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정보학의 이해
베스트
인문학 계열 top20 15주
가격
20,000
20,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제1장│ 정보학 개요
1.1 정보학 발생의 역사적 배경
1.2 정보학의 정의 및 특성
1.3 정보학의 연구영역
1.4 정보학 교육

제2장│ 정보와 정보원
2.1 정보의 개념 및 유형 분류
2.2 정보의 종류
2.3 정보원
2.4 정보 및 데이터 사이클

제3장│ 정보유통
3.1 학술 커뮤니케이션
3.2 오픈액세스
3.3 오픈데이터와 연구데이터
3.4 주요 학술정보 유통망

제4장│ 정보조직
4.1 정보의 속성과 분석
4.2 색인
4.3 분류
4.4 메타데이터

제5장│ 정보검색
5.1 정보검색의 정의 및 발전과정
5.2 정보검색의 과정
5.3 정보검색 모델
5.4 정보검색 평가
5.5 정보검색 도구

제6장│ 정보추구와 이용
6.1 정보요구
6.2 정보행위

제7장│ 계량서지학
7.1 계량서지학의 개요
7.2 계량서지법칙
7.3 계량서지 분석기법
7.4 계량서지 지표

제8장│ 데이터사이언스
8.1 데이터사이언스 개요
8.2 데이터 유형 및 분석 프로세스
8.3 데이터 수집 및 저장
8.4 데이터베이스 개요
8.5 데이터 전처리 및 분석

제9장│ 정보격차와 정보리터러시
9.1 정보격차
9.2 정보 리터러시
9.3 데이터 리터러시
9.4 유사 리터러시

저자 소개2

李宗昱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학력 및 주요 경력]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영어영문학과 졸업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정보학 석사 ?Florida State University 정보학 박사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조교수 ?한국도서관협회 국제교류위원회/목록위원회 위원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유공자 표창 수상 [주요 저서 및 논문]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공역, 2019) ?지역사회 사회경제적 박탈이 공공도서관 대출 책수에 미치는 영향 ?Self-archiving motivations across acad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학력 및 주요 경력]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영어영문학과 졸업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정보학 석사
?Florida State University 정보학 박사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조교수
?한국도서관협회 국제교류위원회/목록위원회 위원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유공자 표창 수상
[주요 저서 및 논문]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공역, 2019)
?지역사회 사회경제적 박탈이 공공도서관 대출 책수에 미치는 영향
?Self-archiving motivations across academic disciplines on an academic social networking service
?Factors influencing the choice of a publication venu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정보행태 분석
?Motivations for self-archiving on an academic social networking site: A study on ResearchGate
?외국학술지지원센터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운영 담당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in an open access institutional repository: A case study 외 학술논문 다수

金水晶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학력 및 주요 경력]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 ?University of Maryland 문헌정보학과 박사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위원 ?공공데이터제공분쟁조정위원회 위원 [주요 저서 및 논문] ?기록관리개론(공저, 2018) ?아카이브 원리와 실제(공역, 2015) ?대학도서관 연구성과 서비스 개발 및 운영 모형 연구 ?해외 계량서지 서비스 유형 및 사례 분석 연구 ?공공데이터포털 이용 활성화를 위한 SNS 운용현황 및 개선방안 ?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학력 및 주요 경력]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
?University of Maryland 문헌정보학과 박사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 위원
?공공데이터제공분쟁조정위원회 위원
[주요 저서 및 논문]
?기록관리개론(공저, 2018)
?아카이브 원리와 실제(공역, 2015)
?대학도서관 연구성과 서비스 개발 및 운영 모형 연구
?해외 계량서지 서비스 유형 및 사례 분석 연구
?공공데이터포털 이용 활성화를 위한 SNS 운용현황 및 개선방안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a library’s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the case of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Library
?재난안전정보의 통합관리 및 공동활용을 위한 패싯 분류체계 개발
?무형문화유산 기록물을 위한 FRBR 기반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 digital library model for virtual universities in Korea: current state and prospective model 외 학술논문 다수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2월 21일
쪽수, 무게, 크기
310쪽 | 172*245*30mm
ISBN13
9788959728565

출판사 리뷰

정보학은 정보의 수집, 조직, 접근, 검색, 이용에 대한 인간 및 사회적 측면과 더불어 기술 및 공학적 측면을 모두 다루는 학문분야이다. 정보학의 세부영역은 시대가 변화하고 학문이 성장하면서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진화 속에 학제적 학문분야인 정보학에 대한 관련 기초 개념을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을 비롯한 인문학, 자연과학, 공학, 사범대학 등의 다양한 분야 학생들에게 포괄적이고 알기 쉽게 설명하고자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정보학에 대한 개념 정의가 학자마다 다르듯이 이를 구성하는 내용적 범위에 대해서도 많은 이견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이견을 좁히고자 이 책은 정보학의 지적 구조를 분석한 연구를 참고하여 핵심적인 영역을 중심으로 총 9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전체적으로 1·2장에서는 정보학과 정보에 대한 개념적 기초를 제공하고, 3·4장은 정보의 생산 및 유통 그리고 유통 및 이용을 위한 정보조직 측면을 다루었다. 그리고 5·6장은 정보의 검색과 이용 측면을 논의하고, 7·8장은 정보의 분석 측면에서 문헌정보에 관한 계량서지학과 데이터사이언스를 다루었다. 끝으로 9장에서는 정보이용의 사회적 측면을 논의한다.

각 장의 개요를 살펴보면, ‘1장 정보학 개요’에서는 정보학 발생의 역사적 배경으로 시작하여 정의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주요 연구영역과 정보학 교육을 제공하는 iSchool을 소개한다. ‘2장 정보와 정보원’에서는 다양한 정보 개념의 유형 분류를 살펴보고, 데이터-정보-지식-지혜 계층을 통해 정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정보원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여 효과적인 정보활용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3장 정보유통’에서는 정보 유형 가운데 학문의 발전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학술정보의 생성 및 유통체계, 즉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다룬다. ‘4장 정보조직’은 효과적인 정보검색을 위한 정보 표현 및 기술과 관련된 개념인 색인, 분류, 메타데이터를 소개한다. ‘5장 정보검색’에서는 질의로 표현된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정보검색시스템에서의 문서 표현 간의 매칭을 통해 검색결과가 제시되는 정보검색과정을 설명하며, 이러한 매칭방식으로 전통적인 정보검색 모델인 불리언 모델, 벡터공간 모델, 확률 모델을 소개한다. 나아가 검색시스템 성능 평가에 주로 활용되는 척도를 설명하고, 학술 데이터베이스 검색에 빈번하게 활용되는 검색 도구를 기술하였다.

‘6장 정보추구와 이용’에서는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정보행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주요 이론과 모형을 논의하였다. ‘7장 계량서지학’에서는 학문 분야의 사회적·지적 구조를 이해하고, 연구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는 계량서지 법칙과 분석기법, 학술지·논문·연구자 수준의 지표를 소개하였다. ‘8장 데이터사이언스’는 최근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과정에 있어 효과적인 데이터 분석과 활용이 중요시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에 대한 제반 개념을 제시하였다. ‘9장 정보격차와 정보리터러시’에서는 정보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정보격차의 개념에서부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념인 정보 및 데이터 리터러시에 대해 다룬다.

본서는 정보학의 각 영역에서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개념을 위주로 다루고 있으며, 이를 위해 많은 다른 교재와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였으나 저자의 부족함으로 인해 미비한 점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모쪼록 이 책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문분야 학생들의 정보학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문헌정보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정보학의 각 영역에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가도록 도움이 되길 바랄 뿐이다. 앞으로 꾸준한 학습과 노력을 통해 계속해서 보완하여 좀 더 완성도 높은 책을 만들 수 있도록 많은 질책과 격려를 부탁드린다.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0,000
1 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