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은 이 사회의 가장 안전하고 편안한 곳이고 마지막까지 그래야 한다고 나는 믿는다. 또, 그 따듯한 단어에 ‘현대적’ 이라는 수식어가 붙었을 때는 ‘다양성 존중’이라는 좋은 개념까지 추가되어 아름다운 가정이 사회로 더 확장되는 것이라 생각했었다. 이혼가정, 미혼모 가정, 미혼부 가정, 불임 가정 모든 가정의 다양성이 잘 인정받는 다면 그 가정안의 모든 구성원들이 행복하;
리뷰제목
가정은 이 사회의 가장 안전하고 편안한 곳이고 마지막까지 그래야 한다고 나는 믿는다. 또, 그 따듯한 단어에 ‘현대적’ 이라는 수식어가 붙었을 때는 ‘다양성 존중’이라는 좋은 개념까지 추가되어 아름다운 가정이 사회로 더 확장되는 것이라 생각했었다. 이혼가정, 미혼모 가정, 미혼부 가정, 불임 가정 모든 가정의 다양성이 잘 인정받는 다면 그 가정안의 모든 구성원들이 행복하리라고 막연히 추측했다.
그러나, 내가 내 속으로라도 물어본 적이 있던가? ?가정의 어른들이 잘 대해주고 사회가 포용하기만 한다면 그 가정의 아이들은 아버지나 어머니 중 하나가 없어도, 부모 중 한사람 또는 전부가 2~3년에 한번씩 다른 사람으로 바뀌어도, 아버지만 또는 어머니만 둘이어도, 생부/생모가 정자기증자, 난자기증자, 또는 대리모여도 정말 괜찮은가?
이 책은 단순히 전통적 관념이나 추측으로 괜찮지 않을지 모른다고 말하고 있지 않다. 실제 생생한 그 가정의 아이들의 증언으로, 정확한 사회과학 연구 결과로, 현재 사회현상에 대한 냉철한 분석으로 소위 현대적이라는 가정의 아이들은 괜찮지 않다고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우리가 이 아이들의 괜찮지 않음을 외면할 때 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말해 준다. 또, 그럼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려줘서 감사했다.
이 책에서 나에게 새로웠던 점들을 몇가지 요약해 본다.
·??실제 소위 현대적 가정에서 성장한 사람들의 목소리
? 아동은 결혼제도/가정 형성에 권리가 있다. 이는 자연권, 생명권이고, 아동의 권리이기에 성인인 부모가 본인의 행복권보다 우선하여 지켜주길 바란다.
·??생물학 요소는 부모됨에 있어 중요하다. 이는 신데렐라 동화에서만이 아니라 사회과학 연구결과에서 볼 수 있다. ?
·??부모 각각의 성별이 서로 완전히 대체가능하다는 근거를 우리는 본적 없다.
·??결혼은 아동의 인권을 위한 제도이지 성인의 만족을 위해 존재하는 제도가 아니다.
·??출생전 매매는 합법적인 대리모 출산이고 출생 후 매매는 인신매매라는 모순을 우리는 보고 있다.
왜 아이들은 성인들의 양육, 출생에 대한 결정을 무조건 수용할 수 있어야만 하는 것일까? ?이는 생물학적 부모를 선택할 수 없는 것과 마친가지라 생각해야 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는 생물학적 부모가 아이에게 부족했을 때의 문제를 사회가 같이 해결하길 바라고 있지 않았었나? 지금 우리는 아이들에게 최선의 가정이 무었인지 알려주는 것을 왜 꺼려하는지 갸우뚱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