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2년 07월 19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
파일/용량 | EPUB(DRM) | 140.46MB ? |
ISBN13 | 9791191347968 |
발행일 | 2022년 07월 19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
파일/용량 | EPUB(DRM) | 140.46MB ? |
ISBN13 | 9791191347968 |
들어가며 1부. 국가 프로젝트로 읽어내는 부동산의 역사 1장. 도시기본계획의 탄생과 변화 지도가 말해주는 진실 도시기본계획의 변화 인구 증가와 도시계획의 관계 식민지 시기 평면도에서 엿보는 현대 한국 2장. 경인운하 및 행정수도 계획의 변천사 행정의 연속성, 행정의 관성 대국토건설계획: 경인운하 구상 대국토건설계획: 신도시 구상 경인운하에서 여의도 개발로 부천항 구상과 가로림만 프로젝트 행정수도 이전과 세종·공주·청주의 미래 청와대 행정수도 백지계획과 부동산의 미래 두 차례에 걸친 행정수도 입지 선정 행정수도, 노무현·이명박·박근혜의 삼국지 중부권 메가시티는 탄생할까? 중부 공업 지역 구상은 실현될까? 용산 대통령 집무실 시대가 열리다 2부. 살기 좋고 사기 좋은 부동산의 조건 3장. 남북관계와 부동산의 상관관계 안보 문제와 현대 한국 북한과 가까우면 위험하다? 낙관하기 어려운 접경지역의 투자 군 공항 이전이 힘든 이유 군 부대 이전 문제: 평택 고덕신도시 군 부대 이전 시 토양 오염 문제 공장 부지와 토양 오염 4장. 삶과 집값을 붕괴하는 재난 위험 집값 떨어질까 봐 감춰둔 재난 요소 땅 이름에 숨겨진 위험과 가치 상수도 걱정 없는 전원주택은 어디? 우리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가? 부실시공과 지반침하의 원인 5장. 재개발과 교통망 호재의 실체 원도심은 개발될까, 유지될까? 층고와 용적률 제한을 완화해야 한다 GTX는 과연 모두 개통될까? 철도를 공부하면 투자의 미래가 보인다 가치가 흔들리지 않는 부동산의 조건 이 책의 참고 문헌과 함께 읽으면 좋은 자료 |
[eBook] [100% 페이백][대여] 우리는 어디서 살아야 하는가 김시덕 작가님 리뷰를 시작합니다
이리뷰에는 개인의 감상과 의도치 않은 스포가 있을 수 있고 다소긴 줄거리가 있습니다 스포일러에 민감하신 분들은 주의해 주시길 바랍니다 키워드 구매에 참고 하세요 투자 하기 좋은동네 살기 좋은 동네 대한민국 부동산책의 집약체가 아닐까 싶어요 이책을 이벤트로 볼수 있게 해주시다니 항상 감사합니다 부동산을 맛본거 같네요 재밌게 잘봤습니다
5장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각 장에서는 사진과 함께 여러가지 이야기를 해 주고 있었고요. 그래도 제일 중요한 핵심은 제목처럼 어디서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본인이 살 집이 평지에 있는지 언덕에 있는지를 생각해야 한다고 했는데 평지 15분, 언덕 15분, 자전거 15분, 자동차 15분은 차이가 크다면서 핵심은 평지 15분이라고 하더라고요. 위성사진으로 현장상황을 파악할 수는 있지만 그곳에 가서 걸어가면서 확인해 보는게 제일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땅 높낮이를 확인하고 공기 냄새도 확인하고 맑은 물이 흘러 내리는지에 대해서도 확인을 해 보는게 좋다고 했고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불편함이 있는지, 자동차를 이용하지 않고 다닐때의 생활에 대해 먼저 확인을 해 본 후에 어디에서 살 것인지, 살 곳을 찾을 뿐만 아니라 어디를 사야 하는지 찾을 떄도 참고가 된다고 하니, 여러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도 많이 있구나 싶었습니다.
포레스트북스 출판사에서 2022년 08월에 출간된 김시덕 작가님의 <우리는 어디서 살아야 하는가>를 읽은 뒤에 작성하는 리뷰입니다. 읽은 시기로부터 한참 후에 작성된 리뷰로 페이백 작품이라 재확인이 어려워 다소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니 다른 분들의 리뷰를 참고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부동산 역사와 관련된 내용으로 좋은 이벤트로 읽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잘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