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08년 10월 1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32쪽 | 352g | 225*200*20mm |
ISBN13 | 9788974746360 |
ISBN10 | 8974746360 |
발행일 | 2008년 10월 1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32쪽 | 352g | 225*200*20mm |
ISBN13 | 9788974746360 |
ISBN10 | 8974746360 |
이 책을 읽는 아이들에게 이 책을 선택한 부모님과 선생님에게 1부. 이산화탄소와 지구 온난화 이산화탄소의 두 얼굴 산업 혁명 이후 지구 온난화가 시작되었어요 해가 갈수록 빠르게 증가하는 이산화탄소 지난 1000년 동안 지구의 온도 2부.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화 온실과 온실 효과 온실 효과는 온실 가스가 없으면 일어나지 않아요 지구는 태양 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 복사 에너지를 흡수해요 지구 온도의 비밀 대기에 있는 온실 가스의 양은 매우 적어요 지구 온난화와 수증기의 비밀 3부. 대기 온도와 지구 온난화 이카로스는 날개가 얼어서 추락했을 거예요 하늘 높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온도 지구 표면은 지구의 난로? 지구 온난화와 대기 온도의 변화 대류권과 성층권에서는 온도 변화가 달라요 대류권과 성층권에서 온도 변화가 다른 이유는? 4부.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 반복되는 것은 기후 변화가 아니에요 엘니뇨는 기후 변화가 아니에요 우리나라는 엘니뇨의 영향을 받지 않아요 하늘을 뒤덮고 있는 거대한 바람의 흐름 우리가 사는 중위도에서는 서풍이 불어요 지구 온난화는 여러 곳에 기후 변화를 일으켜요 지구 온난화가 되면 태풍은 많아질까? 5부. 지구의 미래와 지구 온난화 영화 ‘투모로우’에서 본 기후 변화 지구 온난화는 절대 이롭지 않아요 목포에서 자라는 귤, 서울에서는 자랄 수 없다고? 지구 온난화는 야생 식물, 곤충, 동물에게 큰 영향을 끼쳐요 사막화를 부르는 지구 온난화 가라앉고 있는 섬, 투발루 지구 온난화가 계속된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우리가 오염시킨 지구는 우리 후손의 지구이기도 해요 |
너무 재미나면서도 많이 생각하게 되는 책을 한권 읽었다. 난 이런 책이 참 좋다. 아이와 함께 읽을 수 있으면서도, 엄마인 내가 읽어서 이 책은 꼭 아이가 읽어야한다고 생각이 드는 책. 오랜만에 그런 책 한 권을 읽게 되었다.
<지구 온난화의 비밀> 사실, 얼마나 이 부분에 대해서 우리는 많이 알고 있는가? 한창 <지구대진화>류의 책들에 빠져있던 터라 그냥 그렇지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책은 너무 쉽게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
읽으면서 아~ 그래서 이렇구나를 계속 외치게 만든다. 큐빅의 한면이 계속해서 열리고 있는곳, 그 부분마다 무슨일인가가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큐빅엔 어른이 푸른 지구를 유모차에 탄 아이에게 전해주고 있다. 이 부분만으로도 지구는 후손에게 물려줘야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만든다.
이 책의 표지는 이렇게 이야기를 풀고 있다. 다 아는 내용아니야... 하고 생각했다면 이 책을 읽어야 한다.
대기학자인 허창회교수는 책 첫 머리에 세상엔 그냥 생겨난 것은 아무것도 없어요라고 말하고 있다. 참 다정다감한 선생님의 말투를 쓰고 있다. 거기에 책의 왼편은 이야기를 풀어주면서 오른쪽면은 그림과 손글씨로 편하게 다시한번 되짚어주는 자상함을 보여준다.
이 책은 5부로 나뉘어졌는데,
1부 이산화탄소와 지구 온난화 - 이산화탄소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고 이야기들을 한다. 그 이산화탄소이야기가 나온 장이다.
2부 온실효과와 지구온난화 - 하지만, 온난화는 온실효과때문에 만들어지는데, 그 온실효과는 이산화탄소보다는 수증기의 영향이 더 크단다. 그런데, 왜 이산화탄소를 온실효과의 주범이라고 할까의 대한 이야기가 나와있다.
3부 대기 온도와 지구 온난화 - 이카로스가 태양열때문에 밀랍이 녹아서 추락했을까? 허창회교수님은 다른 이야기를 하신다. 그리고 지구표면은 지구의 난로라고 하는데, 참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실려있다
4부 기후변화와 지구 온난화 - 기상과 기후의 차이를 알고 싶다면 반드시 읽어야 하는 장이다. 이 부분을 읽고서 아이에게 큰소리 칠수 있는 엄마가 되었으니까. 엘리뇨가 기후변화인지 아닌지, 지구 온난화가 되면 태풍이 일어나는지 아닌지
5부 지구의 미래와 지구 온난화 - 몇십년 후엔 서울에서 귤이 자랄꺼라는 이야기를 들었었다. 그부분에 대한 과학적인 이야기... 진짜 귤이 자랄 수 있을까? 그리고 영화 '투모로우'와 함께하는 기후변화 이야기
이 책을 읽고 나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대기학자의 친척쯤 된것 같은 착각이 든다. 너무나 상세하게 하지만 재미나게 이야기를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글밥이 적은편이 아니라 9살난 우리집 작은 아이에게 어떻게 읽혀줘야할지 고민은 되게 만들지만, 꼭 읽혀주고 싶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아름다운 지구를 어떻게 지켜가야 하는지, 허창회교수는 이야기하고 있다. 무자르듯 끊을 수는 없지만, 노력은 해야한다고. 노력을 해서 지구를 우리의 아이들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그래서 아이들에게 읽혀줘야한다. 그 노력은 나만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좋은 책 한권을 읽었다. 아이가 있는 부모라면, 그렇지 않아도 지구상에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읽어보길 권한다
온통 책 전체가 그림일기처럼 아주 정겹고 손으로 직접 쓴 듯한 착각이 드는 정성껏 필기한 노트같은 느낌이 들었다.
첫 표지의 노오란 겉장에 마치 찌뿌린듯 색연필로 회오리 바람처럼 낙서한 듯 그린 밑그림 부터,
정 육면체의 여러 면에 이 곳 저 곳에 지구 온난화와 관련된 기후, 분자식, 세계 지도,등
작은 지구를 유모차에 실린 아가에게 건내 주는 엄마의 상징적인 모습들까지.....
참으로 구석 구석 정성이 들어가 있는 이쁘고 소중한 책을 만났다.
저자 허창회 교수님은
서울 대학교 대기 과학과에서 1994년에 박사 학위를 받고,
1994-1997년 동안 미국 항공 우주국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에서 기후 모델링과 기후 변화를 연구.
현재 서울 대학교 지구 환경과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아이들이 대기 과학에 관심을 갖게 하고자 <지구의 마법사 공기>,<날씨를 바꾸는 요술쟁이 바람>을 썼다.
그리고,빼놓을 수 없는 각장에 상세히 필기한 공책처럼 특이한 구조로 그림을 그린 박재현님은
시각 디자인을 전공하고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
지금은 다양한 기법으로 어린이 책에 그림을 그리고 있다.
여러 작품과 더불어 애니메이션 공익광고 <독감마왕>등이 있다.
세상에서 그냥 생겨난 것은 아무것도 없어요.
라며 이 책을 읽는 아이들에게 마치 선생님처럼 아주 가까운 이웃집 아저씨처럼 설명해 주시던 교수님!
그런데 요즈음 지구가 잔뜩 찌푸린 얼굴을 하고 있어요.
그렇다면 지구 온난화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 있는 걸까요?
지금부터 아저씨와 함께 그 비밀을 풀어 보지 않을래요?
이렇게 시작하는 비밀을 풀어가는 과정들........
학교에서 강의를 들어도 이렇게 자세히 세세히 기초부터 찬찬히 들을 기회는 없을 정도로,
초등학생부터 어른 그 누구가 들어도 쉽게 쏙쏙 귀에 들어오도록 적혀진 글들!
지구 온난화는 우리가 생각하는 단순한 과정이 아닌
산업혁명 이후 200년 넘게 공기 중에 오염 물질 배출로 인해서 시작하게 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해가 갈수록 빠르게 증가하는 이산화 탄소로 인해서 점점 진행되고 있음도 함께........
가장 중요한 이 지구를 오래도록 후손에게 지켜 줄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을 마지막으로 올려드리고 싶다.
일상 생활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실천 방법이오니 우리 모두 함께 이제부터라도 실천에 들어가도록 해요!!!
지구 온난화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1.학용품,옷,신발 등 생활용품을 아껴 쓰고, 오래 쓰기.2.걷기, 자전거 이용하기.
3.버스, 지하철 등 대중 교통 이용하기.
4.패스트 푸드 덜 먹기.
5.과식하지 말기.
6.쓰레기 분리 수거를 열심히 하기.
7.일회용품 사용 자제하기.
8.비닐봉지 사용량 줄이기.
9.백열등을 형광등으로 바꾸고 에너지 절약형 전구 사용하기.
10.사용하지 않는 전등 끄기.
11.가전 제품 덜 사용하기.
12.에어컨과 히터 적게 틀기 (적정 온도에 맡춰 사용하기)
13.양치할 때 컵 이용하기.
14.겨울에 내복 입기.
15.컴퓨터나 tv를 너무 빨리 신제품으로 바꾸지 말기.
16.친환경 제품 사용하기.
17나무 심기, 화분, 정원 가꾸기.
18.가족, 친구, 이웃에게 환경의 중요성 알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