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투자 권하는사회
투자에서 투기까지, 대중투자사회의 역사
베스트
역사와 문화 교양서 top100 7주
가격
18,000
10 16,200
YES포인트?
90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책머리에 / 이정은

1부 투자와 투기의 기원

1. 시장을 이길 수 있는가? ― 20세기 주식시장 읽기와 투자 기법들의 역사 / 김승우
2. 1920년대 플로리다 부동산 개발 붐과 과열 투기 / 박진빈
3. 한국의 땅 투기 열풍,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 일제하 일본인의 한국 대지주화 / 최은진
4. 한국 주식시장의 기원 ― 개항기에서 1950년대까지 / 이명휘

2부 투자의 대중화와 저변화

5. 중산층의 부동산 투기와 사회적 공간의 위계화 / 송은영
6. 1980년대 후반 증시호황기 ‘개미’의 탄생과 시련 / 이정은
7. 버블기 일본에서 나타난 투기·투자의 특징과 그 의미 / 여인만

3부 확장하는, 투자 권하는 사회

8. 토지독점에 기초한 부동산 재벌의 도시지배와 ‘홍콩 현상’ / 조성찬
9. 자가소유 사회의 한계 ― 2010년 이후 영국의 자산기반 주택 정책 / 오도영
10. 중국의 핀테크 기업과 국가 / 박철현

미주
참고문헌

저자 소개10

스웨덴 웁살라대학 경제사학과 연구원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제1차 세계대전 전후 연방정부 공공 주택 정책의 성과와 역사적 의의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의 혁신주의와 뉴딜 정책, 인종 갈등, 도시 문제 등을 주제로 연구했다. 논문으로 “브루클린 수변 산업지역 재개발”(2023), “캘리포니아 유령도시는 광산 개발 시대를 어떻게 기억하는가?”(2022), “미국 여성사와 공공역사의 상호작용”(2021), “정원도시의 탄생”(2019) 등이 있다. 단독 저서로는 『도시로 보는 미국사』(2016)와 『백색국가 건설사』(2006), 공저로는 『투자 권하는 사회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제1차 세계대전 전후 연방정부 공공 주택 정책의 성과와 역사적 의의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의 혁신주의와 뉴딜 정책, 인종 갈등, 도시 문제 등을 주제로 연구했다. 논문으로 “브루클린 수변 산업지역 재개발”(2023), “캘리포니아 유령도시는 광산 개발 시대를 어떻게 기억하는가?”(2022), “미국 여성사와 공공역사의 상호작용”(2021), “정원도시의 탄생”(2019) 등이 있다. 단독 저서로는 『도시로 보는 미국사』(2016)와 『백색국가 건설사』(2006), 공저로는 『투자 권하는 사회』(2023)와 『세계도시설명서』(2021)가 있다. 『빅체인지』(2008) 등 여러 책을 번역했다.

박진빈의 다른 상품

Choi, Eun-jin,崔銀珍

한양대학교 사학과와 동 대학원 석ㆍ박사과정을 졸업했다. 국가보훈처 학예연구사 등을 거쳐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한양대학교 사학과 겸임교수로 있다. 주로 한국근대사의 식민지배정책사, 사회경제사, 법제사, 한일관계사, 트랜스내셔널사, 사회운동사, 독립운동사 분야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투자 권하는 사회』(2023, 공저), 『식민지지주제와 소작정책의 식민성』(2021), 역서로는 『국역 조선총독부 30년사』 상ㆍ중ㆍ하(2018, 공역)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군산미의 대일 수출구조」(2011), 「일제강점기 안창남의 항공독립운동」(2016), 「일제하 조선고등
한양대학교 사학과와 동 대학원 석ㆍ박사과정을 졸업했다. 국가보훈처 학예연구사 등을 거쳐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한양대학교 사학과 겸임교수로 있다.
주로 한국근대사의 식민지배정책사, 사회경제사, 법제사, 한일관계사, 트랜스내셔널사, 사회운동사, 독립운동사 분야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투자 권하는 사회』(2023, 공저), 『식민지지주제와 소작정책의 식민성』(2021), 역서로는 『국역 조선총독부 30년사』 상ㆍ중ㆍ하(2018, 공역)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군산미의 대일 수출구조」(2011), 「일제강점기 안창남의 항공독립운동」(2016), 「일제하 조선고등법원 판례를 통해 본 소작문제」(2017), 「대한민국정부의 3ㆍ1절 기념의례와 3ㆍ1운동 표상화(1949~1987/1988~2017)」(2017~2018),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조선농지령 입안과 일본정부의 심의ㆍ의결과정」(2019), 「1930년대 중반 조선농지령 시행 이후의 소작쟁의」(2020), 「1920년대 후반 전북 옥구 이엽사농장 소작쟁의의 전개과정과 성격」(2021),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지주제와 소작문제 비교」(2021), 「일제하 토지 투자 열풍」(2022), 「1920년대 말~1930년대 초 대공황기 식민지 조선 상인의 경제위기와 대응」(2022), 「1930년대 장흥의 전남운동협의회 관련 활동과 지역사회」(2022) 등이 있다.

최은진의 다른 상품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전문연구원
순천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정은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으며, 도쿄대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를 졸업하였다(경제학박사). 현재, 강릉원주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환동해 경제론』 『일본의 기업과 경영』 『에너지 혁명과 일본인의 생활 세계』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탈성장신화』 『국제경영사』 등이 있다.

여인만의 다른 상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중국인민대학교 토지관리학과에서 「中國城市土地年租制及其對朝鮮經濟特區的適用模型硏究(중국 도시 토지연조제의 조선 경제특구 적용모델 연구)」(2010)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0년부터 토지+자유연구소에서 활동하다가 2019년에 새로 출범한 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을 맡아서 일하고 있다. 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은 ‘동북아의 평화체제와 상생발전 모델 연구’를 목표로 (사)하나누리 부설로 설립되었다.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 공동연구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중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중국인민대학교 토지관리학과에서 「中國城市土地年租制及其對朝鮮經濟特區的適用模型硏究(중국 도시 토지연조제의 조선 경제특구 적용모델 연구)」(2010)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0년부터 토지+자유연구소에서 활동하다가 2019년에 새로 출범한 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을 맡아서 일하고 있다. 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은 ‘동북아의 평화체제와 상생발전 모델 연구’를 목표로 (사)하나누리 부설로 설립되었다.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 공동연구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중국의 토지개혁 경험』(2011, 공저,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상생도시』(2015), 『특구: 국가의 영토성과 동아시아의 예외공간』(공저, 2017), 「중국의 도시화와 공공토지 사유화」([역사비평], 2016), 「북한의 관광산업에 기초한 토지사용료 순환형 경제발전 모델 연구」(「북한연구학회보」, 2015), 「북한 경제특구 공공토지임대제 모델 연구」(「동북아경제연구」, 2014)가 있다. 2017년에 제 2회 김기원 학술상을 수상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공공토지임대제, 중국과 북한의 토지정책, 북한 지역발전 전략이다.

조성찬 의 다른 상품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중국 런민대학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이다. 관심분야는 중국 동북지역, 국유기업, 노동자, 동아시아 근대국가, 기층 거버넌스, 도시 등이다.

박철현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3월 30일
쪽수, 무게, 크기
328쪽 | 396g | 152*224*16mm
ISBN13
9788976965790

책 속으로

20세기 후반부터 서구 학계는 금융의 사회적 연구 혹은 문화적 연구 등의 이름으로 사회의 권력관계 속에서 금융의 영향력이 늘어나는 ‘금융화’의 모습을 재검토하기 시작했다. 역사학자들은 좀 더 장기적인 ‘자본주의’의 흐름 속에서 ‘대중투자사회’의 역사를 재구성하고 있다. 이들은 자유시장 이념과 글로벌 네트워크의 확산, 그리고 전쟁과 같은 역사적 사건 등을 통해서 과연 대중이 어떻게 금융시장으로 포섭되었는지, 혹은 일상 속에서 얼마나 다양한 금융상품을(심지어 놀이와 여가의 대상으로 삼아!) 전유하고 있는지 주목하고 있다.

이 책에 모인 글들 또한 이러한 흐름에 맞춰 대중투자사회의 등장을 역사적 관점에서 고찰했다. 다양한 시대와 지역 그리고 투자시장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바라보기 위해, 오늘날 경제적 인간 혹은 투자하는 인간으로 자리매김한 우리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했다. 각 글은 한국은 물론 20세기 세계 각지에서 일어난 특정 투자 붐에 주목하면서, 그것이 일어난 배경과 추동시킨 조건과 주체, 그리고 일반 국민을 ‘투자자’로 소환시킨 기법과 정책 등을 살펴보며, 근대사회 이래 ‘투자’의 실태와 사회적 영향을 소개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다수의 일반인들이 투자 시장으로 초청/호명되었던 배경 및 귀결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이는 각 시대와 지역별로 양상은 조금씩 다르지만, 당대 체제를 지탱하는 기반을 확대하며 이들을 체제의 ‘공범’으로 만들거나, 그 반대로 한없는 나락으로 떨어뜨리며 사회에서 외면받거나 아예 사라진 이들을 양산해 온 역사를 살피는 작업이기도 할 것이다.

---「책머리에」중에서

출판사 리뷰

대중투자사회가 등장한 역사를 재구성하다 ― 투자 권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투자를 통해 ‘부자 되는 법’을 찾는 책이 아니다. 그래서 책을 열어본 투자자들은 실망할 것이다. 하지만 대중투자사회에 대한 역사적 지식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각 시대의 투자 시장을 이해하는 데 다양한 관점을 제공한다. 대중투자사회의 지속적인 확장을 지켜보면서, 20세기 후반부터 서구 학계는 금융이 사회의 권력관계에 매우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른바 ‘금융화’ 현상을 분석하기 시작했다. 그에 따라 역사학자들은 자유시장 이념과 글로벌 네트워크의 확산, 그리고 전쟁과 같은 역사적 사건 등을 통해서 과연 대중이 어떻게 금융시장으로 포섭되었는지, 혹은 일상 속에서 얼마나 다양한 금융상품을 전유하고 있는지 주목했다. 그런 작업을 통해 오늘날 경제적 인간 혹은 투자하는 인간으로 자리매김한 우리의 모습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했다. 그런 점에서 대중투자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대중투자의 역사, 투기와 투자의 변별성, 현재 진행 중인 각 지역의 투자환경의 변화에 대해 이 책이 상당히 유용한 지적 성찰과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투자와 투기의 기원

1부는 20세기 초에 전개된 대중투자의 기원에 대한 역사를 다루었다. 김승우는 20세기 초부터 대중투자사회로 진입했던 미국 주식시장을 배경으로, 지금도 시장에 적용되고 있는 주요 투자 전략들의 역사적 기원과 의미를 살폈다. 박진빈은 1920년대 광적으로 등장한 미국 플로리다의 부동산 개발과 투기 열풍, 그리고 이후 극적인 몰락의 여파와 그 과정에서 발생한 부패와 무책임을 분석했다. 최은진은 1904년경부터 1910년대까지의 조선에 대한 일본인 토지 투기 양상과 일제 식민 당국의 정책 지원을 분석하며 한국 토지 투기의 식민지적 원형을 탐구했다. 이명휘는 조선의 개항부터 1950년대까지 이르는 주식거래의 역사적 변화와 성격을 분석하며, 일제 식민지기 주식시장의 특징과 그것이 해방 이후까지 연속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짚었다.

투자의 대중화와 저변화

2부는 한국과 일본에서 투자의 대중화와 저변화가 진행되었던 시기의 양상을 보여주는 글들이다. 송은영은 1970년대 이후 한국에서 중산층이 나서면서 ‘대중화’된 부동산 투기를 살피며, 그것이 한국 사회에 끼친 공간적 위계화의 영향과 의미를 묻고 있다. 이정은은 한국의 대중적 주식투자가 시작된 시기를 1980년대 중후반으로 주목하고, 갑자기 몰아친 주식 열풍 아래 처음으로 등장한 ‘개미군단’의 등장과 몰락을 분석했다. 여인만은 1980~90년대 초 일본에서 지가와 주가가 동반 상승하면서 등장한 버블 경제기 일본 사회의 투기 열풍과 사회적 심리 상태, 기업과 가계의 대응, 그리고 현재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버블 붕괴 이후의 충격을 다뤘다.

확장하는, 투자 권하는 사회

3부는 최근까지 투자가 진행·확장 중인 각 국가의 사례를 살폈다. 조성찬은 홍콩의 사례를 통해 토지, 주택, 교통, 전기, 가스 등 시민의 일상을 좌우하는 ‘도시 커먼즈’가 소수 대자본에 의해 지배될 때 어떤 결과가 발생하는지를 보여주었다. 오도영은 자가소유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영국의 사례를 통해 부동산에 기반한 자산 복지 정책의 실태와 한계를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현대 중국 서민층의 투자 열풍을 살핀 박철현은 그 근간으로 증시 부양을 통해 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국가와 인터넷 고리대금업자인 핀테크 기업의 활동을 지목해서 분석했다.

리뷰/한줄평3

리뷰

8.0 리뷰 총점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16,200
1 16,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