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0년 11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20쪽 | 616g | 160*220*20mm |
ISBN13 | 9788947546591 |
ISBN10 | 8947546593 |
중고샵 판매자가 직접 등록/판매하는 상품으로 판매자가 해당 상품과 내용에 모든 책임을 집니다.
발행일 | 2020년 11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20쪽 | 616g | 160*220*20mm |
ISBN13 | 9788947546591 |
ISBN10 | 8947546593 |
들어가며_ 20년 책육아로 아이를 키우다 시작하기 전에_ 왜 독서인가? 책육아의 모든 것 Q&A 1 #책 거부하는 아이 책육아가 기적이 되는 법 1_ 독서는 기본을 키우는 힘이다 PART 1 책육아의 시작 1. 엄마도 책으로부터 배우다 아이는 나와 다르게 키우고 싶다 다시, 책! 서점에서 만난 첫 육아 멘토 책육아의 시작 스승을 만날 기회는 언제든 있다 항복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아이가 책 속으로 걸어 들어가다 책육아의 모든 것 Q&A 2 #하루 권장 독서량 책육아가 기적이 되는 법 2_ 아이가 좋아하는 것에서 시작하라 2. 지식은 경험을 통해 완성된다 모든 교육의 기초는 어휘다 실물 체험의 힘 정보 전달보다 더 중요한 것 가장 효과적인 학습방법 다양한 표현의 중요성 책 속의 경험 일상으로 끌어오기 책 속의 경험 따라 하기 하나의 문이 닫히면 또 다른 문이 열린다 책육아의 모든 것 Q&A 3 #책을 대하는 부모의 자세 책육아가 기적이 되는 법 3_ 실물 경험을 통해 지식은 더 확실하고 구체화된다 PART 2 책육아의 방법 3. 다양한 영역의 책 읽기 책 편식은 왜 생기나 아이를 키우는 일은 나를 넘어서는 일 알면 사랑하게 되나니 자연관찰 책을 즐겁게 읽어주는 방법 책육아의 모든 것 Q&A 4 #잠자리 독서 이럴 수가! 벌써 늦어버렸나? 자연관찰 책을 좋아하지 않는 아이들을 위한 조언 자세히, 가까이 보아야 예쁘다 이해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창작 책 읽기 창작 책을 좋아하지 않는 아이들을 위한 조언 책육아의 모든 것 Q&A 5 #전자책의 장단점 책육아가 기적이 되는 법 4_ 다양한 영역의 책 읽기를 통해 아이의 몸마음머리를 깨운다 4. 언제부터, 어떻게, 얼마나 읽는 것이 좋을까 아이의 행복한 책 읽기를 위한 몇 가지 조언 언제부터, 어디까지, 얼마만큼 읽어야 하나 책육아의 모든 것 Q&A 6 #독서습관 들이기 두 아이에게 동시에 책 읽어주기 한글 뗀 아이의 읽기독립 책육아의 모든 것 Q&A 7 #대충 읽는 습관 바로잡기 책육아가 기적이 되는 법 5_ 빨리, 다양하게, 오랫동안 읽어준다 5. 몸마음머리가 자라는 독서 이력 아이의 성장 단계에 맞는 책 지도 책육아의 모든 것 Q&A 8 #전래동화와 명작동화의 잔혹성 책육아가 기적이 되는 법 6_ 책 읽기 수준은 아이가 결정하고, 연계 독서로 확장해간다 6. 책 읽기의 완성은 독후활동이다 아이를 더 넓고 깊어지게 하는 독후활동 초기 독후활동과 유아기의 독후활동 방법_ 아이가 좋아하는 책으로 시작하라 책육아의 모든 것 Q&A 9 #독후활동의 성공비결 중기 독후활동 방법 1_ 그리고, 만들고, 이야기하고, 즐거워하라 책육아의 모든 것 Q&A 10 #게임을 통한 교육 중기 독후활동 방법 2_ 정답이 없는 열린 질문을 하라 중기 독후활동 방법 3_ 어떤 질문을 어떻게 할 것인가 엄마의 배경지식을 키우는 방법 책육아의 모든 것 Q&A 11 #모른다고 답하는 아이 완기 독후활동과 초등 시기의 독후활동 ‘다중지능이론’을 바탕으로 한 독후활동 책육아의 모든 것 Q&A 12 #정독하지 않는 아이 책육아가 기적이 되는 법 7_ 독후활동을 통해 넓고 깊은, 그리고 단단한 아이로 자란다 7. 책 읽기가 즐겁지 않은 아이들 책을 싫어하는 아이에게 책을 선물하는 방법 책육아의 모든 것 Q&A 13 #독서 시간과 학습 시간의 비율 책육아가 기적이 되는 법 8_ 불가능한 아이는 없으며, 언제 시작해도 결코 늦지 않다 나오며_ 20년 책육아로 자라난 나 부록 1_ 누리과정 주간교육계획안을 바탕으로 한 1년 365일 독서 가이드 부록 2_ 만화책 『베이블레이드 버스트』를 예시로 지적, 정서적 활용하기의 노하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