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그런 이야기를 담을 것이다.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한 사람의 어른으로 독립하기 위해 준비할 것은 많아졌다. 자녀의 행복을 바라는 부모는 남들보다 못 해준 것 같고 자녀가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것 같아서 불안하다. 그렇지만 해주려는 조바심을 참는 것, 자녀를 어른으로 대하고 자녀의 실패를 겪어야 할 경험으로 여기는 것, 자녀의 인생에서 내 인생으로 무게중심을 조금씩 옮기는 것이 부모와 자녀 모두의 미래를 위한 선택이자 최선의 태도다. 그래야 자녀도 마음이 자라 어른이 될 수 있고, 부모도 평온한 마음으로 만족스러운 인생의 후반기를 살아갈 수 있다.
--- p.9~10, 「들어가며」 중에서
소아과 의사이자 정신분석가 도널드 위니컷은 ‘충분히 좋은 엄마good enough mother’가 좋은 부모라고 말한다. 누구나 완벽한 부모가 되길 원하지만, 완벽한 부모는 자녀의 성장을 가로막을 수 있다. 아이는 성장하면서 자신이 부모를 뛰어넘는 상상을 하고 바깥으로 나가게 되는데, 완벽한 부모는 넘을 수 없는 벽으로 느껴져 아이가 부모의 그늘 안에 안주하게 만든다. 인생의 모든 질문과 문제에 부모가 정답을 제시하니 혼자서는 어떤 결정도 내리지 못하고, 책임지는 태도도 기르지 못한다.
아이가 독립적인 어른으로 성장하려면 아이가 자라면서 ‘안전감a sense of security’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세상을 믿을 만한 곳으로 여기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안전감이란 곁에 있지 않더라도 부모가 언제나 든든하게 자신을 받쳐주고 있다는 감각이다. 자신이 넘어져도 부모가 받쳐줘서 크게 다치지 않을 것이라는, 부모가 내 손을 잡고 일으켜줄 것이라는 믿음이다. 안전감을 습득한 아이는 좌절과 실패를 경험하더라도 무너지지 않고 다시 일어설 수 있다.
--- p.24~26, 「‘배 속에 있을 때가 제일 좋은 거야’란 말이 실감난다」 중에서
자녀의 성공을 위해 부모가 자기 일처럼 발 벗고 나서는 심리에는 자녀가 낙오하면 행복하지 못할 것이라는 걱정에 더해 내 인생도 경쟁에서 낙제하는 것이라는 불안과 노후가 비참해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등이 복합적으로 섞여 있다. 이런 마음은 자녀가 스무 살이 넘어 어른이 된 다음에도 사라지지 않는다. 더 좋은 대학에 갔으면 하는 바람은 대기업에 들어갔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어진다. 좋은 기업에서 인턴을 하거나 워킹홀리데이나 어학연수를 다녀오거나 자격증을 따거나 공모전에 입상하는 등의 스펙을 쌓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한다. 조금 애가 타더라도 자녀가 스스로 인생을 풀어나가는 것을 지켜볼 수도 있겠지만, 거리를 두는 것이 너무도 어렵다. 내 욕망이 자녀를 통해 실현되기를 오랫동안 바라온 탓이다.
머리로는 ‘이제 다 컸으니 자기 인생은 스스로 살아야 한다’라고 생각하지만, 마음속에서는 이미 욕구와 욕망이 찰싹 붙어 있어서 생각처럼 행동하지 못한다. 욕구와 결합된 욕망의 추구가 실패할 때 오는 좌절은 욕망이 충족되지 못해 실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생존과 직결되는 욕구까지 위협받을지도 모른다는 공포로 이어질 수 있다. 욕구가 위협받는 불안은 상당히 강렬해서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그 불안에 사로잡혀 자녀교육에 인생을 갈아넣는 것은 의도와 달리 좋은 결말을 기대하기 어렵다.
--- p.59~60, 「불안과 실망에서 벗어나는 길: 욕망과 욕구를 구별하기」 중에서
자녀가 얼른 자리 잡아야 한다는 걱정 때문이든 도와달라는 부탁이나 힘들다는 호소 때문이든 노후 대비를 소홀히 하며 자녀를 도와주는 것은 ‘산소마스크를 아이에게 먼저 씌워주는 것’과 같다. 게다가 사회초년생 시기나 결혼생활을 시작할 때 크게 지원해주어도 감사의 마음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으며, 무리하게 지원해준 부모가 자녀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노년을 보내게 된다면 오히려 자녀에게 부담이 될 수도 있다. 부모가 산소마스크를 먼저 써야, 즉 노후 대비를 우선하고 어른이 된 자녀에게는 필요한 만큼만 지원해줘야 둘 다 위험한 상황에 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 p.114, 「경제적 지원은 어디까지?」 중에서
많은 부모가 내 자녀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여긴다. 맞는 말이면서 틀린 말이다. 아이가 7살이라면 당연한 일이다. 소아과를 찾아가면 의사도 자녀에게도 증상을 묻긴 하지만, 부모의 말을 더 신뢰한다. 자녀가 10대가 되어 방문을 닫고 자기만의 세계를 만들면서 부모가 모르는 것들이 늘어나지만, 여전히 아이의 체질, 버릇, 성격에 대해서는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모르는 부분이 생겨도 잘 아는 부분도 있으니 아이에 대해 잘 모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만약 7살 때 아이에 대해 100% 알고 있다고 가정하면, 20대 이후에는 40% 이하로 알고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부모는 적어도 70%, 80%는 알고 있을 거라고 믿는다. 그런 착각을 하는 이유는 자녀가 자신의 세계를 전부 드러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p.129, 「자녀와 좋은 관계를 위해 필요한 마음」 중에서
청년이 회사를 다니면서 성장한 덕분에 부모의 모습을 다른 시선으로 보게 된 것이다. 지난 1년 동안 청년은 회사에 들어가 가족이 아닌 어른들과 처음으로 긴 시간을 보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가족과 비교하게 되었고, 부모님의 일상적인 모습, 부모의 성격에서 비롯된 말투와 행동거지가 눈에 다르게 들어오기 시작한 것이다. 당연하고 보통이라고 여기던 것들이 사회생활을 시작한 뒤로는 불편해지고, 자신을 존중하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런 불편함이 쌓이자 부모의 말과 행동 하나하나가 거슬리며, 결국 부모와 대화도 줄어들었다.
청년은 우울증을 앓던 때와 비슷한 감정을 느끼니 증상이 악화되었다고 말했지만, 나는 그가 바람직한 성장의 궤적을 걷고 있다고 보았다. 성장의 관점에서 보면 청년의 고민이 눈에 환하게 들어온다. 전에는 아무렇지 않았던 부모의 말과 행동이 불편한 것은 시야가 급격히 확장한 결과물이다. 회사에 들어가기 전에는 어릴 때부터 보고 자란 부모가 어른의 기준이었고, 가족의 기준이 곧 나의 기준이었다. 그런데 회사에 들어가 낯선 어른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시간이 생겼고, 청년은 적응하기 위해 상대를 관찰하고 타인의 기준을 이해하고 일부 받아들이면서 자기만의 기준을 만들었다. 이는 성인이 된 기념할 만한 순간이고, 사회적 성숙의 징표로 해석할 일이다. 청년이 갑자기 예민해진 것이 아니라 가족의 울타리 바깥으로 나가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성숙한 어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통과하고 있는 것이다.
--- p.137~138, 「부모의 말에 까칠해지는 이유: 스트라이크존의 변화」 중에서
손주를 돌보는 것은 우리 가족의 행복을 위한 일이면서 자녀가 사회적 지위와 커리어를 이어가는 데 도움이 되는 귀중한 일이다. 그런데 그것이 부모의 의무가 되어 부모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면 손주를 돌볼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자녀에게 산소마스크를 씌워주기 위해 부모의 건강이 악화되면 자녀에게 육아보다도 큰 부담이 되고, 자녀가 힘들어지면 손주도 위험해진다. 위험신호가 왔을 때 조금만 더 버텨보자고 무리하기보다, 적절한 시점에 산소마스크를 쓰듯이 ‘계속 손주를 돌보는 것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하는 것이 어른의 지혜일 것이다. 감당하기 어려워지는 손주 돌봄의 스트레스를 책임과 의무의 마음으로 이고 지고 가다가 다 타버리기 전에 “여기까지다”라고, 내 한계를 인정하고 선을 그어주는 것이다.
손주 돌봄은 인생의 행복한 변환점이 될 수 있지만, 부모가 희생하면서 노후의 족쇄를 차는 마음으로 손주를 돌보는 건 슬픈 일이다. 자녀와 손주를 위해 마음을 열어두되, 내가 견뎌낼 수 있는 선이 어디인지를 잘 살피면서 가족 모두가 안전하고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으면 한다.
--- p.216~217, 「손주 돌봄, 행복인가 노년의 족쇄인가」 중에서
자녀가 떠나가는 중노년기에는 어떤 마음가짐이 필요할까? 자녀와 나 사이의 무게중심을 바꾸려는 노력이 우선이다. 지금까지 ‘자녀 70, 나 30’의 무게중심으로 살아왔다면, 서서히 나에게 쏟는 무게를 늘려 ‘자녀 30, 나 70’ 정도로 조정하는 것이다. 무게중심의 변화가 있어야 자녀에게 쏟던 에너지가 방향을 잃는 것을 예방하고, 자녀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나를 위한 삶을 살 수 있다. 자녀 양육의 ‘성과’가 내 인생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가 아님을 깨닫고, 내가 이뤄온 것으로, 내 가치관과 선택으로 내 인생을 평가해야 한다. 그래야 빈둥지를 마주하고서도 건강한 자아와 충분한 자존감을 지킬 수 있다. 생활과 마음에서 자녀의 비중이 줄어드는 것이 낯설겠지만 그것이 건강한 삶의 방향이다.
‘버킷리스트’는 나에게 집중하기 위한 실용적인 방법이다. 육아를 위해 미뤄왔던 것을 정리해보고, 지금부터 이뤄나갈 수 있는 것들을 리스트로 만들어보자. 배우고 싶었던 취미, 가보고 싶었던 장소, 해보고 싶었던 일 등 무엇이든 좋다. 앞으로 10년, 20년에 걸쳐 천천히 이루고 또 수정해나간다는 마음으로 부부가 같이 작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함께 버킷리스트를 이뤄나가며 자녀를 키우며 엉켜 있던 마음의 응어리를 풀 수도 있을 것이다.
--- p.234~235, 「졸육아, 이제는 내 인생에서 행복을 찾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