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새로 쓰는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방법·교육모델과 사례 양장
가격
35,000
35,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방법·교육모델

‘변방사’로 세계사 읽기 : 중앙유라시아사를 위한 변명 | 김호동
Ⅰ. 머리말
Ⅱ. 세계사와 중앙유라시아사
Ⅲ. 한국사와 중앙유라시아사
Ⅳ. 맺음말

일본의 ‘동부유라시아’ 연구의 전개와 향방 | 최재영
Ⅰ. 일본의 ‘동부유라시아’에 대한 학계 관심
Ⅱ. 일본의 ‘동부유라시아’ 연구의 함의
Ⅲ. 일본의 ‘동부유라시아’ 연구에 대한 비판과 그 향방

세계사 교육 강화를 위한 세 가지 교수 모델: 세계문명사, 빅히스토리, 문자/이미지 사료학습 | 박혜정
Ⅰ. 머리말
Ⅱ. 세계문명사를 활용한 세계사 교육
Ⅲ. 빅히스토리를 활용한 세계사 교육
Ⅳ. 문자/이미지 사료학습을 활용한 세계사 교육
Ⅴ. 맺음말

제2부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 사례 1 : 지(知)의 유통과 교역

밖에서 본 중국: 『의심방(醫心方)』의 서적 인용과 부인과(婦人科) 논술 | 리전더(李貞德)
Ⅰ. 『의심방(醫心方)』의 편찬과 전사(傳寫)
Ⅱ. 『의심방』의 부인병(婦人病)에 대한 인식: 임신과 출산을 병의 원인으로
Ⅲ. 『의심방』의 『산경(?經)』 인용 및 「임부월금맥도(任婦月禁脈圖)」
Ⅳ. 중국 의학의 일본화 : 임신과 출산에 편중된 부인방(婦人方)의 전통

동아시아 전통 검시 지식의 계보: 검시 참고서의 편찬·전파·변용을 중심으로 | 최해별
Ⅰ. 머리말
Ⅱ. 서명과 체례 : ‘세원(洗?)’에서 ‘무원(無?)’으로 그리고 다시 ‘세원’으로
Ⅲ. 검시 전 사체처리와 사체 관찰 방법의 전승
Ⅳ. 살상(殺傷) 검시 지식의 전승과 보충
Ⅴ. 뼈의 검시 지식의 단절과 계승
Ⅵ. 맺음말

11세기 후반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의 동아시아 유통과 영향 | 김영미
Ⅰ. 머리말
Ⅱ. 『석마하연론』과 주석서의 유통
Ⅲ. 『석마하연론』 유통의 배경
Ⅳ. 『석마하연론』 유통의 영향
Ⅴ. 맺음말

몽골 평화 시대 아시아에서 유럽 상인들의 상업 활동 | 남종국
Ⅰ. 머리말
Ⅱ.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교역로
Ⅲ. 기록 속의 상인들
Ⅳ. 상업 활동
Ⅴ. 맺음말

제3부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 사례 2 : 인적 교류와 경험

고려-몽골 간 사신(使臣)들, 확장된 공간에서 정치를 매개하다 | 이명미
Ⅰ. 머리말
Ⅱ. 고려에 온 몽골 사신들의 활동
Ⅲ. 고려 측 사행(使行) 양상의 변화
Ⅳ. 고려-몽골 간 사행 양상 변화의 배경
Ⅴ. 맺음말

1900년대 초 재조일본인 사회의 변화와 명사록 출판 | 함동주
Ⅰ. 머리말
Ⅱ. 러일전쟁과 재조일본인 사회의 변화
Ⅲ. 입신출세와 재조일본인 명사록의 출간
Ⅳ. 재조일본인 명사록의 ‘성공’ 내러티브
Ⅴ. 맺음말

M.L.오즈본의 포로 교육 경험과 ‘관전사(貫戰史, Trans-War History)’로서의 심리전 | 고바야시 소메이(小林 聰明)
Ⅰ. 머리말
Ⅱ. 중국에서의 대일(對日)심리전 경험
Ⅲ. 일본·한국에서의 포로교육 경험
Ⅳ. 류큐·베트남에서의 홍보/심리전 경험
Ⅴ. 맺음말

1950년대 재미한인 『독립』 그룹의 비미(非美)활동조사위원회(HUAC) 청문회 소환과 추방 | 정병준
Ⅰ. 머리말
Ⅱ. 비미활동조사위원회 청문회에 소환된 재미한인들
Ⅲ. 비미활동조사위원회 청문회의 주요 쟁점
Ⅳ. 미국에서 추방된 재미한인들
Ⅴ. 맺음말

저자 소개11

고바야시 소메이

관심작가 알림신청

小林聰明

니혼대학(日本大?) 법학부 교수. 박사(사회학). 전문 분야는 동아시아 국제정치사?미디어사, 한반도 지역 연구. 주요 저서는 『재일 조선인의 미디어 공간?GHQ점령기에서의 신문 발행과 역동성(在日朝鮮人のメディア空間?GHQ占領期における新聞?行とそのダイナミズム)』 (風響社, 2007),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과 감동?미군정기/1950년대 초 한국사회(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約と感情―米軍政期/一九五?年代初頭の韓?社?)” (川島??細谷雄一 편, 『샌프란시스코 강화와 동아시아(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と東アジア』東京大?出版?, 2022) 등이 있다.

고바야시 소메이의 다른 상품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라의 아미타정토신앙 연구에서 출발하여, 고려시대 여성의 불교 신앙과 비구니의 활동, 고려와 거란의 불교 교류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김영미의 다른 상품

金浩東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하버드 유학 시절에 『집사』를 읽기 시작하였고, 2004년부터 2023년까지 『집사』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라시드 앗 딘의 집사』(전 5권)는 2023년 한국출판문화상 올해의 번역서로 선정되었다. 몽골제국과 중앙유라시아 역사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케임브리지 몽골제국사)』(전 2권, 2023)의 대표 저자를 맡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 『근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하버드 유학 시절에 『집사』를 읽기 시작하였고, 2004년부터 2023년까지 『집사』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라시드 앗 딘의 집사』(전 5권)는 2023년 한국출판문화상 올해의 번역서로 선정되었다. 몽골제국과 중앙유라시아 역사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케임브리지 몽골제국사)』(전 2권, 2023)의 대표 저자를 맡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 『근대 중앙아시아의 혁명과 좌절』, 『황하에서 천산까지』, 『동방 기독교와 동서문명』, 『몽골제국과 고려』,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한 역사학자가 쓴 성경 이야기: 구약편』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역사서설』, 『유목 사회의 구조』,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이슬람 1400년』, 『몽골제국 기행: 마르코 폴로의 선구자들』 등 여러 권의 책을 번역했다.

김호동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프랑스 파리 1대학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세 지중해 문명 교류의 역사, 중세 이탈리아 상인들, 몽골 평화 시대 동서교류사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 「중세 해상 제국 베네치아: 신화인가, 실체인가?」「1480년 예루살렘 순례 여행」등이 있고, 「상업 기록 속의 중세 이탈리아 상인과 상업 세계」, 「중세 말 유럽에서의 향신료」, 「중세 말 베네치아의 해상 네트워크」 등의 다수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는 『지중해 교역은 유럽을 어떻게 바꾸었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프랑스 파리 1대학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세 지중해 문명 교류의 역사, 중세 이탈리아 상인들, 몽골 평화 시대 동서교류사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 「중세 해상 제국 베네치아: 신화인가, 실체인가?」「1480년 예루살렘 순례 여행」등이 있고, 「상업 기록 속의 중세 이탈리아 상인과 상업 세계」, 「중세 말 유럽에서의 향신료」, 「중세 말 베네치아의 해상 네트워크」 등의 다수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는 『지중해 교역은 유럽을 어떻게 바꾸었을까?』, 『이탈리아 상인의 위대한 도전》, 『중세 해상제국 베네치아』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프라토의 중세 상인』, 『지중해: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 세계 2-1, 2-2』(공역) 등이 있다.

남종국의 다른 상품

대만 중앙연구원 역사어언연구소(中央硏究院 歷史語言硏究所)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중국 중세 법률제도와 의료문화를 연구해왔으며, 현재는 대만사·동아시아의료사로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리전더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질적인 요소들이 강하게 부딪히고 장기간 함께하게 될 때 나타나는 변화상에 관심이 있어, 주로 정치사를 중심으로 한 고려-몽골 관계사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13~14세기 고려·몽골 관계 연구: 정동행성승상 부마 고려국왕, 그 복합적 위상에 대한 탐구』(2016, 혜안), 『고려, 몽골에 가다』(2022, 세창미디어), 『고려·몽골 관계 깊이 보기』(2022, 동북아역사재단) 등이 있다.

이명미의 다른 상품

Jung Byung-joon,鄭秉峻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 현대사를 전공했다. 『역사와 현실』 편집위원장, 이화사학연구소장, 한국문화연구원장,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한국 현대사 자료를 찾아 세계를 횡단하며, 새로운 자료에 기초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는 데 긍지를 가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은 『김규식 평전』을 쓰고 있다. 여운형, 이승만, 김구, 김규식, 박헌영, 현앨리스, 염동진 등 한국 현대사의 인물들을 통해 시대와 역사를 긴 호흡으로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다. 『몽양 여운형 평전』, 『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 현대사를 전공했다. 『역사와 현실』 편집위원장, 이화사학연구소장, 한국문화연구원장,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건립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한국 현대사 자료를 찾아 세계를 횡단하며, 새로운 자료에 기초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는 데 긍지를 가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은 『김규식 평전』을 쓰고 있다. 여운형, 이승만, 김구, 김규식, 박헌영, 현앨리스, 염동진 등 한국 현대사의 인물들을 통해 시대와 역사를 긴 호흡으로 이해하려 노력하고 있다.
『몽양 여운형 평전』, 『우남 이승만 연구』, 『한국전쟁』, 『광복 직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 『독도 1947』,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의 한반도 관련 조항과 한국정부의 대응』 등의 책을 썼으며, 50여 권의 한국 현대사 자료집을 기획?해제했다. 제47회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부문 저술상(2006), 독도학술상(2010), 제36회 월봉저작상(2011), 제56회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부문 저술상(2015) 등을 수상했다.

정병준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림대학교 인문학부 사학전공 부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한국과 동아시아의 동궁 연구』(공저, 역사산책, 2018), 『도시 속의 역사』(공저, 라움, 2012)가 있으며, 역서로는 『또 하나의 돈황』(이담북스, 2005), 『장안은 어떻게 세계의 수도가 되었나』(황금가지, 2006)가 있다. 그 외 논문으로 「수당장안성과 시장 의 기능」(『역사와 담론』 86, 2018), 「당대 도성 수축 관리제도와 법률조직」(『東洋史學 硏究』 128, 2014) 등이 있다.

최재영의 다른 상품

1978년 경남 거창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북경대학교 역사학과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연구교수를 거쳐 명지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계약관계를 통해 본 송대 여성들의 일상생활"이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이후 지금까지 송대 법제사, 사회사, 여성사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으며, 현재는 송대 검시 문화와 함께 송대 의학의 발전과 사대부의 활약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역서로는 『공주의 죽음-우리가 모르는 3-7세기 중국 법률 이야기
1978년 경남 거창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북경대학교 역사학과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연구교수를 거쳐 명지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계약관계를 통해 본 송대 여성들의 일상생활"이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이후 지금까지 송대 법제사, 사회사, 여성사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으며, 현재는 송대 검시 문화와 함께 송대 의학의 발전과 사대부의 활약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역서로는 『공주의 죽음-우리가 모르는 3-7세기 중국 법률 이야기』(프라하, 2013)가 있다.

최해별의 다른 상품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사학을 전공하고 미국 시카고대학 사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일본근대사 분야의 전문가로 한국일본사학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근대일본의 아시아론, 식민담론과 근대적 역사서술의 성립 등에 대해 연구해 왔으며 현재까지 일본근현대사 관련하여 저역서 및 다수의 논문들을 발표하였다. 대표적 저서로는 『천황제 근대국가의 탄생』(창작과 비평사)이 있다. 최근에는 러일전쟁 이후의 재조일보인 문제와 1920년대 일본의 도시문화에 관한 논문들을 발표하고 있다.

함동주의 다른 상품

독일 빌레펠트 대학에서 「복고와 개혁 사이의 독일 전후 직업교육 이중체제」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교양교 육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경기대학교에서 독일사, 유럽사, 동아시아사, 지구사를 다년 간 강의하며 탈경계 역사 패러다임의 연구와 교육에 몰두해왔다. 최근에는 오랜기간 천착해온 탈경계적 연구 관심을 기후사, 환경사, 빅히스토리로 확장하여 이를 교양교육 콘텐츠로 개발하는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공저서로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제국과 변경』, 『시대의 물음에 답하라』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서구의 아
독일 빌레펠트 대학에서 「복고와 개혁 사이의 독일 전후 직업교육 이중체제」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교양교 육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경기대학교에서 독일사, 유럽사, 동아시아사, 지구사를 다년 간 강의하며 탈경계 역사 패러다임의 연구와 교육에 몰두해왔다. 최근에는 오랜기간 천착해온 탈경계적 연구 관심을 기후사, 환경사, 빅히스토리로 확장하여 이를 교양교육 콘텐츠로 개발하는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다.

공저서로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제국과 변경』, 『시대의 물음에 답하라』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서구의 아토피아적 위치」, 「역사와 기후의 조우」, 「도시, 자연, 환경」, 「21세기 교양교육의 융합학문적 지도 그리기」 등이 있다.료진들이 24시간 꺼지지 않는 희망의 불빛을 밝히고 있다.

박혜정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2년 11월 28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400쪽 | 710g | 152*225*24mm
ISBN13
9791160687835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35,000
1 3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