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한스 큉, 과학을 말하다
양장
분도출판사 2011.07.12.
베스트
천주교 top20 2주
가격
23,000
10 20,700
YES포인트?
230원 (1%)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프롤로그 빛이 생겨라!

제1부 모든 것을 통합하는 하나의 이론?
1. 실재의 수수께끼
2. ‘시초’의 물리학
3. 무엇이 세계를 가장 깊은 곳에서 결속하는가?
4. 수학의 근거에 관한 논쟁
5. 실증주의만으로는 부족하다
6. 실재의 불확실성
7. 자연과학과 신학: 상이한 관점

제2부 시초로서의 신?
1. 시초 중의 시초를 묻는다
2. 자연과학은 종교 비판으로 차단되었는가?
3. 자연상수는 어디서 왔는가?
4. 우주의 정밀 조정에 대한 반응
5. 왜 무無는 존재하지 않는가?

제3부 창조냐 진화냐?
1. 생성의 시초
2. 신학의 저항
3. 신 없이? 신과 함께?
4. 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5. 성경과 창조
6. 궁극적 기원에 대한 신앙적 증거

제4부 생명의 기원
1. 생명은 언제부터 존재했는가?
2. 생명은 어떻게 생겨났는가?
3. 우연인가 필연인가?
4. 생명친화적 우주는 왜 하나뿐인가?
5. 기적
6. 신의 활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제5부 인류의 기원
1. 인간 신체의 발달
2. 인간 정신의 발달
3. 뇌와 정신
4. 뇌 연구의 한계
5. 인간 윤리의 기원

에필로그 만물의 종말
1. 종말에 대한 물리학적 가설
2. 종말에 대한 묵시록적 환시
3. 성서적 환시의 의미
4. 빛으로의 죽음

저자 소개1

Hans Kung

현존하는 종교계의 최고 지성이라 불리는 한스 큉은 1928년 스위스에서 태어났다. 로마 교황청 그레고리오 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한 뒤 1954년 가톨릭 사제로 서품을 받았다. 파리의 소르본 대학교와 가톨릭 대학교에서 학업을 계속하여 1957년 신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1959년까지 스위스 루체른에서 사목 활동을 하다가 1960년 독일 튀빙겐 대학교의 가톨릭 신학 교수가 되었다. 1962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학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으나, 1979년 가톨릭교회의 전통 교리에 대한 비판이 파문을 일으켜 바티칸으로부터 신학 교수직을 박탈당했으며 이 일은 국제적 논쟁
현존하는 종교계의 최고 지성이라 불리는 한스 큉은 1928년 스위스에서 태어났다. 로마 교황청 그레고리오 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한 뒤 1954년 가톨릭 사제로 서품을 받았다. 파리의 소르본 대학교와 가톨릭 대학교에서 학업을 계속하여 1957년 신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1959년까지 스위스 루체른에서 사목 활동을 하다가 1960년 독일 튀빙겐 대학교의 가톨릭 신학 교수가 되었다. 1962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학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으나, 1979년 가톨릭교회의 전통 교리에 대한 비판이 파문을 일으켜 바티칸으로부터 신학 교수직을 박탈당했으며 이 일은 국제적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이후 튀빙겐 대학교는 그를 신학 교수직이 아닌 개인적인 교회일치 신학 교수직에 임명하였다. 세계종교인평화회의 의장을 역임하였으며, 1968~1989년에는 뉴욕 유니언 신학대학을 시작으로 바젤?시카고?미시간?토론토?라이스 대학교의 초빙 교수를 역임했고,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포함한 전 세계 15개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난 수십 년간 그의 저술과 강연들은 가톨릭의 영역을 뛰어넘어 세계 신학계 전반에 강력한 도전이 되었다. 2021년 4월 6일 독일 튀빙겐의 자택에서 선종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그의 저술과 강연은 가톨릭 신학의 영역을 뛰어넘어 세계 신학계 전반에 큰 도전이었다. 우리말로 번역된 그의 저서로는 『그리스도교』 『왜 그리스도인인가』 『교회란 무엇인가』 『신은 존재하는가』 『문학과 종교』 『중국 종교와 그리스도교』 『세속 안에서의 자유』 『세계 윤리 구상』 『믿나이다』 『한스 큉, 과학을 말하다』 『그리스도교 여성사』등이 있다.

한스 큉의 다른 상품

역자 : 서명옥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기초신학 전공으로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예수의 특이성: 정당한 혼합주의는 존재하는가?」 「예수 그리스도: 역사 안에서의 절대자? 한 역사적 실재의 보편적 의미에 대한 물음」 등의 논문을 썼고, 『성서에서 만난 변화의 표징들』 『올해 만날 50천사』 『50가지 성탄 축제 이야기』등을 분도출판사에서 옮겨 펴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11년 07월 12일
쪽수, 무게, 크기
304쪽 | 584g | 150*225*30mm
ISBN13
9788941911098

책 속으로

우주와 인간의 진화에 관한 온갖 다양한 관점에도 불구하고, 자연과학과 종교 간의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하나의 새로운 공통점으로 극복하는 것은 정녕 근대에서 근대 이후로 이행할 즈음 꾸었던 백일몽에 불과한 것이었을까? --- p.15

1613년 베네딕도회 수도승 카스텔리에게 보낸 편지에서 갈릴레이는 성경과 자연과학적 지식의 관계에 대해 언급한다: 자연과학적 지식이 확고부동하고 성경 말씀에 모순된다면 성경을 새롭게 해석해야 옳지 않겠는가! --- p.23

세계의 시초와 관련하여, 빅뱅과 세계 모형과 우주론에 대해 (자연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유대인·그리스도인·무슬림과 기타 수많은 사람이 구약성경에 따라 거듭 고백하는 우주의 창조자 하느님에 대해 (신학적으로) 공공연히 논의하는 것이 오늘날 어떤 의미가 있을까?

--- p.174

출판사 리뷰

왜 천지간에 존재자는 있고 무는 없는가?
만물의 시초에 대관절 무슨 일이 있었는가?

만물의 시초를 둘러싼 갈등과 소통의 드라마


한스 큉이 마침내 물질과 생명과 인류와 인간 정신의 기원에 대해 입을 열었다. 그는 이 시대 가장 도발적 신학자다. 우주 만물의 근원과 정면대결하면서, 그는 신학과 종교의 견고한 담벼락을 과감히 부수고 나와 물리학·수학·생물학·뇌 과학·고고학·인류학의 아성을 유유자적하게 넘나든다. 그러면서도 자기 정체성의 뿌리는 철학과 신학의 심연에서 중심을 잃지 않고, 과학과 종교의 올바른 관계 정립과 소통을 늘 새롭게 시도한다. 놀라운 것은 그가 빨아들인 정보의 방대함이 아니라, 그것을 토대로 쌓아 올린 비판적·통합적 사유 체계의 고유함이다.

신이 가설이 아니라 실재라는 사실은 과학적 증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직 이성적 신뢰 속에서만 긍정될 수 있다고 한스 큉은 주장한다.

그는 우주론의 근본 문제에 성경이 답을 내린다고 진심으로 믿지 않으며, 인간의 모습을 한 신이, 그것도 세상을 ‘엿새 만에’ 창조했다는 성경의 믿음을 고수하지도 않는다. 그럼에도 성경을 진실로 받아들이고 싶어 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과학자들에게는, 계몽된 이성이 우리를 오도한 적은 없었는지, 이성이 복된 진보와 동시에 살인 기계도 만들어 내지 않았는지, 삶의 자연적 기반을 파괴하지 않았는지 따져 물으며, 사물을 대함에 있어 자연과학적 시각과는 다른 또 하나의 시각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한스 큉, 과학을 말하다』는 종교적 신심도, 우주적 신심도 강요하지 않는다. 다만 과학자들은 종교를 통해 도전과 자극을 받고, 신학자와 믿는 이들은 물리학과 생물학의 찬연한 성과들이 세계와 생명과 인간의 기원에 새로운 빛을 던져 주었음을 기억하기 바란다. 또한 그 빛이 시대에 걸맞게 이해된 성경의 증언을 전혀 다른 방식으로 비추고, 석연히 해명된 철학과 신학을 겸손한 자의식으로 현대인에게 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정확하고 사실적인 지식은 사물을 이해하는 전제 조건임은 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큰 맥락을 파악하고, 전문 분야의 식견을 견지하면서도 전체를 놓치지 않으려면, 철학적·신학적 기초 지식이 필요하다. 이 책이 시류를 타는 과학적 주제들에 새로운 지식을 덧대기보다는, 차라리 과학의 근본 문제에 일관성 있고 신뢰할 만한 해답을 주었으면 하는 것이 한스 큉의 소망이다.

리뷰/한줄평1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20,700
1 20,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