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16,000
16,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AKS 인문총서

책소개

목차

제1부 지역 사회의 화합과 안정을 도모하다

○ 조선 후기 밀양 엘리트 집단의 결혼망과 분재 | 정수환
Ⅰ. 머리말
Ⅱ. 토착 기반 재지사족의 분재: 밀성박씨 모선재 후손가
Ⅲ. 학연과 입향 그리고 가화 대응:의령남씨 침류정 후손가
Ⅳ. 혈연과 입향 그리고 토지 집적: 창녕조씨 취원당 후손가
Ⅴ. 맺음말

○ 조선시대 밀양 지역 성황신앙의 위상과 종교에 미친 문화적 영향력 - 삼한벽상공신 손긍훈 장군 성황을 중심으로 | 최진아
Ⅰ. 머리말
Ⅱ. 지역수호신으로서 손긍훈 성황의 추존 배경과 그 위상
Ⅲ. 손긍훈 성황신앙이 밀양 지역 종교에 미친 문화적 영향력
Ⅳ. 맺음말

제2부 공간, 인물과 장소의 상징적 표상이 되다

○ 밀양 재지사족의 『칠탄정십육경화첩』 제작과 문화적 함의 | 정은주
Ⅰ. 머리말
Ⅱ. 밀양의 재지사족 손기양과 칠리탄
Ⅲ. 손기양 학맥의 현창과 『칠탄정십육경화첩』의 제작
Ⅳ. 맺음말

○ 『오한집』 간행과 칠탄서원 건립의 역사적 의미 | 이남옥
Ⅰ. 머리말
Ⅱ. 손기양과 퇴계학파의 관계
Ⅲ. 『오한집』 간행 과정
Ⅳ. 유허 정비와 칠탄서원 건립
Ⅴ. 맺음말

○ 『조선시대 밀양 지역의 명승 형성 양상 - 「밀양십경」과 「금시당십이경」을 중심으로 | 김지현
Ⅰ. 머리말
Ⅱ. 서거정이 읊은 「밀양십경」과 밀양 제1경 영남루
Ⅲ. 「금시당십이경」과 밀양 제4경 월연정
Ⅳ. 맺음말

제3부 지역 공동체의 삶과 정서를 구전하다

○ 『밀양 방언 모음의 음운론적 특징 - 19세기 말 20세기 초 사례를 중심으로 | 이래호
Ⅰ. 머리말
Ⅱ. 밀양 지역의 언어를 보여주는 자료
Ⅲ. 19세기 말 20세기 초 밀양 방언 모음의 음운론적 특징
Ⅳ. 맺음말

○ 밀양 향토민요의 분포 양상과 음악적 특징 | 이윤정
Ⅰ. 머리말
Ⅱ. 밀양 향토민요의 분포 양상
Ⅲ. 밀양 향토민요의 음악적 특징
Ⅳ. 맺음말

저자 소개7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미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朝鮮時代 明淸 使行 關聯 繪畵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시대 대외관계 기록화 및 회화식 고지도를 연구하며,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학술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에도시대 나가사키 당관(唐館)을 통해 유입된 중국화풍의 영향 , 중국 역대 직공도의 한인도상(韓人圖像)과 그 인식 , 19세기 대청사행(對淸使行)과 연행도 , 중국에서 유입된 지도의 조선적 변용 , 계미(1763) 통신사행의 화원 활동 연구 , 조선시대 사행기록화』와 공저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미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朝鮮時代 明淸 使行 關聯 繪畵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시대 대외관계 기록화 및 회화식 고지도를 연구하며,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학술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에도시대 나가사키 당관(唐館)을 통해 유입된 중국화풍의 영향 , 중국 역대 직공도의 한인도상(韓人圖像)과 그 인식 , 19세기 대청사행(對淸使行)과 연행도 , 중국에서 유입된 지도의 조선적 변용 , 계미(1763) 통신사행의 화원 활동 연구 , 조선시대 사행기록화』와 공저로 전근대 서울에 온 외국인들 , 표암 강세황, 조선 후기 문인화가의 표상』 등이 있다.

정은주의 다른 상품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석연구원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17세기 동전유통의 정책과 실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고문서와 일기자료를 활용하여 조선시대 일상을 추적하면서 마을을 주제로 조선시대에서 현대까지 농촌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조선왕실의 의례와 재원』, 『한국 농촌개발과 국제개발』, 「17세기 전반 조극선의 매매기록과 용전경험」, 「18세기 경주 갓뒤마을 동계의 말림갓을 위한 호혜와 협동」, 「서유구의 학문세계와 학문자세, 그리고 실사구시」 등이 있다.

정수환의 다른 상품

한국학 전공,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조교수, 「죽음의례 물질문화에 표상된 다가치성 해석: 문화사적 관점에서 본 무속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다스림으로 본 성저십리』(공저) 등의 논저가 있다.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관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양학과, 김천대학교 교양학과 등을 거쳐 현재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사상사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정치, 문화, 인물, 문헌 등에 대해 다양하게 연구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도산서원』(공저), 『노강서원 · 화양서원』(공저,), 「하곡 정제두의 관력과 산림직 역임의 의미」 등이 있다.

이남옥의 다른 상품

강원대학교 인문학부 국어국문학전공 교수.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1년 「은진송씨 제월당 송규렴가 『선찰』 소재 언간」을 접하게 되면서 언간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2008년,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수집·정리와 어휘·서체 사전의 편찬 연구」를 수행하였고, 2011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을 수행하였다. 이후 언간에 나타나는 국어학적 특징들을 살펴 논문으로 발표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조선시대 한글편지 어휘사전』(공저), 『역주 동의보감언
강원대학교 인문학부 국어국문학전공 교수.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1년 「은진송씨 제월당 송규렴가 『선찰』 소재 언간」을 접하게 되면서 언간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2008년,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수집·정리와 어휘·서체 사전의 편찬 연구」를 수행하였고, 2011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을 수행하였다. 이후 언간에 나타나는 국어학적 특징들을 살펴 논문으로 발표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조선시대 한글편지 어휘사전』(공저), 『역주 동의보감언해』(공저) 등이 있으며, 최근 논문으로 「언간에 나타난 ‘-고져’와 ‘-과뎌’에 대한 연구」, 「「송규렴가 언간」에 나타나는 남녀 간 언어 차이」, 「근대국어 하라체 의문형 어미에 대한 연구-언간 자료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이래호의 다른 상품

한국음악학 전공, 경인교육대학교·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화성 팔탄 농요의 음악적 변화양상」, 『경기 논농사소리 종류와 기능』 등의 논저가 있다.
한국한문학 전공(문학박사), 광운대학교 인제니움교양학부 강사. 『조선의 명승』, 『역주 조천일록』, 「하브루타를 적용한 대학 교양한문 수업 사례 연구」 등의 논저가 있다.

김지현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2월 06일
쪽수, 무게, 크기
288쪽 | 153*224*20mm
ISBN13
9791158667108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16,000
1 1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