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Ⅰ. 한글 맞춤법 해설
제1장 총칙 제2장 자모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1절 된소리 제2절 구개음화 제3절 ‘ㄷ’ 소리 받침 제4절 모음 제5절 두음 법칙 제6절 겹쳐 나는 소리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1절 체언과 조사 제2절 어간과 어미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5절 준말 제5장 띄어쓰기 제1절 조사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3절 보조 용언 제4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제6장 그 밖의 것 Ⅱ. 표준어 규정 해설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1장 총칙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자음 제2절 모음 제3절 준말 제4절 단수 표준어 제5절 복수 표준어 제3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1절 고어 제2절 한자어 제3절 방언 제4절 단수 표준어 제5절 복수 표준어 [붙임] 새로 추가된 표제어 목록 제2부 표준 발음법 제1장 총칙 제2장 자음과 모음 제3장 음의 길이 제4장 받침의 발음 제5장 음의 동화 제6장 경음화 제7장 음의 첨가 |
국립국어원의 다른 상품
이 책은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에 대해 국립국어원 해설 도서이다.
▶ 한글 맞춤법 해설한글 맞춤법 해설은 한국어의 표기 원칙과 사용 규칙을 상세히 정의한 규범 체계입니다. 먼저 총칙에서는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칙과 규정의 목적을 제시합니다. 자모와 관련된 부분은 한글의 자모 체계와 소리의 조화를 다뤄, 자모의 적절한 사용을 설명합니다. 소리에 관한 장에서는 된소리, 구개음화, ‘ㄷ’ 소리 받침 등 한국어 소리의 규칙성을 기술하며, 두음 법칙 및 겹쳐 나는 소리 등 특수한 소리 환경도 다룹니다. 형태에 관한 장에서는 체언과 조사, 어간과 어미 등 문법적 요소의 사용 규칙을 명시하고, 접미사 및 접두사 사용 원칙과 준말에 대한 지침도 포함합니다. 마지막으로 띄어쓰기에 관한 규정에서는 조사, 의존 명사, 열거 등의 사용과 관련된 세부적인 띄어쓰기 규칙을 제공하며, 고유 명사와 전문 용어 띄어쓰기의 예외 사항까지 포함합니다. 이 모든 내용을 통해 한글 맞춤법은 한국어 표기의 체계적이고 일관된 기준을 제시합니다. ▶ 표준어 규정 해설표준어 규정은 한국어의 표준화에 기초가 되는 규범입니다. 제1부에서는 표준어 사정 원칙을 중심으로 한국어 표준어를 정하는 기준을 설명합니다. 총칙에서는 표준어의 정의와 목적, 그리고 적용 범위를 기술합니다.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에서는 자음, 모음, 준말, 단수 및 복수 표준어를 다루며, 발음상의 변화가 언어 규정에 반영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또한, 어휘 선택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에서는 고어, 한자어, 방언을 중심으로 어휘 사용의 흐름과 변화에 따른 적용 사례를 설명합니다. 특히 단수 표준어와 복수 표준어의 경계를 명확히 하여 불필요한 혼란을 줄이고 있습니다. 새로 추가된 표제어 목록을 통해 언어 사용 실태를 반영, 시대의 흐름에 알맞은 규정을 제시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대 간 언어 사용의 단절을 해소하고 있습니다. ▶ 표준 발음법표준 발음법은 한국어의 발음을 표준화하기 위해 마련된 규정으로, 총칙부터 자음과 모음 발음, 음의 장단, 동화 현상 등에 이르는 발음 규칙을 제시합니다. 총칙에서는 표준 발음법의 목적과 대원칙을 설명하고, 자음과 모음 발음의 구체적 규칙은 각각의 자·모음이 어떻게 발음되어야 하는지 정의합니다. 음의 길이는 한국어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로, 음절 길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는 사례를 알려줍니다. 또한, 받침 발음과 경음화, 음의 동화 및 첨가 등은 한국어 발음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방식을 반영하여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표준 발음법은 한국어 발음을 일관되게 하고 효과적 의사소통을 돕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규칙은 단순히 학문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실제 대화에서 발음을 정확하게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침 역할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