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2년 12월 31일 |
---|---|
쪽수, 무게, 크기 | 396쪽 | 152*225*30mm |
ISBN13 | 9788996746270 |
ISBN10 | 8996746274 |
출간일 | 2012년 12월 31일 |
---|---|
쪽수, 무게, 크기 | 396쪽 | 152*225*30mm |
ISBN13 | 9788996746270 |
ISBN10 | 8996746274 |
최근 세계적인 글로벌 도시들은 자본, 사람, 정보 등이 결집되는 네트워크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다. 그 이면에는 물류의 강력한 뒷받침이 있었다. 대표적인 글로벌 도시로 꼽히는 뉴욕, 도쿄, 상하이, 홍콩, 싱가포르 등은 대형 항만을 가지고 있는 도시들이다. 결국 물류는 제조, 금융, 문화, 정보 등과 연계하여 해당 산업들을 성장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하는 산업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지난 2010년 2월 산·학·연 공동연구를 목적으로 한국해양대학교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공동으로 설립한 "KMI-KMU 국제물류 학연공동연구센터"에서는 2013년 설립 3주년을 맞이하여 최근 국제물류 패러다임 변화와 국내 물류산업의 해외진출 전략을 주제로 발간된 "국제물류총서"의 일부이다 |
제1장 글로벌 물류시장의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 전망 1. 글로벌 물류시장 규모 및 전망 2. 글로벌 물류시장의 패러다임 변화 3. 미래 물류 신조류와 미래 전망 제2장 글로벌 물류시장 현황과 전망 1. 해운물류시장 2. 항만물류시장(GTO) 3. 국제물류주선업 4. 컨트랙트 물류시장 5. 신물류시장 6. 물류기술시장 제3장 우리나라 물류산업 현황과 발전방향 1. 우리나라 물류산업 현황 2. 우리나라 국제물류산업 특성분석 3. 우리나라 물류산업 문제점 4. 우리나라 물류산업 발전방향 제4장 주요 국가 및 기업의 글로벌 물류 진출전략 1. 주요 경제권의 물류전략 2. 주요 국가의 글로벌 물류기업 육성정책 3. 주요 글로벌 물류기업의 성장전략 제5장 글로벌 물류시장 진출과 국부창출 1. 동북아 물류공동체를 위한 정부의 역할 및 정책방향 2.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역할 및 전략 3. 우리나라 물류기업의 역할 및 전략 제6장 맺는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