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내향인의 육아, 아무도 알려주지 않던 이야기ㆍ141. 나는 내향적인 엄마입니다겁 없이 엄마가 되어서는ㆍ20내향적 인간 둘ㆍ26때로는 커튼을 친다ㆍ32‘홀몸’이 아니라는 것ㆍ40천국보다 낯선, 산후조리원ㆍ44엄마 되기만큼 어려운, 산모 되기ㆍ49어디서 왔을까. 에너지 넘치는 이 아이ㆍ55내향적인 엄마를 위한 육아법은 없다ㆍ62육아하다 쓰러진 이야기ㆍ71육아의 닻을 내리다ㆍ78모자라지도, 넘치지도 않는ㆍ812. 내향 엄마의 가정식 책육아편안하고 다정하게, 가정식 책육아ㆍ88문 닫고 책 덮고 시작한 책육아ㆍ91검색 품을 줄이는 ‘책과의 인연’ㆍ95‘책 흘려듣기’ 좋은 날ㆍ101책보다 먼저 아이를 읽으면ㆍ105선풍기가 전해준 것들ㆍ109은밀하게 부드럽게, 아이의 선택을 이끄는 넛지 책육아ㆍ113활동적인 아이의 책장에 필요한 것ㆍ118책이 많은 환경에서 자란 아이가 똑똑하다ㆍ123책육아는 거실 육아다ㆍ127책은 분위기다ㆍ131책의 물성 바꿔보기ㆍ136읽기 독립에 앞서ㆍ139기분이 핑계가 되지 않도록ㆍ144책의 바다와 휴식기ㆍ148아무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일ㆍ153수다쟁이는 못 되어서ㆍ158심심한 게 좋아ㆍ162사랑은 나의 힘ㆍ1683. 꼬마 과학자네 부엌 실험실과 아날로그 육아괜찮아요, 집 육아ㆍ180아이는 발산하고 엄마는 수렴한다ㆍ185부엌 실험실ㆍ189꼬마 과학자네 부엌엔 뭐가 있을까?ㆍ192살림도 아이의 놀이가 된다ㆍ207아날로그 육아, 진짜를 경험하게 하라ㆍ211스마트폰 없는 풍경ㆍ216‘그냥 두어도 잘 굴러가는 하루’ 만들기ㆍ220말이 필요 없는, 벽보 육아ㆍ227멀리 안 가는 동네 육아ㆍ231가족의 외출, 과학관과 박람회 가는 날ㆍ235새로운 경험에 대한 강박 버리기ㆍ239계절의 반복을 활용하는 아날로그 ‘계절 육아’ㆍ242내적 동기 키워주기ㆍ247아빠의 서두르지 않는 대화법ㆍ254아이가 삶을 사랑하면ㆍ2584. 내향 엄마로 나아가기힘을 빼요, 마음을 다해ㆍ264입학 전야ㆍ270불안의 온기ㆍ276플라뇌르처럼ㆍ279내면 아이 키우기ㆍ283개인의 육아ㆍ288자기 개발 VS 자기 계발ㆍ292내향적 미니멀 라이프ㆍ297공간의 힘ㆍ304나의 특기ㆍ310훈육보다 공감ㆍ314엄마 사람 친구에 관하여ㆍ318몸도 마음도 귀하게ㆍ324밤은 부드러워ㆍ331손 닿는 곳엔 늘ㆍ334자연이라는 위안ㆍ341외로움을 이로움으로ㆍ345에필로그. 나를 성장시킨 내향 육아ㆍ351추천의 글ㆍ356
|
이연진의 다른 상품
“모든 아이가 다르듯이 모든 엄마가 다르다!”SBS ‘영재발굴단’에 나온 꼬마 과학자를 키운 내향 엄마의 느리지만 세심한 집 육아 이야기! SBS ‘영재발굴단’에 출연한 다섯 살 꼬마 남자아이. 수십 대의 선풍기를 고사리 같은 손으로 야무지게 해부하고, 선풍기의 원리를 줄줄 읊는다. 아이가 과학 영재로 성장할 수 있었던 데에는 집에서 함께 실험하고, 함께 원인을 고민하고 연구한 엄마의 시간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저자가 서툴더라도 다정하게, 더디 가도 오래오래, 꾸준히 세심하게 아이의 관심사를 이끌어줄 수 있었던 비결은 뭘까. 책은 여느 유명하다는 육아 롤모델을 좇지 않고 자신의 성향을 이해하고 그 속도에 맞게 걸어간 덕분이라는 메시지를 던진다. 『내향 육아』는 내향적인 엄마 사람이 주변의 육아 열기 속에서 어떻게 중심을 지키고, 에너지 넘치는 아이와 어떻게 조화로운 관계와 삶을 일궈 나가는지를 보여주는 자기 고백서이다. 아이가 영재로 성장한 것은 덤, 진짜 전하고 싶은 이야기는 육아를 하고 있는 엄마들의 마음을 돌아봐야 한다는 작가의 경험담이자 똑같은 이유로 힘들어하는 엄마들에게 보내는 위안과 공감이다. 저자는 아이를 일곱 살이 될 때까지 가정 보육을 했다. 아이를 어린이집 보내지 않은 것은 아이가 원치 않아서이기도 했지만, 엄마 역시 아이와 떨어지는 것을 감당할 자신이 없어서였다. 공동 육아도 해보고, 문화센터도 다녀보고, 책육아를 한다는 인플루언서들도 만나보았다. 그런데 웬걸, 들리는 말이 많아 가만히 있어도 기가 쇠했고, ‘이래야 한다’고 강하게 얘기하는 육아서에 각성되어 불나방처럼 몸을 던지다가 서울역 한복판에서 과로로 쓰러지는 일까지 발생하고 만다. 그 사건 이후 저자는 육아서와 자기계발서를 책꽂이에서 솎아내고, 아이와 함께 집과 동네를 거닐며 책을 읽고 일상 속에서 소소한 기쁨과 배움을 채워나가기 시작했다. “내 육아에는 ‘내’가 좀 더 필요했다!”사교육 없이 아이와 함께하는 느리고 다정한 일상의 힘!가정식 책육아, 자연 육아, 동네 육아, 아날로그 육아 예찬기 모든 아이가 다르듯 모든 엄마도 다르다. 모두가 타고난 영역과 살아온 세월, 체력과 환경 등이 다르니 당연한 일이다. 에너지와 열정이 넘치는 외향적인 엄마가 아닌 보노보노처럼 느리고 감성적인 내향 엄마는 어떻게 아이를 키워야 하는 것일까? 혼자만의 시간이 산소만큼이나 많이 필요하고, 방전은 빠르고 충전은 늦다면 어떻게 더딘 육아의 시간을 보내야 하는 것일까? 내향적인 자신과 달리 에너지 넘치고 잠시도 가만히 있지 않는 아이의 하루를 어떻게 채워줘야 할까? 저자는 위의 질문을 자신의 일상을 통해 차분히 전한다. 학원식 책육아가 아닌 매일 책 읽어주기를 원칙으로 ‘아침에 1권, 오후에 2권, 자기 전에 3권’ 실천한 이야기, 부엌이 궁금한 아이를 부엌에 들여 물놀이며 각종 실험을 한 경험, 동네 선풍기 AS센터를 드나들며 명예 직원이 된 귀여운 사연, 매일 실천할 수 있는 적당한 계획을 세워 그냥 두어도 잘 굴러가는 학습 루틴 만들기, 작은 마당에서 사계절 자연을 맞이하는 기쁨 등을 통해 일상 속에서 아이의 지식을 어떻게 넓히고 호기심을 키워줄 수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들로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내향적인 엄마가 육아를 하면서 느낀 고민들, 에너지가 부족해서 아이에게 항상 미안했던 마음, 스스로를 위로하기 찾은 자신만의 지혜가 따뜻하게 담겨 있다.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는 부모들에게 이 책이 괜찮다고, 오늘도 잘 살았다고, 우리 모두 같은 시간을 지나고 있다고 어깨를 슬며시 토닥여 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