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EPUB
eBook 줄기세포와 생명 복제기술, 무엇이 문제일까?
희귀난치병 치료술의 희망, 줄기세포 연구에 남은 과제 EPUB
황신영
동아엠앤비 2022.08.31.
가격
10,500
10,500
YES포인트?
52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 상품의 태그

소개

목차

작가의 말 · 4

1부 세포에서부터 사람의 성장과 노화까지

1장 우리 몸을 이루는 기본 단위, 세포 · 12
2장 생물의 고유한 특징, 염색체 · 20
3장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특징, 유전자 · 25
4장 자손을 남기기 위한 활동, 생식 · 30
5장 아기는 어떻게 탄생할까 · 37
6장 진시황도 피할 수 없는, 노화 · 43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 47

2부 줄기세포의 명과 암

1장 미분화된 세포, 줄기세포 · 52
2장 만능 세포, 배아줄기세포 · 55
3장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방법 · 60
4장 성체줄기세포의 종류와 장단점 · 66
5장 생체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역분화 줄기세포 · 75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 81

3부 줄기세포로 할 수 있는 일

1장 줄기세포 치료의 역사 86
2장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 역사 95
3장 줄기세포로 치료가능한 질병 102
4장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109
5장 줄기세포 치료제가 의약품으로 인정받기 위한 과정 114
6장 줄기세포 치료술 121
7장 성장하는 항노화 산업 125
8장 줄기세포 연구의 미래 130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135

4부 복제인간의 현실 가능성

1장 복제연구의 역사 · 140
2장 복제양 돌리의 탄생 · 146
3장 복제로 할 수 있는 일 · 151
4장 인간복제, 가능할까? · 162
5장 복제의 문제점 · 167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 173

5부 줄기세포, 복제연구와 생명윤리

1장 정자, 난자 기증자의 윤리적 문제 178
2장 배아는 생명일까? 183
3장 복제기술과 생명윤리 190
4장 줄기세포 관련 정책과 연구 현황 196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205

저자 소개1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 근무하며, 대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집필한 책으로 『멘델이 들려주는 유전 이야기』, 『윌머트가 들려주는 복제 이야기』, 『초등과학 개념사전』,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미생물 이야기 33가지』 등이 있으며, 번역한 책으로는 『천재들의 과학노트: 과학사 밖으로 뛰쳐나온 생물학자들』, 『현대 과학의 이정표』가 있다.

황신영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08월 31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37.41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7.2만자, 약 2.1만 단어, A4 약 45쪽 ?
ISBN13
9791163635864

출판사 리뷰

줄기세포와 생명 복제기술,
무엇이 문제일까?
희귀난치병 치료술의 희망, 줄기세포 연구에 남은 과제

줄기세포로 암과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을까


줄기세포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난치병 등을 치료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는 글리벡, 슈펙트 같은 표적 항암제를 사용하거나 조혈모세포 등이 있는데, 이 조혈모세포 이식은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다. 팔다리나 골반 등의 뼛속에 들어 있는 골수에서 혈액세포를 만들어낸다. 우리 몸에서 매일 만들어내는 세포 중에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면 난치병을 정복할 날도 올 것이다. 현재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연구는 신경계 질병 관련 연구라고 한다. 현대의학으로는 완치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파킨슨병이나 척수손상, 뇌졸중 등의 신경성 질병들을 줄기세포를 이용해 손상된 신경조직을 교체할 수 있다면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다. 우리나라 줄기세포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평가받고 있고 전 세계에서 판매 허가된 줄기세포 치료제 10개 중 4개의 줄기세포 치료제를 확보하고 있어 난치병 치료에 희망을 걸어볼 수 있을 것이다.

줄기세포로 할 수 있는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

줄기세포 연구는 계속 발전해 탈모나 노화로 인한 관절염, 피부 노화, 혈관기능의 노화 등을 늦출 수 있는 치료제도 개발되고 있고, 암과 같은 난치병의 치료제도 개발되어 희망이 보이고 있다. 이처럼 줄기세포 연구는 노화 예방이나 생명 연장에 도움을 주는 생명과학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줄기세포 연구 중 배아줄기세포 연구에는 생명윤리의 문제가 있다. 2005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는 인간의 배아를 대상으로 줄기세포 연구를 하는 것은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으며, 성균관에서도 유교가 인간에 대한 믿음을 기초로 하는 만큼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자연의 법칙을 깨뜨리는 일이므로 반대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렇듯 줄기세포 연구에는 아직 해결하지 못한 윤리적인 문제가 남아 있다.

복제인간은 정말 만들어질 수 있을까

1996년 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한 마리의 건강한 양이 태어났다. 돌리라는 이름을 가진 이 양이 유명해진 건 다 자란 양의 체세포를 이용해 태어난 완전한 의미의 복제양이었기 때문이다. 복제양 돌리가 세상에 나왔을 때 복제 연구에 대한 찬반 논란이 거세게 일어났다. 돌리뿐만 아니라 소, 원숭이, 개 등 여러 동물의 복제에 성공했기 때문에 언젠가는 복제인간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현재의 기술로는 복제인간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다고 한다. 만약 복제 인간이나 복제 동물들이 만들어진다고 해도 그 인간이나 동물은 그전의 똑같은 인간이나 동물일 수 있을까. 반려동물을 복제했다고 해서 이전에 나와 함께 살아왔던 그 동물일까. 모습은 같아도 그 동물은 나와 함께 했던 추억을 공유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 복제 동물을 다시 갖는다고 해도 그건 절반의 성공일 것이다.

리뷰/한줄평25

리뷰

9.2 리뷰 총점

한줄평

9.7 한줄평 총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