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가격
29,000
29,000
YES포인트?
0원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종가제례음식총서

책소개

목차

당진 의령남씨 충장공 남이흥종가

I. 충장공종가와 불천위 인물
II. 충장공종가의 불천위 제례
III. 충장공종가의 제례음식과 특징
IV. 충장공종가 제례문화의 현재와 미래

충주 기계유씨 충경공 유백증종가

I. 충경공종가와 불천위 인물
II. 충경공종가의 불천위 제례
III. 충경공종가의 제례음식과 특징
IV. 충경공종가 제례문화의 현재와 미래

부여 창원황씨 충렬공 황일호종가

I. 충렬공종가와 불천위 인물
II. 충렬공종가의 불천위 제례
III. 충렬공종가의 제례음식과 특징
IV. 충렬공종가 제례문화의 현재와 미래

충주 평택임씨 충민공 임경업종가

I. 충민공종가와 불천위 인물
II. 충민공종가의 불천위 제례
III. 충민공종가의 제례음식과 특징
IV. 충민공종가 제례문화의 현재와 미래

대전 은진송씨 문정공 송준길종가

I. 문정공종가와 불천위 인물
II. 문정공종가의 불천위 제례
III. 문정공종가의 제례음식과 특징
IV. 문정공종가 제례문화의 현재와 미래

저자 소개7

金美榮

안동대학교 민속학과를 졸업하고 인하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 후 일본 도요대학교 사회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가례의 수용과 조선 사대부의 집안 다스리기』, 『유교공동체와 의례문화』, 『유교의례의 전통과 상징』, 『가족과 친족의 민속학』, 『숭정처사의 삶을 살다, 봉화 팔오헌 김성구 종가』, 『도학의 길을 걷다, 안동 유일재 김언기 종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제례음식의 규범과 토착화」, 「유교이념의 실천도구로서 음식」 등 다수가 있다.

김미영의 다른 상품

대구가톨릭대학교 가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종가음식, 얼을 담다』, 『사찰음식, 수행을 이루다』, 『종가음식백선』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고조리서에 기록된 고명행위에 대한 소고」, 「경상지역 종가의 음식문화 기록화를 위한 심층인터뷰조사 연구」, 「경상북도 종가음식문화에 대한 소고」, 「스토리텔링을 접목한 상주향토음식개발-정기룡장군밥상을 중심으로」 등 다수가 있다.

박모라의 다른 상품

전남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전남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전북대학교 쌀 · 삶 · 문명연구원 HK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전남대학교 국문학과 강사로 출강하고 있다. 저서는 『호남의 가정신앙』, 『고전문학교육의 현재와 지향』, 『지역민속의 전승체계와 활용』, 『한국 성씨의 기원과 신화』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현대구전설화에 담긴 기억과 역사문화적 인식」, 『나주임씨 대종가의 불천위제례와 제례음식에 관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서해숙의 다른 상품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생활예절 · 다도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논문은 『朝鮮時代 拜禮 硏究』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어 북경사범대학 민속학과에서 『휘주 촌락의 조상숭배 - 정감촌의 조상제사를 중심으로(徽州村落的祖先崇拜-以呈坎村的祭祖爲個案)』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성균관대학교 강사 및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조선전기의 조상제사 . 이이(李珥)의 제의초(祭儀抄)를 중심으로」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윤영기의 다른 상품

梁渼景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문화재관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 석박사 통합과정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 백성의 밥상』, 『한국인, 무엇을 먹고 살았나』, 『한국인, 어떤 옷을 입고 살았나』, 『음식구술사』, 『두 가지 스타일의 한국 결혼식: 전통과 현대의 이중주』 등의 공저가 있고, 「‘장 담그기’의 전승양상과 지속가능성에 관한 고찰」, 「전주비빔밥의 사회적 부각과 고급화 과정 연구」, 「충청지역 불천위제례의 전승양상」 등의 논문을 저술했다.

양미경의 다른 상품

權希姝

안동대학교 민속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 민속학과에서 『농경 관련 용설화의 유형과 농경문화적 의미』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국학진흥원에서 <한국의 종가문화 발굴 및 활용 사업>의 전임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전국의 종가에 대한 현황 파악과 종가문화 발굴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현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 구축> 과제의 조사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권희주의 다른 상품

張洙英

안동대학교 민속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반촌마을 제사음식 전승지식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국학진흥원에서 <한국의 종가문화 발굴 및 활용 사업>의 전임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전국 소재의 종가현황과 종가문화 발굴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중국 알라디촌 조선족의 생활과 민속』(공저) 등의 논저가 있다. 현재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 구축> 과제의 조사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장수영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07월 31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240쪽 | 728g | 174*225*20mm
ISBN13
9788928518890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29,000
1 2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