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_피스(peace)올레를 시작하는 길, 서귀포 ·121부 혼자 걷는 길에서 가장 뜨거웠다검은 돌을 나는 사랑했네 · 29한라산 꼭대기에 머리 풀고 누운 할망이여 · 41서귀포에서만 보이는 별, 노인성 · 50삼백십억 광년 전 별을 불러낸 남자 · 62현영자 여사가 뿌린 복의 열매 · 67나를 보듯 꽃을 보는 이 그대여 · 80바람과 구름과 별들이 함께하는 관광극장 · 90푸른 운동장을 가진 학교 · 95공원은 자연으로의 가장 빠른 탈출 · 1042부 대서양 땅끝에서 잇츠 서귀포를 외치다몽상가를 위해 존재하는 구름 · 117우리 마음을 밝혀주는 서귀포 귤꽃 향기 · 126대서양 땅끝에서 “잇츠 서귀포!”를 외치다 · 133섬 속에서 또 다른 섬이었던 남자 · 146습기,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 152이토록 근사한 정원이 다 내 것이라니요 · 158너무 아름다워서 더 슬픈 · 1663부 잘못된 길은 없다지치면 지고 미치면 이긴다 · 183나비를 따라가다 나비가 된 사람 · 196제주 이발소집 아들이 만드는 노래 이야기 · 202서귀포를 아시나요 · 210돌아온 한라꽃방 딸들 · 218전생에 탐라인이었다는 크리스티나와 팔백 살 호야 · 229땅에 엎드려 꽃을 피우는 남자 · 239번번이 무언가에 빠졌던 계집아이 · 2464부 서귀포에서 무산까지 걸어서 가자물의 도시가 선물한 숨겨진 정원 · 259스스로 치유되는 행복한 병원, 길 · 273서귀포판 세월호 ‘남영호’를 아시나요 · 285시린 눈물이 절절 고이는 서귀포항 · 292함경도를, 그곳 무산을 아시나요 · 303
|
서명숙의 다른 상품
Ji Hyun, Park,제주유딧
박지현의 다른 상품
제주올레 개척한 서명숙의 ‘서귀포 재발견’비경에 숨겨진 아픈 역사, 생태공원이 들려주는 새로운 길 이야기 치유의 올레길에서 부모님 남북 고향을 잇는 ‘피스올레’ 시작하다 제주올레길로 걷기 열풍을 일으킨 서명숙이 고향 서귀포를 매일 걸으며 우리가 몰랐던 서귀포의 신비와 아름다움, 그 속에 가려진 아픈 역사를 조명한 책 『서귀포를 아시나요』를 펴냈다.서명숙은 그동안 『놀멍 쉬멍 걸으멍 제주올레여행』 『꼬닥꼬닥 걸어가는 이 길처럼』 등 주로 제주의 길과 문화를 탐색했다면 이번엔 오롯이 자신이 나고 자란 서귀포의 길을 걸으며 색다른 풍경, 생태, 사람, 역사에 천착했다. 이 책은 마치 유적지의 보물을 찾아 걸어 들어가는 사람처럼 페이지마다 흥미롭고 새로운 서귀포 이야기를 독자들에게 안겨준다. 서귀포에서만 보이는 무병장수의 별 노인성, 서귀포에서 보면 다른 모습인 한라산 설문대할망, 생태적으로 잘 보존된 다섯 개의 도심공원 등 저자가 걸음걸음 찾고 보고 발견한 풍경이 한 폭의 수채화처럼 펼쳐진다. 서명숙은 터키 이스탄불과 프랑스 프로방스 못지않은 중층적 매력을 지닌 서귀포라는 소도시에 켜켜이 쌓인 역사의 지층도 들춰내 환기해준다. 서복공원 절벽에서 스러진 4·3 희생자들, 일제강점기 강제노동에 시달린 제주 삼촌들을 떠올리게 하는 공간을 걷고 또 걸으며 아름다운 풍경 이면의 슬픔을 실감하기도 했다. 특히 2020년이면 50주기를 맞는 서귀포판 세월호 ‘남영호 사건’의 악몽을 희생자 가족의 증언으로 생생하게 소환하며 우리가 왜 아픈 역사를 기억해야 하는지를 다시 한번 묻는다. 서귀포에서 함경도 무산까지 ‘피스올레’를 시작하다!서명숙이 제주에서 시작한 길은 규슈올레, 몽골올레, 스위스올레까지 뻗어나가고 있다. 그리고 이제는 백두산 자락, 두만강변에 있는 도시로 향한다. 어머니의 고향 서귀포에서 아버지의 고향 무산까지 남북을 잇는 피스(peace)올레를 내고 그 길을 사람들과 같이 걷고 싶다는 꿈을 담아 그 첫걸음을 『서귀포를 아시나요』에서 시작한다. 스페인 산티아고 길의 종점이자 상징 도시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서 열린 월드트레일즈컨퍼런스에서 서명숙은 월드트레일즈네트워크(WTN) 첫 명예홍보대사를 수락하는 연설을 하며 ‘피스올레’를 주창해 세계 참가자들의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서로 무기를 버리고 걷는 길이야말로 서로를 이해하고 교류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요 평화를 정착시키는 유일한 방법이다. 언젠가 나는 두 사람의 딸로서 아시아트레일즈네트워크 의장, 월드트레일즈네트워크 홍보대사로서 어머니 고향 서귀포에서 아버지 고향 무산까지 남북을 잇는 피스올레를 내고, 그 길을 여러분과 같이 걷고 싶다. 여러분도 부디 그 길이 열리기를 도와주고 응원해달라. 그리고 그 길이 열리는 날 같이 함께 걸어가달라.”- 본문(313-314쪽) 중에서‘제주 스피릿’ 설문대할망, 무병장수의 별 ‘노인성’제주의 신화이자 제주 사람들의 대화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주인공 설문대할망. 서귀포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한라산 정상부 모습은 ‘할망이 머리 풀고 누운 모습’이다. 서명숙은 사람들의 입과 입을 통해서, 시대와 시대를 이어 전승되면서, 무수히 변형되고 숱한 버전으로 재생되고 제주인의 일상에서 날마다 살아 움직이고 있는 설문대할망 이야기를 서귀포에서 바라본 버전으로 풀어내고 있다. 이 책에서 서명숙은 서귀포에서만 볼 수 있다는 무병장수를 상징하는 신비의 별, ‘노인성老人星’을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310억 광년 전에 우주에서 쏘아 올린 별을 볼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설레는 일인데, 아직 많은 사람이 모르고 있다는 안타까움에서다. 조선시대 제주의 12경 중 하나로 꼽혔던 ‘서진노성’을 비롯한 전통문화가 서귀포의 아름다운 바다, 하늘, 별의 항연 속에서 되살아나고 있는 풍경을 소개한다. 서귀포를 파라다이스로 만들어주는 5개 생태공원서명숙이 가장 애정을 기울여 탐색한 곳이 서귀포의 생태공원이다. 서귀포에는 규모로나 경관으로나 세계적으로 유명한 외국 도심공원 못지않은 공원들이 바다를 따라 도시 곳곳에서 사람들을 반겨준다. 계절마다 다른 모습으로 사람들을 반겨주는 서귀포 공원들은 시민들이 함께 누려야 할 공공자산으로서 올레길 못지않게 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것이 서명숙의 지론이다. 자구리 바다를 품고 있는 자구리공원, 울창한 난대림에 둘러싸인 정방폭포의 발원지 정모시공원, 시민들을 위한 야외 행사가 종종 열리는 서귀포칠십리시공원, 자연스러운 하천이 흐르고 자연이 만들어낸 암반과 언덕이 존재하는 걸매생태공원, 대륙을 호령했던 진시황이 이곳에 온다 해도 감탄할 만한 풍경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서복불로초공원. 『서귀포를 아시나요』는 아름다운 바닷가와 멋진 폭포와 공원이 한데 어우러져 마치 파라다이스 그 자체인 서귀포의 공원들의 절경을 마치 서명숙과 실제로 함께 걷는 것처럼 생생하게 펼쳐주고 있다. 미국 뉴욕 센트럴파크나 캐나다 밴쿠버 스탠리공원보다 자연생태가 살아 있는 서귀포 5개 공원의 진가를 발견하는 것만으로도 이 책을 읽는 즐거움은 충분하다.묻혀서는 안 될 서귀포판 세월호 ‘남영호’, 재조명 필요길을 걷다가 문득 마주치는 아름다운 풍경 중에는 너무 아름다워서 더 슬픈 사연을 간직한 것들이 있다. 지금은 평화로이 유람선이 지나가는 서귀포항이 그렇다. 1970년 12월 14일 338명의 승객과 543톤의 화물을 싣고 제주 서귀포항에서 출발해 성산포항을 거쳐 부산항으로 향하던 남영호가 15일 새벽 여수 소리도 앞바다에서 침몰했다. 건국 이래 해상참사 중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낸 이 사고로 323명이 사망하고 겨우 15명만 구조되었다. 세월호 사고를 연상시키는 ‘남영호 사고’는 그러나 잘 알려지지 않은 일이다. 당시 가족을 잃은 사람들은 물론이고 학교에서, 마을에서 이들과 함께 아픔을 나눈 서귀포 사람들에게 이 사고는 오랜 세월이 지나도 잊히지 않고 지금까지도 현재진행형이다. 아직까지 정확한 탑승자 확인이나 희생자 보상, 위령사업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 서귀포항에 남영호 추모비가 하루빨리 세워져야 하는 이유다. 길이 사람을 바꾸고 인생을 바꾸고 세상을 바꾼다대한민국 여성 정치부 기자 1세대, 시사주간지 사상 첫 여성 편집장, 이런 수식어만으로도 얼마나 숨가쁜 삶을 이어왔을지 짐작이 되는 서명숙. 오랜 언론인 생활을 접고 떠난 산티아고 순례길에서 문득 고향으로 돌아가 이런 길을 내야겠다고 결심하고, 실행에 옮긴 그녀는 걷기가 고난의 행군이 아니라 즐거운 축제가 될 수도 있음을 제주올레로 증명해냈다. 『서귀포를 아시나요』는 서귀포에서 나고 자랐으나 오랫동안 떠나 있다가 돌아온 뒤 서귀포에 대해 보고 듣고 알게 된 이야기를, 서귀포를 걸으면서 스스로도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인생의 길을 찾게 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서명숙은 “잘못된 길은 없다. 지금 그 길로 계속 가라!”고 말한다. 이 세상에 잘못된 길은 없고, 누군가에게는 길은 치유이고 희망이며, 누군가는 그 길에서 꿈을 꾸기 때문이다. 길이란 무엇인지, 길이 어떻게 사람을 바꾸고 인생을 바꾸고 세상을 바꾸는지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