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09년 11월 01일 |
---|---|
쪽수, 무게, 크기 | 340쪽 | 755g | 153*224*30mm |
ISBN13 | 9788947527330 |
ISBN10 | 8947527335 |
발행일 | 2009년 11월 01일 |
---|---|
쪽수, 무게, 크기 | 340쪽 | 755g | 153*224*30mm |
ISBN13 | 9788947527330 |
ISBN10 | 8947527335 |
책머리에 “화폐는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쳐왔는가” 이 책을 옮기면서 “왜 인플레이션이라는 재앙이 찾아올까” Chapter 1 돌화폐의 섬 Chapter 2 화폐의 신비 화폐의 공급 화폐의 수요 공급과 수요의 조절 화폐 수량 방정식 화폐 수량의 변화 화폐 수요의 변화 결론 Chapter 3 1873년의 범죄 배경 무슨 일이 일어났었는가? 1873년의 화폐주조법의 결과 금·은 둘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좋았을까? Chapter 4 반사실적 실험 목적 단순한 추정치 16:1의 추정치 정교한 추정치 더욱 정교한 추정치 Chapter 5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과 청화법 브라이언의 후보 지명과 그 이후의 정치적 경력 금본위제의 승리 디플레이션과 청화법 디플레이션과 은 운동 16:1은 어처구니없는 생각이었나? 청화법과 브라이언의 정치적 쇠퇴 결론 Chapter 6 복본위주의의 재고 역사적 경험 복본위주의에 대한 학자들의 문헌 복본위제주의 주장자와 반대자 복본위제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 제안보다 우수한 개혁안들 실행상의 고려 사항들 은의 단본위주의냐, 금의 단본위주의냐 결론 Chapter 7 루스벨트의 은구매사업과 중국 은을 지지하는 압력 은에 대한 뉴딜 정책 미국 내에서의 효과 다른 나라에 끼친 영향 중국에 대한 효과 중국의 초인플레이션 결론 부록 중국의 은본위제 이탈에 대한 다른 해석 Chapter 8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처방 인플레이션의 직접적 원인 과도한 화폐발행의 원인은 무엇인가? 인플레이션에 의한 정부수입 인플레이션에 대한 처방 처방의 부작용 부작용의 완화 물가안정을 위한 제도 개혁 사례 연구 결론 Chapter 9 칠레와 이스라엘: 동일한 정책, 반대의 결과 칠레 이스라엘 환율조치가 신뢰할 수 없는 정책인 이유는 무엇인가? Chapter 10 불환지폐 세계에서의 금융정책 에필로그 “화폐, 광범위하고 예기치 못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 참고 문헌 주 찾아보기 |
루즈벨트의 은구매사업과 중국
중국의 초인플레이션
일본의 중국 침략은 국민당 정부로 하여금 광적인 무기 구매를 서두르게 했는데, 그 재원은 주로 화폐 발생을 통하여 마련되엇다.
일본의 항복 이후, 초기 전망은 순탄하게 보였다. 국민당과 공산당간에 휴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투쟁의 주요 목적이 국내의 권력을 장악하는 것이었을 때 어느쪽도 진실로 통일전선에 관심을 주지 않았다. ... 무장충돌이 점차 심해졌고, 1947년 말에는 내전이 다시 시작되었다. 수천 마일의 전선에 걸친 거대한 전쟁이었다. 1948년 말 그들은 수초우 근처의 화이강의 평원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1949년 1월 국민당 사령관 두 유밍 장군은 잔여 국민당군의 정예부대와 함께 항복했다. 2월에 장개석은 사임했고 약 3백만 온스에 달하는 마지막 금보유량을 가지고 타이완으로 도망졌다(Greenwood and Wood 1977b pp.33, 44).
화폐시장의 붕괴와 초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된 관료주의, 부패, 재정관리 실패가 국민당 정부의 패배의 주요원인이 되었다는 데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 그러나 그 과정에서 "당국은 아직 넓은 사회적 책임의식을 저버리지 않은 마지막 소소 사람들의 존경심마저 앗아갔다." (그린우드 앤 우드, 1977b, pp.40-41). 11월 안시장이 난립하게 되자 정부는 실패를 시인했다. ... 월평균 50%보다 훨씬 더 높은 것것이었다.(1956, p.25)
결론
미국의 은구매사업이 중국에 있어서 공산당의 집권에 기여한 역할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은구매법안이 있었던 없었던간에, 일본과의 전쟁과 중국내전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했을 것이며 무능력과 부패는 여전히 남아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은구매사업이 없었다면, 국민당 정부가 1년 또는 2년 정도 더 지탱했을 것이고, 그때이 인플레이션은 낮았을 것이다. ... 재앙을 피할 가능성은 보다 높았을 것이다 - 중국에게도, 미국에게도. 239쪽
<돈의 이야기> 밀튼 프리드먼 김병주 옮김 고려원 간에 근거하여 리뷰하였습니다.
부제가 회폐역사의 교훈이네요.
책을 읽는 동안에 제가 군복무할 때 사랑하는 그녀가 준 조그만 카드를 찾았습니다.
지금은 두 아이의 엄마이자 와이프이지만 그 때는 연인이었죠.
여전히 아름답고 귀엽기도 하고 그리고 악담도 찰지게 하는 그녀가 같은 지붕 아래
있습니다.
인생은 그런 것이겠지요. 50여 년을 살아도 아직 삶에 대해 잘 모르겠습니다.
돈에 대해서도 잘 모르겠고요. 여전히 알아야 할 것이 잔뜩.
경제학의 가장 중요한 화두는 희소성이고 경제정책의 핵심은 통화정책이다.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해서 경제적 인세티브를 제시함으로서 자본주의는 굴러간다.
돈 바로 통화는 복잡하고 민감한 초기 변수들 때문에 경제학 이론처럼 예측은 가능하지만 결과는 언제나 장담할 수 없다.
밀턴 프리드먼은 통화가 단기에 공급에 영향을 주고 장기적으로 물가에 영향을 주므로 통화정책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고, 대처와 레이건의 필두로 영국과 미국의 신자유주의 파도를 타고 통화주의 학파가 전 세계를 강타하게 된다.
비록, 통화팽창을 조절하는게 너무나 어렵다는게 현실에서 실증되어 비판을 받고 있지만, 화폐이론으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프리드먼의 통화이론은 인플레이션과 관련해서 여전히 중요한 통찰을 담고 있다.
"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