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머리말 / 이제 또는 다시, 기획을 시작해 보려는 당신에게
프롤로그 / 기획에 대한 이 책을 기획하며 Part 1 당신은 이미 기획을 하고 있었다 #1 누구나 살면서 한 번쯤은 기획을 해봤다! #2 당신에게 기획이 어려웠던 이유 #3 이제는 돌아가거나, 새롭게 시작해야 할 때 Part 2 ‘그녀’를 통해 기획을 배우다 #1 강의실에서 마주친 그녀가 당신의 상상을 완성할 때 #2 어떻게 하면 그녀와 사귈 수 있을까? #3 그녀를 알아가다 보니, 문제가 생겼다 #4 술 한잔 하자. 비상사태다 #5 그녀를 향한 문제해결은 곧 기획의 마무리 #6 여기까지 온 당신에게 다시 묻는다. 기획은 어떻게 하지? #7 이제부터의 이야기. 면?선?점에 대한 이야기 # 당신의 면?선?점은 무엇을 위함인가? Part 3 면 : 질문을 던져 생각을 만든다 #1 면의 영역, 상황을 알아가고 상황을 좁히는 작업 #2 욕망을 뿌리로 하는 기획의 시작, 자기욕망 #3 기획의 첫 단계, 구체화 #4 면의 시작과 끝은 오직 한 가지, 질문이다 #5 면의 핵심을 만드는 질문의 힘, 확장성 #6 진짜 질문은 후반전에 나온다 #7 질문이 멈추는 순간, 면의 영역이 끝난다 #8 어떠한 문제를 발견하느냐가 기획의 방향을 결정한다 #9 면을 마무리 짓자, 선을 그리기 위하여 [(Case 1-1) 최종면접을 앞둔 A군의 면] [(Case 1-2) 모 기업의 대학생 대상 마케팅기획(면의 영역)] [(Case 1-3) 치킨집의 판매전략기획(면의 영역)] Part 4 선 : 생각을 이어 이야기를 만든다 #1 선의 영역, 생각을 글로 정리하는 작업 #2 선의 영역이란 이야기의 시작을 말한다 #3 선은 두괄식으로 만들어야 한다 #4 두괄식 기획을 적는 첫걸음, 글 PT #5 기획의 선을 잇는 도구는 결국 글이다 #6 기획의 필력을 만드는 세 가지 방법 #7 필력까지 담긴 글 PT는 그 자체로 PPT가 된다 #8 선의 영역에서 중요한 두 가지, 해석하기 #9 선의 영역에서 중요한 두 가지, 강약조절 #10 선을 마무리 지으며 해결책을 바라보다 [(Case 2-1) 최종면접을 앞둔 A군의 선] [(Case 2-2) 모 기업의 대학생 대상 마케팅기획(선의 영역)] [(Case 2-3) 치킨집의 판매전략기획(선의 영역)] Part 5 점 : 기획의 방점, 해결책을 찾다 #1 점의 영역, 기획의 방점을 찍는 후반 작업 #2 기획을 해결하는 점, 해결책 #3 좋은 해결책에 들어 있었던 두 가지, 가능성과 매력성 #4 좋은 해결책에 대한 귀납법적 사고, 경험 #5 좋은 해결책에 대한 귀납법적 사고, 성향 #6 좋은 해결책에 대한 귀납법적 사고, 관점 #7 ‘무릎 탁!’ 그 세 가지를 모은 하나의 단어, 통찰 #8 통찰을 만드는 네 가지 습관, 집착 혹은 관찰 #9 통찰을 만드는 네 가지 습관, 대화 #10 통찰을 만드는 네 가지 습관, 통섭 #11 통찰을 만드는 네 가지 습관, 모방 #12 점의 영역의 마침표를 찍을 때 #13 하나의 기획을 마무리 지으며 [(Case 3-1) 최종면접을 앞둔 A군의 점] [(Case 3-2) 모 기업의 대학생 대상 마케팅기획(점의 영역)] [(Case 3-3) 치킨집의 판매전략기획(점의 영역)] Part 6 내가 알아왔던 기획에 대한 고백 #1 못남에, 못함에 대한 분노 #2 겸손하기보단 차라리 자만한 것이 낫다 #3 자신을 설득하지 못하면, 남을 설득하지 못한다 #4 종이 밖의 세상도 기획의 일부다 #5 앵무새의 언변에는 신뢰가 없다 #6 기록은 기억을 지배한다 #7 기획에서 기획을 덜어내다 #8 이 책의 마지막 지면을 , 당신에게 |
저제갈현열
관심작가 알림신청제갈현열 의 다른 상품
저김도윤
관심작가 알림신청김도윤의 다른 상품
이제 기획을 시작하는 분들에게! 다시 기획을 해보려는 분들에게!
60번의 공모전에서 수상을 하고, 창의력 분야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저자들이 기획은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이미 해왔던 것이라고! 기획은 더하는 것이 아니라, 덜어내는 것이라고! 기획은 우리가 아주 오랫동안 이미 알고 있던 것이라고! 이 말 한마디를 전하려고 합니다. 이런 질문을 들은 적이 있었다. “20대에 한 일 중 가장 잘한 일과 30대에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인가” 나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20대에 가장 잘한 일은 5대 학문의 기본을 이해한 것이다.” “30대에 가장 하고 싶은 일은 이 중 자신 있어 하는 학문 하나를 만드는 것이다.” 〈사회학〉 〈정치학〉 〈종교학〉 〈인문학〉 〈경제학〉 본인이 기획자로서의 인생을 살기를 원한다면 이 다섯 가지 학문에 대해 최소한의 기본은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좋은 해결책이란 법칙과 이론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앎의 깊이에서부터 출발하기 때문이다. 좋은 해결책이란 매력적이며 가능성을 보여줘야 한다. 그런 해결책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좋은 해결책은 경험으로부터 나온다.’ 경험에서 얻은 지혜는 다른 어떠한 것보다 강력한 힘을 가진다. 이를 위해 다양한 경험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좋은 해결책은 성향으로부터 나온다.’ 해결책은 개인의 주관이며 각자의 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자신의 성향을 이해하고, 거기서 출발한 자신만의 방향을 찾아야 한다. ‘좋은 해결책은 관점으로부터 나온다.’ 문제는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느냐가 어떠한 해결책을 만드느냐를 결정한다. 자기 관점을 위해서는 타인의 깊이를 이해하며 자기 생각의 확신을 얻는 연습을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