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제1부 지역 사회의 화합과 안정을 도모하다
○ 조선 후기 밀양 엘리트 집단의 결혼망과 분재 | 정수환 Ⅰ. 머리말 Ⅱ. 토착 기반 재지사족의 분재: 밀성박씨 모선재 후손가 Ⅲ. 학연과 입향 그리고 가화 대응:의령남씨 침류정 후손가 Ⅳ. 혈연과 입향 그리고 토지 집적: 창녕조씨 취원당 후손가 Ⅴ. 맺음말 ○ 조선시대 밀양 지역 성황신앙의 위상과 종교에 미친 문화적 영향력 - 삼한벽상공신 손긍훈 장군 성황을 중심으로 | 최진아 Ⅰ. 머리말 Ⅱ. 지역수호신으로서 손긍훈 성황의 추존 배경과 그 위상 Ⅲ. 손긍훈 성황신앙이 밀양 지역 종교에 미친 문화적 영향력 Ⅳ. 맺음말 제2부 공간, 인물과 장소의 상징적 표상이 되다 ○ 밀양 재지사족의 『칠탄정십육경화첩』 제작과 문화적 함의 | 정은주 Ⅰ. 머리말 Ⅱ. 밀양의 재지사족 손기양과 칠리탄 Ⅲ. 손기양 학맥의 현창과 『칠탄정십육경화첩』의 제작 Ⅳ. 맺음말 ○ 『오한집』 간행과 칠탄서원 건립의 역사적 의미 | 이남옥 Ⅰ. 머리말 Ⅱ. 손기양과 퇴계학파의 관계 Ⅲ. 『오한집』 간행 과정 Ⅳ. 유허 정비와 칠탄서원 건립 Ⅴ. 맺음말 ○ 『조선시대 밀양 지역의 명승 형성 양상 - 「밀양십경」과 「금시당십이경」을 중심으로 | 김지현 Ⅰ. 머리말 Ⅱ. 서거정이 읊은 「밀양십경」과 밀양 제1경 영남루 Ⅲ. 「금시당십이경」과 밀양 제4경 월연정 Ⅳ. 맺음말 제3부 지역 공동체의 삶과 정서를 구전하다 ○ 『밀양 방언 모음의 음운론적 특징 - 19세기 말 20세기 초 사례를 중심으로 | 이래호 Ⅰ. 머리말 Ⅱ. 밀양 지역의 언어를 보여주는 자료 Ⅲ. 19세기 말 20세기 초 밀양 방언 모음의 음운론적 특징 Ⅳ. 맺음말 ○ 밀양 향토민요의 분포 양상과 음악적 특징 | 이윤정 Ⅰ. 머리말 Ⅱ. 밀양 향토민요의 분포 양상 Ⅲ. 밀양 향토민요의 음악적 특징 Ⅳ. 맺음말 |
저정은주
관심작가 알림신청정은주의 다른 상품
저정수환
관심작가 알림신청정수환의 다른 상품
저최진아
관심작가 알림신청저이남옥
관심작가 알림신청이남옥의 다른 상품
저이래호
관심작가 알림신청이래호의 다른 상품
저이윤정
관심작가 알림신청저김지현
관심작가 알림신청김지현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