제초 · 142 13-2. 잔디 공간 제초 · 146 13-3. 비식재공간 제초 · 148 14. 토양 및 비배 관리 · 150 14-1. 정원 토양의 물리적 특성 관리 · 150 14-2. 정원 토양의 화학적 특성 관리 · 152 15. 병충해 및 유해동물 관리 · 161 15-1. 병충해 진단 · 162 15-2. 병충해 방제 · 165 15-3. 정원의 유해동물 관리 · 174 16. 정원수 관리 · 178 16-1. 관수, 시비, 병충해 관리 · 178 16-2. 정원수 굴취와 이식 · 178 16-3. 정원수 전정 · 178 17. 초화 관리 · 187 17-1. 관수, 제초, 토양 및 비배 관리, 병충해 방제, 월동 관리 · 187 17-2. 초화 식재공간 가장자리 자르기 · 188 17-3. 초화 솎기 · 188 17-4. 초화 전정 · 190 17-5. 시들거나 죽은 식물체 제거 · 192 17-6. 초화 식재 · 194 17-7. 지주 세우기 · 195 17-8. 종실 제거 및 종자 채취 · 197 17-9. 구근 초화 관리 · 198 18. 잔디 관리 · 200 18-1. 관수, 제초 및 잡초 방제, 병충해 및 유해동물 관리 · 200 18-2. 잔디 깎기 · 201 18-3. 잔디밭 가장자리 자르기 · 202 18-4. 잔디 비료 주기 · 203 18-5. 잔디밭 통기 작업 및 낙엽 치우기 · 204 18-6. 제초 후 빈 잔디 공간 보식하기 · 205 19. 키친가든 관리 · 207 19-1. 키친가든 디자인 · 207 19-2. 키친가든 식재 디자인 · 208 19-3. 키친가든 식재 및 관리 · 214 19-4. 키친가든 식물 수확 · 216 19-5. 키친가든 파티 · 217 20. 정원식물 번식 · 218 20-1. 종자번식 · 218 20-2. 꺾꽂이 · 219 20-3. 포기 나누기 · 221 20-4. 휘묻이 · 223 20-5. 접붙이기 · 224 21. 정원식물 월동 관리 · 228 21-1. 정원수의 월동 관리 · 228 21-2. 초화의 월동 관리 · 230 21-3. 낙엽 치우기 · 231 21-4. 눈 치우기 · 232 22. 정원의 구조물, 시설물, 가구, 장식물 등 관리 · 234 22-1. 정원의 바닥, 벽, 천정 관리 · 234 22-2. 정원의 가구, 장식무 등 관리 · 236 22-3. 온실, 정원 창고, 퇴비장 관리 · 237 22-4. 전기·수도·펌프·관수 및 배수 시설 관리 · 238 6부. 정원 산업 23. 정원 산업 · 243 23-1. 전문 정원과 정원 카페 · 244 23-2. 정원식물 및 정원용품 생산 · 246 23-3. 가든센터, 가드닝숍, 화원 · 246 23-4. 정원디자인, 시공, 관리업 · 248 23-5. 정원박람회, 전시, 경연대회 · 248 23-6. 정원 교육, 잡지, TV 프로그램, 정원 여행, 관련 협회 · 249 |
책을 읽다보면 방대한 구성에 감탄하면서도 ‘두더지와 고양이 대처법’까지 적어놓은 디테일에 감동할 수 밖에 없다.
체계를 잡기 위해 전체를 정리하니 내용이 방대해져서 책 한권으로 끝내기 어려웠다는 손 교수는 “이 책을 일반인과 전문 가드너가 되고자 하는 초보 가드너들의 입문서로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정원의 양식과 기능에 대한 기본 이해부터 정원디자인 과정, 시공방법이 수록돼 있다. 그 보다 많은 분량을 할애해 5장에서는 ‘정원관리’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해당 섹션 제목을 살펴보면 끝판왕임을 느낄 수 있다. ▲유기적 정원관리 ▲관수 ▲제초 및 잡초 방제 ▲토양 및 비배 관리 ▲병충해 및 유해동물 관리 ▲정원수 관리 ▲초화 관리 ▲잔디 관리 ▲키친가든 관리 ▲정원식물 번식 ▲정원식물 월동 관리 ▲정원의 구조물, 시설물, 가구, 장식물 등 관리 등 총12개 섹션으로 구성돼 있다. 저자는 33년간 가드닝 전공 교수로 강의해오면서 이 책의 집필을 시작하고 목차를 정립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흘렀다고 말한다. 가드닝은 그만큼 범위가 넓거니와, 정원을 만들기 위한 디자인과 시공, 다양한 용도의 정원 가꾸기 위한 관리 작업들, 그리고 가드닝 중심에 있는 수많은 정원식물에 대한 이해는 실제 정원에서 경험 없이는 설명하기 쉽지 않다는 때문이라는 뜻이다. 정원을 시작하면서 막막하거나 감이 잡히지 않는다면, 무엇보다 정원의 다양한 역할을 폭넓게 이해하고 싶은 경우라면 반드시 이 책을 곁에 둘 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