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북한신문 연구 해제집
한국전쟁기 북한노획문서 양장
가격
52,000
52,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총론

제1부 연구편

한국전쟁기 미군이 노획한 ‘북한노획문서’의 구성과 특징 | 정병준
Ⅰ. 머리말
Ⅱ. 한반도에서 노획되어 일본에서 분류·정리된 북한노획문서
1. 북한노획문서의 목록·해설서·계층
2. 한국 최고 엘리트가 작성한 「북한노획문서 목록 및 간략해설」
Ⅲ. 북한노획문서(舊노획문서)의 시기적 범위와 내용
Ⅳ. 선별노획문서(新노획문서)의 공개와 특징
Ⅴ. 북한노획문서의 수집·간행 현황
Ⅵ. 맺음말

한국전쟁기 미군이 노획한 북한노획문서 중 북한신문자료의 유형과 특징 | 정병준
Ⅰ. 머리말
Ⅱ. 북한노획문서 중 북한신문자료의 조사 및 신문목록
Ⅲ. 북한노획문서 중 북한신문자료의 유형
1. 1945~1953년간 북한에서 간행된 신문류
1) 조선로동당 관련 신문 / 2) 인민위원회 관련 신문 / 3) 로동당·인민위원회 통합신문
4) 각 직종·부문 신문 / 5) 소련(군) 발행 신문
2. 1950~1951년 한국전쟁 북한점령기 남한에서 간행된 신문류
1) 조선로동당 관련 신문 / 2) 인민위원회 관련 신문 / 3) 빨치산 신문
3. 한국전쟁기 북한군 군사신문류
4. 기타 신문들
Ⅳ. 맺음말 : 북한노획문서 중 북한신문자료의 중요성과 특징

DMZ 접경지역과 북한의 전후 복구 | 한모니까
Ⅰ. 머리말
Ⅱ. 북한의 정전(停戰) 평가와 접경지역 인식
1. ‘기다리던 정전’과 ‘승리의 땅’
2. 정전 명령과 정전의 공고화
Ⅲ. 북한의 접경지역 정책과 전후 복구
1. 전시 ‘전선지구’(戰線地區) 정책과 지역 주민의 전선 원호
2. 전후 ‘비무장지대 분계선 인접 지역’ 복구
3. 사례 : 개성 덕암리와 철원 삭녕리의 전시 경험과 농업협동화
Ⅳ. 맺음말

선전의 폭탄과 ‘해방전사’: 한국전쟁기 북한의 심리전 수행방식과 인적 심리전 | 김선호
Ⅰ. 머리말
Ⅱ. 적군와해 조직사업과 포로를 통한 심리전
1. 북한의 포로정책과 심리전
2. 포로를 통한 심리전의 수행
Ⅲ. 적군와해 선전선동사업과 삐라·함화를 통한 심리전
1. 적군와해 삐라사업의 체계와 방법
2. 적군와해 함화사업의 방법과 대상
Ⅳ. 맺음말

미군노획문서로 읽는 해방 이후 북한 여성 수행성의 조건들과 ‘봉건성’ | 한봉석
Ⅰ. 머리말
Ⅱ. [강원로동신문], [강원인민보], [개성신문]과 여성 호명의 내용들
Ⅲ. 봉건성의 내용과 여성 수행성의 조건들
1. 두 종류의 ‘봉건성’
2. 남녀평등법 통과의 의의 및 한계
3. ‘공창제’ 폐지의 의미 : 현모양처 담론 구조의 파괴
4. 전후 수복지구와 ‘봉건성’ 해석의 후퇴
Ⅳ. 맺음말

제2부 해제편

1. 강북로동신문
2. 강북인민보
3. 강북일보
4. 강원로동신문
5. 강원인민보
6. 강철
7. 강철[거제도포로수용소]
8. 개벽신보
9. 개성신문
10. 경남로동신문
11. 경남빨찌산
12. 경북로동신문
13. 공고한평화를위하여, 인민민주주의를위하여
14. 공보
15. 광주로동신문
16. 교원신문
17. 교통신문
18. 근위
19. 노동자신문
20. 노력자
21. 농민신문
22. 농민신문(농민위원회)
23. 뉴-스
24. 덕유산승리의길
25. 독립
26. 돌진
27. 동북조선인민보
28. 로동신문
29. 로동자
30. 로동자신문
31. 로령로동신문
32. 만세보
33. 묘향산돌진
34. 무등산빨찌산
35. 문화신문
36. 민주조선
37. 민주청년
38. 민청생활
39. 반미구국
40. 백운로동신문
41. 별
42. 보도
43. 보위
44. 보위(해방지구판)
45. 복수의불길
46. 북조선농민신문
47. 불갑산빨찌산
48. 불길
49. 붉은별
50. 빨찌산[전남]
51. 빨찌산[전북]
52. 선봉
53. 소보
54. 속보
55. 승리
56. 승리를위하여
57. 승리에로
58. 승리의길
59. 시사간보
60. 신념
61. 쏘베트신보
62. 안동
63. 앞으로
64. 앞으로
65. 앞으로[락동강]
66. 옳다
67. 유격전선
68. 유치빨찌산
69. 인민을위하여
70. 인민의아들
71. 인천인민보
72. 자유황해
73. 전국농민신문
74. 전남로동신문
75. 전남인민보
76. 전북로동신문
77. 전북민주녀성
78. 전북인민보
79. 전위
80. 전진
81. 전진[묘향산]
82. 전투문학
83. 전투소보
84. 전투소보
85. 전투속보
86. 전투통보
87. 전화
88. 정로
89. 정세순보
90. 조국과인민을위하여
91. 조국을위하여
92. 조국전선
93. 조선신문
94. 조선인민군
95. 조선인민보
96. 조선중앙통신
97. 조쏘문화
98. 충남로동신문
99. 충남민청
100. 충남인민보
101. 충북로동신문
102. 통신
103. 투보
104. 투사신문
105. 평남로동신문
106. 평남인민보
107. 평북로동신문
108. 함남로동신문
109. 함남인민보
110. 함북로동신문
111. 해방
112. 해방일보
113. 호소문
114. 황해로동신문
115. 황해인민보
116. 황해일보
117. 회문산승리의길

저자 소개6

조선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북한정치사를 전공했으며, 한국전쟁과 북한정치와 관련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대표논저로 『북한 국가의 형성과 소련』, 『Understanding North Korea: Indigenous Perspectives』(공저), 「해방 후 북한 반소반공운동의 실상」 등이 있다.

기광서의 다른 상품

한모니까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조교수. 가톨릭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전쟁 전후(前後) ‘수복지구’의 체제 변동 과정」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과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에서 박사후연구원(Post-Doc.)을 지냈다. 『내일을 여는 역사』·『역사문제연구』·『역사와 현실』·『통일과 평화』 편집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한국전쟁과 남북 접경지역의 역사를 중심으로 분단과 냉전, 통일과 평화의 문제를 해명하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평화통일문화공간 조성 자문위원과 ‘DMZ 평화지도’ 연구책임을 맡는 등 공공역사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조교수. 가톨릭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전쟁 전후(前後) ‘수복지구’의 체제 변동 과정」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과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에서 박사후연구원(Post-Doc.)을 지냈다. 『내일을 여는 역사』·『역사문제연구』·『역사와 현실』·『통일과 평화』 편집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한국전쟁과 남북 접경지역의 역사를 중심으로 분단과 냉전, 통일과 평화의 문제를 해명하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평화통일문화공간 조성 자문위원과 ‘DMZ 평화지도’ 연구책임을 맡는 등 공공역사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전쟁과 수복지구』, 『한국전쟁기 남·북한의 점령정책과 전쟁의 유산』(공저),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공저), A History of Korea(공저), 『북한신문 연구 해제집』(공저), 『대한민국 평화기행』(공저) 등이 있다. ‘강만길연구지원금’(2011)과 ‘DMZ 평화상?학술상?’(2021)을 받았다.

한모니까의 다른 상품

경희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주제는 북한식 사회주의체제의 형성과정과 동아시아의 냉전체제다. 최근 연구로는 『조선인민군 : 북한 무력의 형성과 유일체제의 기원』, 「북한 조국보위후원회의 기원과 6·25전쟁 이전 조직·활동」, 「북한의 경계·국경 인식과 북·중 접경지역 경비」 등이 있다.

김선호의 다른 상품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현대사(원조, 문화사) 전공. 주요 논저로는 「조선소년단 활동을 통해 본 북한의 ‘인민화’과정-1945~50년, 평북 선천군 지역을 중심으로」, 「구호물자에 담긴 냉전 : 주한 케아(C.A.R.E.)의 패키지로 살펴보는 냉전과 인도주의」 등이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중이다. 주요 연구주제는 전쟁 포로를 중심으로 한국전쟁사에 관심이 있다. 최근의 논저로는 「한국전쟁기 거제도수용소 내 ‘친공포로’의 딜레마와 폭동」, 「만주에서 거제도, 그리고 인도까지: 어느 ‘반공포로’의 생존기록」, 『한국전쟁기 남북한의 점령정책과 전쟁의 유산』(공저) 등이 있다.

Jung Byung-joon,鄭秉峻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 현대사를 전공했다. 『역사와 현실』 편집위원장, 이화사학연구소장, 한국문화연구원장,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한국 현대사 자료를 찾아 세계를 횡단하며, 새로운 자료에 기초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는 데 긍지를 가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은 『김규식 평전』을 쓰고 있다. 여운형, 이승만, 김구, 김규식, 박헌영, 현앨리스, 염동진 등 한국 현대사의 인물들을 통해 시대와 역사를 긴 호흡으로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다. 『몽양 여운형 평전』, 『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 현대사를 전공했다. 『역사와 현실』 편집위원장, 이화사학연구소장, 한국문화연구원장,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한국 현대사 자료를 찾아 세계를 횡단하며, 새로운 자료에 기초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는 데 긍지를 가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은 『김규식 평전』을 쓰고 있다. 여운형, 이승만, 김구, 김규식, 박헌영, 현앨리스, 염동진 등 한국 현대사의 인물들을 통해 시대와 역사를 긴 호흡으로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다.
『몽양 여운형 평전』, 『우남 이승만 연구』, 『한국전쟁』, 『광복 직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 『독도 1947』,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의 한반도 관련 조항과 한국정부의 대응』 등의 책을 썼으며, 50여 권의 한국 현대사 자료집을 기획?해제했다. 제47회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부문 저술상(2006), 독도학술상(2010), 제36회 월봉저작상(2011), 제56회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부문 저술상(2015) 등을 수상했다.

정병준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1년 09월 28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573쪽 | 188*257*35mm
ISBN13
9791160686135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52,000
1 5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