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경제 불황,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가Chapter 1 경제 불황이 시작되고 있다불황은 계속 이어진다암울한 경제 전망과 달러 강세경제 불황이 올 수밖에 없는 이유착한 기업이 돈 버는 시대?인류 생존의 문제ESG에 따른 비용 증가글로벌 ESG 표준이 필요하다계속되는 경제 침체탈세계화와 우리나라 경제세계 무역 규모 감소미·중 무역전쟁미·중 기술전쟁, 새로운 안보전쟁공급망의 재구성, 중국+α강달러 시대, 수축하는 글로벌 경제당분간 경기 회복은 없다금리, 낮지만 감당하기 어려운거품 붕괴냐 지속이냐?Chapter 2 달러, 국제 금융의 중심환율을 알아야 하는 이유강달러와 초강달러는 어떻게 구분하는가?원화와 달러인덱스의 관계 왜 미래 환율을 알아야 하나?세계는 달러 중심으로 재편된다달러는 기축통화를 유지할 수 있을까?기축통화는 왜 달러여야 하는가미국이 달러 독점의 기축통화 질서를 유지하는 이유예상치 못한 달러 기축통화 시스템 붕괴도전받는 기축통화, 달러 vs 위안화 달러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사우디의 석유를 위안화로 지불한다면?왜 중국은 달러를 공격할까?달러 패권의 전망왜 달러는 계속 강세인가?달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달러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공급은 줄고 수요는 늘고세계는 계속 달러를 원한다무너지는 경제체계헬리콥터 머니, 새로운 종말의 시작달러는 양날을 가진 칼자원 비용의 증가안전자산의 선호강달러 시대와 4가지 시나리오실물경제가 나아져야 한다미 연준이 금리 인상을 멈출 때까지미국 정부의 달러 부채가 감소할 때까지미국 무역 적자가 다시 늘어날 때까지제3의 기축통화가 나올 때까지Chapter 3 기회는 위기의 탈을 쓰고 온다대한민국 경제의 4가지 변수4개의 변수가 한국에 미칠 영향은?코로나 바이러스: BC와 AC글로벌 무역환경무역환경에 대한 대응코로나 이후 변화된 한반도 상황코로나19와 글로벌 경제글로벌 생산방식의 변화불확실성과 남북 관계의 변화반복되는 미국발 금융위기, SVB 사태금융위기, SVB 파산의 이유SVB발 금융시스템 위기금융시스템 위험, 예방은 가능한가?최선의 방책을 마련해라달러 기축통화 시스템에 주는 영향기업 대책코로나 이후 한국의 미래최상의 기회와 활용충분한 극복 가능성좋은 기회를 살려야 한다모두가 불행하지만, 서로의 불행을 즐긴다늘어만 가는 정부 부채 버블강달러 시대, 한국이 가야 할 길그렇다면 우리 사회는 어떨까?한국의 기회와 위협강달러 시대의 기업 경영미국과 중국의 디커플링 대비디지털을 과신하지 마라재고 자산의 확보환율 연동 가격한국은 좁고 세계는 넓다강달러 시대의 자기 계발기회는 많다무리하지 마라부지런히 읽어라자기 홍보에 최선을 다하라
“실물경제와 화폐경제는 이미 한계에 도달했다.”세계는 달러를 중심으로 재편된다!반복되는 미국발 금융위기,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2023년 3월, 미국 내 자산 기준 16위 규모에 달하는 실리콘밸리은행(이하 SVB)이 파산했다. 2008년 워싱턴뮤추얼 붕괴에 이어 미 역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은행 파산이다. 파산에 이르기까지는 단 36시간이 소요됐으며, 파산 직전 이틀간 인출 시도 금액만 무려 185조 원에 달한다. 미 연준 부의장은 “SVB 파산은 부실 관리의 교과서적 사례”라고 말하며 시스템적 문제보다는 경영 실패 측면을 부각했다. 또 미 연준은 SVB 문제를 파산 직전에야 파악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질타를 받았다. 글로벌 경제, 금융위기의 촉발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미국발 금융위기가 반복되며 금융시스템이 의심받기 시작했다. 위기는 빈틈을 파고들지만, 방법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 금융위기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 촘촘해질수록 금융시장은 반시장적이 된다. 저자는 “앞으로 터질 금융위기를 예방하지 못할 것이라면, 차라리 새로운 시스템을 고안해야 한다”고 말한다. 첫 번째는 세계 중앙은행 설립이며 두 번째는 금본위제로 회귀, 세 번째는 각자도생이다. 이처럼 『초강달러 시대, 돈의 흐름』은 현 사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돕는다. 이 책은 아직 우리에게 기회는 많다고 말하며,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고 한다. 또 부지런히 읽고 쓰며 자기 계발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한다.기회는 위기의 탈을 쓰고 온다!경제 불황, 위기가 아닌 기회로 만들어라거품 붕괴냐 지속이냐, 달러의 흐름이 곧 글로벌 경제다!저자는 무역업을 하며 필연적으로 환율을 접했다. 달러를 알고 환율을 알아야 사업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또 해외 유통사와 거래할 때 대다수 바이어가 달러 거래를 선호한다고 한다. 환율에 울고 웃는 무역은 달러와 떨어질 수 없는 관계를 유지한다. 이렇듯 저자는 달러와 환율을 익히며 자연스레 거시 경제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현대 경제에서 가장 흔하게 나오는 단어는 ‘버블’이다. 여기서 버블이란 경제에 잔뜩 낀 거품을 의미한다. 이 거품은 부동산, 주식 등 경제 전반에 깔려 있다. 경제에 거품이 끼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돈이 많아 가격을 올리거나, 돈을 많이 찍어 값이 올라가거나. 저자는 당분간 경기 회복은 없을 것이라고 예상하는데 이유는 바로 ‘버블’ 때문이다. 언젠가 거품은 터지기 마련이다. 버블 붐, 화폐의 추락, 무너지는 경제. 다수의 경제학자들은 경제 위기를 이야기할 때 지나친 부채의 확장을 그 근거로 삼았다. 저자는 이에 대해 금융위기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처럼 『초강달러 시대, 돈의 흐름』에는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법에 대해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