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나오는 사람들
제1부 제2부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
저안토니오 부에로 바예호
관심작가 알림신청Antonio Buero Vallejo
안토니오 부에로 바예호의 다른 상품
역김재선
관심작가 알림신청김재선의 다른 상품
벨라스케스 : 음란한 그림에 대해 자네가 뭘 안다는 거지?
니에토 : 그 주제나 벌거벗음으로 인해 불순함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 벨라스케스 : 그렇다면 벌거벗은 모든 그림이나 조각들을 금지할 건가? 니에토 : 물론입니다. 벨라스케스 : 그렇다면 앞에서는 궁만 언급했는데 이제 교회를 말할 수밖에 없군요. 니에토 : (놀란다.) 무슨 뜻입니까? 벨라스케스 : 거룩한 우리 종교의 가장 위대한 형상이 남자의 벗은 몸이라는 걸 잊었습니까? 니에토 : (왕에게) 왕이시여, 불쌍히 여기소서! 전하, 돈 디에고가 이런 거룩한 것들을 조롱하는 것을 허락하지 말아 주옵소서! 벨라스케스 : (소리친다.) 전 조롱하지 않았습니다! (왕에게) 그냥 이전 일을 말씀드린 겁니다, 전하. (사촌을 가리키며) 이 사람이 성숙하지 못하다는 것이 너무나 분명합니다. 교회들에 대해서 잊어버렸습니다. --- p.206~207 |
안토니오 부에로 바예호는 스페인 현대 연극사에서 꼭 언급되는 중요 작가다. 스페인에서 연극인에게 수여되는 가장 권위 있는 상인 ‘로페데베가상’을 비롯해 국가연극상(1957, 1958, 1959), 마리아 롤란드상(1956, 1958, 1960), 레오폴도 카노상(1968, 1972, 1974, 1975) 등을 수상했다. 대표작 〈타오르는 어둠 속에서〉, 〈어느 계단 이야기〉 등이 한국에서 공연되기도 했다.
〈시녀들〉은 벨라스케스의 동명 회화를 모티프로 한 희곡이다. 벨라스케스와 〈시녀들〉에 얽힌 비화를 극적 상상력으로 재구성해 웅장한 스케일의 사극으로 완성했다. 벨라스케스는 바로크 미술을 대표하는 화가다. 펠리페 4세의 총애에 힘입어 그림 그리는 일 외에도 궁정 안내, 왕의 의상과 개인 집무실 관리 등을 맡아 했다. 최고 시종장인 식부장관에 임명되어 궁정의 모든 의전과 축제를 지휘하고 궁 장식을 위해 회화나 조각품을 제작 또는 구입하는 일을 가독했다. 한편 벨라스케스의 〈시녀들〉은 특이한 구도로 흥미를 유발한다. 화폭 한가운데 화려한 드레스를 입은 시녀들이 어린 공주의 시중을 들고 있다. 그 옆에 붓을 들고 무언가를 바라보는 화가가 꽤 비중 있게 그려져 있다. 궁정을 드나들던 난쟁이들과 개도 등장한다. 반면 왕실 최고 권력자인 국왕 내외는 가운데 벽 거울 안에 희미하게 그려져 있어 자세히 봐야 알아챌 수 있을 정도다. 신분 격차가 큰 인물들을 한 화폭에 담아낸 데다 화가 국왕 부부보다 화가 자신을 더 크게 그려 넣은 이 무례한 구도는 왕의 두터운 신임이 없었다면 감히 궁 안에 걸리지 못했을 것이다. 여러 예술가 학자들에게 의미 있는 반향과 재해석을 불러일으킨 이 작품은 안토니오 부에로 바예호에게도 연극적 상상력을 부어 주었다. 부에로 바예호는 벨라스케스 서거 300주년이 된 1960년에 〈시녀들〉 창작 당시 스페인 궁정을 배경으로 한 희곡 〈시녀들〉을 선보였다. 부에로 바예호는 역사적 기록을 사실적으로 극화하는 대신 그림의 모델들을 인물로 등장시켜 당시 있었을 법한 일, 허구의 사연을 무대화한다. ‘벨라스케스에 대한 판타지’라는 부제에서 보듯, 그 과정에서 화가는 역사 기록보다 이상화된 인간으로 묘사되었다. 부에로 바예호는 그림에서 엿볼 수 있는 벨라스케스의 광활한 내면세계에 매료되어 벨라스케스에 대한 판타지를 구상했다. 다시 말해 희곡 ≪시녀들≫은 단순히 벨라스케스 서거 3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작품이 아니라, 어릴 적부터 수없이 찾아가 골똘히 바라보며 흠뻑 빠져들었던 경이로운 그림과 그 화가에게 헌정하는 극작가 부에로의 사모곡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