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1. 서장
2. 아편전쟁과 중국의 근대 3. 태평천국 4. 제2차 아편전쟁 5. 양무운동과 구체제의 재편성 6. 중국근대사에서의 청일 전쟁의 위치 7. 청말 개혁운동 8. 의화단 운동 9. 신해혁명 10. 서양근대에 대한 중국지식인의 대응 |
천진조약이 체결되긴 하였지만 청왕조 상층부는 그 조항이 실시에 옮겨질 경우 불가피하게 생겨날 여러 문제에 대하여 고민하고 있었다. 그들이 두려워 한 것은 외국인의 내지 진출이 민중과의 관계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와 지금까지의 지배체제에 동요를 야기시키지는 않을까 하는 점, 특히 장강유역에서의 상업활동을 통해서 열강이 태평천국에 접근할 위험성에 대한 우려였다. 또한 외국공사의 북경주재를 허용하는 것은 천왕조의 위신을 실추시키는 것이라고 그들은 심각하게 반응하였다. 상해에서 세칙과 통상조약의 개정을 교환하는 자리에서 청국측은 타격을 최소한으로 막아보고자 하였지만 열강측이 한번 손에 쥔 이권을 쉽게 내놓으려 할 리가 없었다.
--- p.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