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대리는 슬펐다. 벌레로 변해서까지 지각과 사장님의 꾸지람을 걱정하는 회사원. 자신도 바로 그러한 회사원이라는 사실에 우울해졌다. 회사원은 도대체 어떤 존재인가? 나는 지금 어떤 모습으로 변해가고 있는 걸까? 최 대리는 자신의 팔다리를 힐끔 쳐다보았다.
---「늦잠을 자 놓고 가족에게 성질을 내버렸다」중에서
사람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바퀴벌레는 죽어 마땅한 최악의 존재가 된다. 이 상황을 알게 된다면 바퀴벌레는 뭐라고 할까? 단박에 이렇게 묻지 않을까?
“니가 뭔데? 인간이 뭔데? 나랑 뭐가 다른데?”
---「늦잠을 자 놓고 가족에게 성질을 내버렸다」중에서
닫힌 줄 알았던 문은 실상 열려 있다. 저건 항상 닫혀 있다고 지레짐작하고 열 시도조차 하지 않은 건 나 자신이다. 김 과장은 이제 걸어 나가기로 했다.
---「사무실에 CCTV를 설치하겠단다」중에서
사람들은 가끔 알 수 없는 우울감에 시달립니다. 그리고 대부분 ‘사람이 우울해질 때도 있는 거지’, ‘먹고살려면 참아야지’, ‘내가 유난인가?’하는 생각들로 이 우울한 순간을 넘기려고 합니다. 하지만 가볍게 넘긴 우울감은 사라지지 않고 당신 안에 차곡차곡 쌓여 언제든 당신을 무너트릴 기회를 엿보고 있습니다.
---「승진 누락 이후 우울이 밀려왔다」중에서
이 차장도 이 책을 좋아한다. 성장소설이라 사춘기 청소년들에게나 어울릴법한 이 책을 그는 마흔 줄이 넘어 여러 번 읽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차장이 어떤 유명인을 총으로 죽일 계획을 가진 건 아니다. 물론 가끔 그런 생각이 불쑥 드는 것까지 부인할 순 없지만, 자기를 아무리 저주하는 회사 상사라도 진짜 죽일 생각은 없다.
---「승진 누락 이후 우울이 밀려왔다」중에서
《호밀밭의 파수꾼》을 좋아했던 세기의 살인자들처럼 얼마 전엔 자신도 그 임원을 총으로 쏘는 꿈까지 꿨다. (...) 이 차장은 자신이 이렇게 슬슬 미쳐가고 있는 것 같아 불안했다. 고민 끝에 정신과 상담을 예약해 기다리는 중이다. 지금도 이 차장 머리에는 《호밀밭의 파수꾼》의 책 표지, 시대의 살인자들, 권총, 모 임원의 얼굴이 둥둥 떠다닌다.
---「승진 누락 이후 우울이 밀려왔다」중에서
모든 것들이 변해도 결코 양보할 수 없는 인간의 의미,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불변의 가치들. 이 차장은 그동안 그런 걸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그저 승진이나 더 많은 연봉에 팔아왔다는 걸 깨달았다.
---「승진 누락 이후 우울이 밀려왔다」중에서
회사에 다닐수록 무채색이 되어가는 느낌이 듭니다. 점점 많은 일들에 감흥이 없어지고, 일에 대한 열정도 사라져 가고, 감정을 표출하고 의견을 전달하는 일에 에너지를 쓰기 싫어집니다. 더 심한 것은 점점 회사 밖에서도 무채색 인간이 되어가는 것입니다.
---「직장생활 이후 취미와 멀어지고 내 성격과 다르게 살게 되었다」중에서
이 팀장네 큰 애는 고3이 되었고, 매일 징징대던 막내도 중학생이 되었다. 이 팀장은 여름 방학을 맞아 베트남에 왔던 아내의 말이 자꾸 걸렸다.
“아빠 없는 시간이 길어지니까, 이제 아이들이 아빠와 함께하는 생활을 어색해 해.”
---「해외 파견이 이토록 괴로울 줄 몰랐다」중에서
그저 먹고사는 문제를 가장 높은 곳에 두고, 다른 문제들은 생계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에 따라 서열을 매겼다. 짐짓 조금이라도 깊은 사유가 시작되면 배부른 소리 한다면 스스로를 타박했다. 사유는 생계 앞에서 군말 없이 멈추어 섰다.
---「해외 파견이 이토록 괴로울 줄 몰랐다」중에서
한국의 많은 여성들은 직장생활을 오래 하지 못하는 환경에 놓이고는 합니다. 임신, 출산, 육아 등 다양한 문제들이 발목을 잡기 때문이죠. 하지만 수많은 위기들을 여차저차 넘기고 직장에 다니는 워킹맘이라고 상황이 나은 것은 아닙니다. 그들은 ‘일과 삶의 균형(워라밸)’보다 ‘육아와 삶의 균형’을 고민하며,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집니다. ‘회사에 다니는 것이 맞을까?’, ‘일을 하겠다는 것은 나의 욕심이 아닐까?’하며 자신을 괴롭힙니다.
---「오랜 경력단절 후 다시 출근하게 되었다」중에서
향유 고래를 쫓아 태평양을 샅샅이 돌아다닌 에이해브와 돈을 좇아 자본주의의 바다를 훑고 다녔던 자신이 다를 바가 없어 보인 것이다. 모비 딕에게 한쪽 다리를 잃고 나서 복수의 광기와 죽음의 공포에 시달리는 그의 모습과, 돈에 치이고 사람에게 속아 삶의 의미와 열정을 잃어버린 자신은 다를 바가 없었다. 돈과 사람이라는 핑계를 댔지만, 진짜 자신을 물어뜯은 건 자신의 욕망이었다. 돈만 있으면 인생이 천국으로 바뀔 거라 믿고 쉼 없이 달려왔는데, 돌아온 건 상처와 죄책감 그리고 허무였다.
---「사업에 실패하고 빈털터리가 되었다」중에서
능력주의에서 진 사람들을 깔보는 건 승리자만이 아니다. 실패자는 자기 자신도 깔본다. 능력주의에서 진 사람은 스스로에게도 욕을 한다. 이 공정한 게임에서 진 건 다 내 책임이라고 자신을 모질게 닦달한다.
---「고졸이라는 이유로 잡일을 떠맡았다」중에서
사람들은 점점 더 ‘돈’을 바라보고 삽니다. 어떻게 돈을 벌어야 하는지 묻는 사람은 많지만, 돈을 왜 벌어야 하는지에 대해 묻는 사람은 적습니다. 돈은 많으면 많을수록 그냥 좋은 것이지 나쁠 게 뭐냐고 반문하기도 합니다. 이제 돈은 ‘왜’라는 질문을 초월한 절대 목적이 되었습니다.
---「한탕에 빠져 투자했다 많은 돈을 잃었다」중에서
그날 이후 양 대리는 심장 깊숙한 곳에 파이어족이란 문신을 새겼다. 다른 말로는 ‘내 인생에 충성하자!’였다. 조기 은퇴를 결심한 데에는 훌륭한 선배가 저렇게 초라한 모습으로 나갈 정도라면, 나는 뼈도 못 추리겠다 싶은 자신감 결여도 한몫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이, 그리고 앞으로 해야 할 일들이 나를 나답게 살도록 만드는데 전혀 도움 되지 않을 것 같아서였다.
---「한탕에 빠져 투자했다 많은 돈을 잃었다」중에서
돈 없이 어떻게 살 수 있단 말인가? 소크라테스도 21세기 대한민국에서 태어났다면, 되레 자기 밥벌이도 못하는 것이 수치스럽지 않냐고 백 사원에게 따져 물었을 것이다. 철학과를 나와 변변한 면접 한번 보지 못했던 과거를 생각하면 죽도록 수치스러웠다. 그런데 지금 회사가 그런 백 사원을 구원해 주었다. 자신에게 밥을 주는 분이 하느님 아닌가?
---「갑질하는 회사의 직원으로 살고 있다」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