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이라는 은밀한 세금에 주목하라!”물가 상승의 압박에서 자산을 지키고 투자하는 현실적인 비결★★★ 아마존 경제경영 1위 ★★★★ 최고 경제전문지 [포브스] CEO + 세계 최고의 통화 정책 전문가 ★‘최악 멀었다는 IMF, 2024년까지 인플레이션과 전쟁’, ‘퍼펙트스톰 온다… 대기업들 전시체제’ 요즘 경제 뉴스에서 심심치 않게 접할 수 있는 헤드라인이다, S&P500 지수가 곤두박질치고, 3,000포인트의 벽을 깼던 코스피도 언제 그랬냐는 듯 2,200포인트로 내려앉은 지 오래다. 한국의 소비자 물가 또한 몇 달째 5% 이상의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낮은 수준의 안정적인 인플레이션’이 경제 발전에 필수적이라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생계를 꾸려나가는 사람이라면 결코 동의할 수 없을 것이다. 평균 2%의 물가 상승률이라면, 연봉 4,000만 원의 회사원 급여가 80만 원 감액된 것이나 다름없다. 인플레이션을 ‘은밀한 세금’이라고 칭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현시점 5%가 넘는 상승이 이어지고 있으니 연봉이 늘어나는 속도가 물가 상승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다는 한탄이 나올 수밖에. 이처럼 보이지 않는 손이 자산을 갉아 먹고 있는 지금, 우리의 돈을 어떻게 지킬 수 있을까? 『화폐의 추락Inflation』은 1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경제전문지 [포브스]의 편집장이자 탁월한 경제 전망과 예측으로 최고의 저널리스트에게 수여하는 ‘크리스털 부엉이 상’을 4차례나 수상한 스티브 포브스Steve Forbes와 통화 정책과 경제사 분야의 권위자인 네이선 루이스Nathan Lewis가 함께 썼다. 저자들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1930년대 대공황, 고대 로마제국에 이르기까지 인플레이션은 어김없이 반복되고 갈수록 거대해지지만, 이 긴 역사 동안 전문가들이 고안한 대책들이 대부분 실패했다고 꼬집는다. 문제는 치솟은 물가를 잡기 위해 흔히 펼치는 ‘통화 공급 정책’이 오히려 화폐의 가치를 추락시켜 상황을 악화시키고 불안감을 심화시킨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다음과 같이 단언한다. “돈의 가치를 무너트려서 부를 일군 국가는 하나도 없었다.” 이 말은 화폐의 가치를 안정시키면 인플레이션을 해결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이 책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 역사 속 실패한 정책을 되짚으며 그 대안으로 ‘금 본위제’를 제시하는 한편, 인플레이션으로 거품이 낀 시장에서 개인이 자산을 지키는 방법을 세세하게 알려준다. 장기화된 인플레이션은 그저 절망적으로 보이지만, 저자들은 장기 인플레이션이 지나간 자리에 경제 호황 또한 도래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 책을 비상 대응 매뉴얼로 삼아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불안을 해소하고 대비할 것을 당부한다.“부는 지식에서 비롯된다.”경제 위기의 진실과 대안!미래학자 조지 길더는 “부는 지식에서 비롯된다.”라는 말로 이 책을 추천한다. 이는 격렬하게 요동치는 경제 속에서 올바른 지식을 갖추고 위기에 대비해 준비하면 오히려 ‘부’를 거머쥘 수도 있다는 말이다. 저자들도 책에서 주식과 채권, 부동산, 금과 귀금속으로 대표되는 경질 자산 등으로 투자처를 세분화해 자산별로 주목해야 할 점과 주의해야 할 점을 알려준다. 특히 지금껏 불문율처럼 여겨진 재테크 포트폴리오, 주식과 채권의 6:4 비율을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좀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인플레이션이 고정된 수입을 잠식할 때, 고정된 수익이 나오는 상품은 피해야 한다면서, 오랫동안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으로 주목받은 주식 투자와 종종 대안 투자처로 언급되는 금 같은 원자재 자산도 다룬다.『화폐의 추락』 1장에서는 인플레이션의 실제 의미와 사람들이 생각하는 인플레이션의 차이를 되짚는다. 우리가 언론을 통해 들어왔던 것과는 사뭇 다른 진실이 펼쳐지지만, 저자는 그 본질을 명쾌하게 설명한다. 2장에서는 사람들이 돈을 저축하는 대신 벽돌을 모았던 구 소비에트 연방처럼 역사적으로 악명 높은 인플레이션 사례들을 살펴보며 그 당시 화폐 찍어내기에 급급했던 정부 정책의 무엇이 문제였는지 짚어준다. 3장에서는 경제전문가들의 주장과 달리 왜 모든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궁극적으로 나쁜지를 설명한다. 경제적 현상이지만 사회적 신뢰에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입히는 인플레이션의 파괴적인 위력을 잘 보여준다. 4장에서는 저자들이 대안으로 제시하는 ‘금 본위제’를 다룬다. 여기서 인플레이션을 효과적으로 진압한 사례들 또한 소개하는데, 그 정책의 기조에는 모두 ‘화폐 안정’과 ‘낮은 세금’이 있다는 점을 근거로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5장에서는 인플레이션 시기의 투자 지침을 제시한다. 주식과 채권의 비율부터 시작해서 원자재, 부동산, 암호화폐 같은 대체 수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투자처의 장단점을 살핀다. 6장에서는 이 책의 핵심을 정리하고 그를 실현하는 방법을 10가지로 소개하며, 경제적 번영과 안정을 위해서 새로운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세계 경제는 한국 경제에 필연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국가의 경제는 기업은 물론 가정 경제에도 영향을 준다. 연계된 경제 위기 속에서 인플레이션의 본질을 깨달아 남들과는 다른 관점으로 이 위기를 헤쳐나가길 원한다면, 이 책을 놓치지 말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