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인간과 권력에 관한 영원한 고전?동양 역사서의 근간, 인간학의 보고 『사기』
1 『사기』의 저자 사마천은 누구인가 2 사마천의 역사관과 서술 방식: 천天의 절대 권위에서 인人의 사유 세계로 3 『사기』의 명칭 유래, 집필 과정, 목적 4 『사기』의 구성: 『본기』, 『표』, 『서』, 『세가』, 『열전』 1) 『사기 본기』: 제왕들의 역사 2) 『사기 표』: 연대학과 계보학의 산물 3) 『사기 서』: 전장 제도의 이론과 역사 평준서 4) 『사기 세가』: 제후왕들의 역사 5) 『사기 열전』: 자신을 딛고 일어선 자들의 이야기 5 역사가의 빼어난 노래, 『사기』 2장 사마천은 전통보다 변화에 초점을 두었다?전통보다 혁신이다 1 전통의 계승보다 변혁인가 2 전통과 변혁, 시대의 흥망, 세상의 변화를 보다 3 “천도天道”와 “법도 따르기〔循法〕”, “옛것 본받기〔法古〕”의 문제 4 『사기 표』에 역사적 격변기의 변화를 담다 1) 『사기』 「표」의 구성 방식과 체제 2) 표를 통해 드러난 사마천의 시각은 격변기의 변화 양상인가 5 전통보다는 변화다 3장 세상은 공정한가 불공정한가?사마천이 세상에 던진 질문 1 하늘의 도는 옳은가 그른가 2 역사는 해석하는 자의 몫이다 1) 육경의 권위에 대한 선택적 의미 부여 2) “원야비야怨邪非邪”: 공자의 발언에 대한 반문 3 천도에 대한 의혹의 확장과 시비 선악에 대한 판단 유보 1) “시야비야是邪非邪”: 선악과 시비의 혼돈에 대한 의문 제기 2) 현실에 대한 선택적 갈등과 ‘명성’의 추구에 대한 반어적 확신 4 왜 선악과 시비에 대한 판단 유보인가 4장 공자와 노자의 만남은 사실인가?유가와 도가의 회통 가능성 1 공자와 노자는 과연 만났을까 2 “공자가 노자에게 예를 묻다”라는 구절의 신빙성 여부 3 공자보다 노자를 우위에 둔 사마천 4 결국은 회통이다 5장 사마천은 유가보다 황로를 우선했는가 1 왜 황로를 우선시하고 육경을 홀대한다고 했는가 2 “황로를 앞에 두고 육경을 뒤로하다”에 나타난 반고의 『사기』 평의 의미 3 「노자 한비 열전」과 「맹자 순경 열전」에 나타난 황로 사상 수용 4 「유림 열전」에 나타난 사마천 유가관의 황로적 성향 1) 동중서 유가관의 황로적 성향과 정치적 맥락 2) 「유림 열전」에 나타난 사마천의 유가 풍자의 근본 취지 5 사마천 사상의 복합성에 대한 잠정적 결론 6장 ‘원怨’과 ‘한恨’의 자기 치유적 글쓰기?굴원, 가생, 오자서의 울분에 감정 이입하다 1 왜 굴원과 가생을 거론했을까 2 굴원의 「이소」에 기대어 ‘원’과 ‘한’을 풀어내다 3 가생의 작품 속에 나타난 치유적 글쓰기와 사마천의 감정 이입적 글쓰기 전략 4 궁형의 한을 굴원과 가생의 삶에 투사하다 5 ‘원’과 ‘한’의 치유적 글쓰기의 또 다른 사례, 「오자서 열전」 7장 사마천, 부와 권력을 말하다?「화식 열전」에 나타난 ‘부’와 ‘세’의 관계 1 왜 ‘부’의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었는가 2 사마천이 바라본 ‘부’의 문제 1) “빈부지도貧富之道”와 “용빈구부用貧求富”의 해석 차이 2) ‘부’의 축적을 위한 다양한 전략 3 부자가 누리는 권세와 부의 확장성 1) 왜 국가가 개인의 부를 제어하려 드는가 2) 부를 얻는 자는 권세를 얻는다 4 국가든 개인이든 잘살아야 한다 8장 ‘부’를 축적한 자들의 이야기?도시 경제의 발달에 따른 치부가들의 다양성 1 경제는 지리와 도시를 주축으로 발전한다 2 “재산 활용”의 문제와 상공업의 위상 제고 3 지리 여건에 따른 주요 도회의 형성과 부를 축적한 자들의 이야기 1) 경제 지리에 따른 치부가들의 다양한 직업군 2) 주요 도회의 치부 사례 4 경제 지리와 변화하는 사회상에 따른 상인 계층의 양상 1) 상업 기술의 전문화와 제철업 등 직업군의 전문화 2) 변화하는 사회상에 따라 한무제 정책에 비판적 대안 모색 5 새로운 부의 지도를 그리다 인간과 권력, 그 영원한 화두?결론을 겸하여 참고 문헌 찾아보기 |
Kim Won-Joong,金元中
김원중의 다른 상품
#중국문학
#중국역사 #사기 #중국고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