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의 한반도관련 조항과 한국정부의 대응
정병준
경인문화사 2022.12.15.
가격
18,000
18,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한국외교협상사례

책소개

목차

간행사
서 문
범 례
개 요

Ⅰ. 서론

1. 연구의 의의: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과 한국의 대응’ 사례연구의 의미
2. 연구의 특징: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과 1950~60년대 한·미·일 관계의 원형

Ⅱ.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과 한국조항의 성립과정

1.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의 배경과 경위
1) 미국의 대일평화조약 준비와 조약 성격의 변화
2) 일본의 평화조약 준비
2. 한국조항의 중요 쟁점들
1) 대일평화조약 임시초안(제안용)[Provisional Draft of a Japanese Peace Treaty(Suggestive Only)](1951. 3)의 한국조항 및 관련 조항
2) 제3차 영미합동조약 초안 Draft Japanese Peace Treaty (1951. 7. 3)의 한국조항 및 관련 조항
3) 대일평화조약 최종 초안(1951. 8. 13)
4) 한국조항 및 관련 조항의 정리
3. 한국조항의 중요 쟁점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
4. 한국조항의 중요 쟁점에 대한 미국 정부의 입장

Ⅲ. 한미협상의 전개과정과 협상전략

1. 한미협상의 전개과정
1) 미국의 대일평화조약 초안(1951. 3) 수교와 한국정부의 초기 대응
2) 한국정부의 제1차 답신서(1951. 4. 27) 작성과 수교
3) 미국무부의 한국정부 제1차 답신서 검토(1951. 5. 9)
4) 미일협의(1951. 4)·영미회담(1951. 4~5)과 미국의 정책 선회
5) 제1차 한미협의(1951. 7. 9)와 한국정부의 제2차 답신서
6) 제2차 한미협의(1951. 7. 19)와 독도문제의 대두
7) 한국정부의 제3차 답신서(1951. 8. 2)와 미국무부의 독도문제 조사
8) 러스크서한(1951. 8. 10)과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의 체결
2. 한국정부 협상전략의 검토 및 평가

Ⅳ. 결론: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의 외교사적 함의

| 부록 |
관련 자료
자료 1. 대일평화조약 임시초안(제안용)[Provisional Draft of a Japanese Peace Treaty(Suggestive Only)](1951. 3)
자료 2. 제3차 영미합동조약 초안 Draft Japanese Peace Treaty(1951. 7. 3)
자료 3. 대일평화조약 최종 초안(1951. 8. 13)
자료 4. 한국의 대일평화조약 임시초안(제안용) 수령과 초기 대응
자료 5. 한국정부의 제1차 답신서(1951. 4. 27)
자료 6. 미국무부의 한국정부 제1차 답신서 검토 결과(1951. 5. 9)
자료 7. 요시다 시게루 일본수상의 재일한국인 비방 비망록(1951. 4. 23)
자료 8. 영국외무성의 한국정부 제1차 답신서 검토결과(일자미상)
자료 9. 제1차 한미협의 경과(1951. 7. 9)
자료 10. 한국정부의 제2차 답신서(1951. 7. 19)
자료 11. 제2차 한미협의의 경과(1951. 7. 19)
자료 12. 한국정부의 제3차 답신서(1951. 8. 2)
자료 13. 러스크 미국무부 극동담당차관보가 양유찬 주미한국대사에게 보낸 서한(1951. 8. 10)
자료 14. 보그스의 제1차 독도 검토 보고서(1951. 7. 13)
자료 15. 보그스의 제2차 독도 검토 보고서(1951. 7. 16)
자료 16. 보그스의 제3차 독도 검토 보고서(1951. 7. 31)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1

Jung Byung-joon,鄭秉峻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 현대사를 전공했다. 『역사와 현실』 편집위원장, 이화사학연구소장, 한국문화연구원장,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한국 현대사 자료를 찾아 세계를 횡단하며, 새로운 자료에 기초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는 데 긍지를 가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은 『김규식 평전』을 쓰고 있다. 여운형, 이승만, 김구, 김규식, 박헌영, 현앨리스, 염동진 등 한국 현대사의 인물들을 통해 시대와 역사를 긴 호흡으로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다. 『몽양 여운형 평전』, 『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 현대사를 전공했다. 『역사와 현실』 편집위원장, 이화사학연구소장, 한국문화연구원장,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한국 현대사 자료를 찾아 세계를 횡단하며, 새로운 자료에 기초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는 데 긍지를 가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은 『김규식 평전』을 쓰고 있다. 여운형, 이승만, 김구, 김규식, 박헌영, 현앨리스, 염동진 등 한국 현대사의 인물들을 통해 시대와 역사를 긴 호흡으로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다.
『몽양 여운형 평전』, 『우남 이승만 연구』, 『한국전쟁』, 『광복 직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 『독도 1947』,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의 한반도 관련 조항과 한국정부의 대응』 등의 책을 썼으며, 50여 권의 한국 현대사 자료집을 기획?해제했다. 제47회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부문 저술상(2006), 독도학술상(2010), 제36회 월봉저작상(2011), 제56회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부문 저술상(2015) 등을 수상했다.

정병준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12월 15일
쪽수, 무게, 크기
252쪽 | 152*224*20mm
ISBN13
9788949949512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8,000
1 1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