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말 · 41부 세포에서부터 사람의 성장과 노화까지1장 우리 몸을 이루는 기본 단위, 세포 · 122장 생물의 고유한 특징, 염색체 · 203장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특징, 유전자 · 254장 자손을 남기기 위한 활동, 생식 · 305장 아기는 어떻게 탄생할까 · 376장 진시황도 피할 수 없는, 노화 · 43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 472부 줄기세포의 명과 암1장 미분화된 세포, 줄기세포 · 522장 만능 세포, 배아줄기세포 · 553장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방법 · 604장 성체줄기세포의 종류와 장단점 · 665장 생체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역분화 줄기세포 · 75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 813부 줄기세포로 할 수 있는 일1장 줄기세포 치료의 역사 862장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 역사 953장 줄기세포로 치료가능한 질병 1024장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1095장 줄기세포 치료제가 의약품으로 인정받기 위한 과정 1146장 줄기세포 치료술 1217장 성장하는 항노화 산업 1258장 줄기세포 연구의 미래 130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1354부 복제인간의 현실 가능성1장 복제연구의 역사 · 1402장 복제양 돌리의 탄생 · 1463장 복제로 할 수 있는 일 · 1514장 인간복제, 가능할까? · 1625장 복제의 문제점 · 167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 1735부 줄기세포, 복제연구와 생명윤리1장 정자, 난자 기증자의 윤리적 문제 1782장 배아는 생명일까? 1833장 복제기술과 생명윤리 1904장 줄기세포 관련 정책과 연구 현황 196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205
|
저황신영
관심작가 알림신청황신영의 다른 상품
줄기세포와 생명 복제기술,무엇이 문제일까? 희귀난치병 치료술의 희망, 줄기세포 연구에 남은 과제줄기세포로 암과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을까줄기세포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난치병 등을 치료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는 글리벡, 슈펙트 같은 표적 항암제를 사용하거나 조혈모세포 등이 있는데, 이 조혈모세포 이식은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다. 팔다리나 골반 등의 뼛속에 들어 있는 골수에서 혈액세포를 만들어낸다. 우리 몸에서 매일 만들어내는 세포 중에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면 난치병을 정복할 날도 올 것이다. 현재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연구는 신경계 질병 관련 연구라고 한다. 현대의학으로는 완치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파킨슨병이나 척수손상, 뇌졸중 등의 신경성 질병들을 줄기세포를 이용해 손상된 신경조직을 교체할 수 있다면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해질 수 있다. 우리나라 줄기세포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평가받고 있고 전 세계에서 판매 허가된 줄기세포 치료제 10개 중 4개의 줄기세포 치료제를 확보하고 있어 난치병 치료에 희망을 걸어볼 수 있을 것이다. 줄기세포로 할 수 있는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줄기세포 연구는 계속 발전해 탈모나 노화로 인한 관절염, 피부 노화, 혈관기능의 노화 등을 늦출 수 있는 치료제도 개발되고 있고, 암과 같은 난치병의 치료제도 개발되어 희망이 보이고 있다. 이처럼 줄기세포 연구는 노화 예방이나 생명 연장에 도움을 주는 생명과학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줄기세포 연구 중 배아줄기세포 연구에는 생명윤리의 문제가 있다. 2005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는 인간의 배아를 대상으로 줄기세포 연구를 하는 것은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으며, 성균관에서도 유교가 인간에 대한 믿음을 기초로 하는 만큼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자연의 법칙을 깨뜨리는 일이므로 반대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렇듯 줄기세포 연구에는 아직 해결하지 못한 윤리적인 문제가 남아 있다. 복제인간은 정말 만들어질 수 있을까1996년 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한 마리의 건강한 양이 태어났다. 돌리라는 이름을 가진 이 양이 유명해진 건 다 자란 양의 체세포를 이용해 태어난 완전한 의미의 복제양이었기 때문이다. 복제양 돌리가 세상에 나왔을 때 복제 연구에 대한 찬반 논란이 거세게 일어났다. 돌리뿐만 아니라 소, 원숭이, 개 등 여러 동물의 복제에 성공했기 때문에 언젠가는 복제인간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현재의 기술로는 복제인간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다고 한다. 만약 복제 인간이나 복제 동물들이 만들어진다고 해도 그 인간이나 동물은 그전의 똑같은 인간이나 동물일 수 있을까. 반려동물을 복제했다고 해서 이전에 나와 함께 살아왔던 그 동물일까. 모습은 같아도 그 동물은 나와 함께 했던 추억을 공유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 복제 동물을 다시 갖는다고 해도 그건 절반의 성공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