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9년 10월 29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396쪽 | 712g | 152*225*30mm |
ISBN13 | 9788942390731 |
ISBN10 | 8942390730 |
발행일 | 2019년 10월 29일 |
---|---|
판형 |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 396쪽 | 712g | 152*225*30mm |
ISBN13 | 9788942390731 |
ISBN10 | 8942390730 |
서문 7 일러두기 12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 목적 14 제2절 연구 방법 및 연구사 정리 20 1. 연구 방법 20 2. 연구사 정리 23 제3절 연구의 한계점과 씨족제도 관련 한중 역사 용어 비교 39 1. 연구의 한계점 39 2. 씨족제도 관련 한중 역사 용어 비교 42 제2장 중국의 군망郡望과 한국의 본관本貫 45 제1절 중국의 군망제도와 한국의 본관제도 비교 -중국의 청하최씨淸河崔氏와 한국의 남양홍씨南陽洪氏를 중심으로- 46 1. 중국의 군망제도 50 2. 한국의 본관제도 68 제2절 현대 한자어 사전에 나오는 ‘군망’의 의미 검토 99 1. 전거典據에 대한 검토(1) 100 2. 전거에 대한 검토(2) 111 3. 군망의 의미에 대한 검토 123 제3절 청나라 시기 한 지식인의 시각을 통해 본 중국의 군망제도 -청나라 시기 방동수方東樹(1772~1851)를 중심으로- 134 1. 군망에 대한 견해 136 2. 군망제도가 사라진 사회적 원인 148 제3장 중국의 본관과 한국의 본관 161 제1절 한국 본관제도의 기원과 ‘토성土姓’에 관한 제설 검토 -이수건李樹健의 ‘토성분정土姓分定’설을 중심으로- 162 1. 중국 고전에 나오는 ‘씨성氏姓’의 의미 164 2. 『세종실록지리지』에 나오는 ‘토성’과 ‘고적古籍’의 의미 173 3. 효문제孝文帝의 ‘정성족定姓族’ 정책과 당 태종의 『씨족지氏族志』 편찬 의미 193 제2절 송대 『경원조법사류』에 나오는 본관의 의미 213 1. 본적지本籍地와 본적지 관청의 의미 217 2. ‘가장家狀’이라는 문서 안에서의 의미 228 제3절 송대 『소흥십팔년동년소록』에 나오는 본관의 의미 248 1. 본관 기록 방식 252 2. 본관의 의미 260 제4장 중국의 적관籍貫과 한국의 본관 287 제1절 전통기 한중 지방지에 나오는 본관 기록 비교 -강서성 길안부 『길안부지吉安府志』와 전라도 남원부 『용성속지龍城 續誌』를 중심으로- 288 1. 『길안부지』 인물지에 나오는 본관 293 2. 『용성속지』 인물지에 나오는 본관 310 제2절 전통기 한중 성씨제도를 바라보는 두 지식인의 시각 -송나라 시대 정초鄭樵와 조선 시대 유형원柳馨遠을 중심으로- 324 1. 정초의 〈씨족략氏族略〉 326 2. 유형원의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 337 제5장 결론 359 참고문헌 368 찾아보기 3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