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은 소설가 여심(餘心) 주요섭(朱耀燮, 1902~1972) 탄생 120주기이고 서거 50주기였다. 주요섭은 1920년 1월 3일 『매일신보』에 처녀작 단편소설 「이미 떠난 어린 벗」 발표를 시작으로 1972년 타계할 때까지 50여 년간 단편소설 39여 편, 중편소설 6편, 그리고 장편소설 6편을 써냈다. 주요섭은 1934년부터 9년간 베이징의 푸런(輔仁)대학에서 영문학 교수, 1953년부터 1967년까지 14년간 경희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한 것 외에도 수많은 사회활동을 하였기에 전업작가는 아니었다. 그럼에도 그가 발표한 작품 수를 볼 때 결코 적게 쓴 과작(寡作)의 작가는 아니었다. (중략)
주요섭은 흔히 말하는 ‘위대한’ 작가는 아닐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는 우리에게 ‘필수적인’ 작가이다. 적어도 1910년 한일 강제 병합 이후 해방공간과 6·25 전쟁을 겪은 그의 소설들은 한반도의 경제·문화·정치의 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역사적 사실과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미국 작가 마크 트웨인, 영국 작가 조지 오웰, 중국 작가 루쉰, 러시아의 톨스토이도 각 국가의 ‘필수적인 작가’들이다. 주요섭은 평양에서 태어나 중학교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고 중국 상하이에서 7년, 베이징에서 9년, 미국에서 최소 2년 반, 일본에서 수년간, 그 후 주로 서울에서 살았다. 20세기 초중반 기준으로 볼 때 소설가 주요섭은 한국 문학사 최초의 세계시민이었으며, 전 지구적 안목을 가지고 국제적 주제를 다룬 한국 문학에서 보기 드문 작가였다.
그동안 주요섭 소설들은 단편소설 위주로 소개되고 논의되었다. 지금까지 출간된 십수 종의 작품집들을 보면 주로 「인력거꾼」, 「사랑손님과 어머니」 등의 단편소설 위주로 중복 출판을 이어왔다. 중편소설 「미완성」과 「첫사랑 값」, 장편소설 『구름을 찾으려고』와 『길』은 출판되었다. 그러나 상당수의 단편들과 중편, 장편들은 거의 출판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주요섭의 소설 문학에 대한 전체적인 논의와 조망은 불가능하다. 편자는 수년 전 이러한 주요섭 소설 문학에 편향된 시각과 몰이해를 일부나마 교정하기 위해 주요섭 장편소설 4편을 모두 신문과 문예지에 연재되었던 원문과 일일이 대조하여 출간한 바 있다.
이번에는 단편소설 39편 전부와 중편소설 4편 전부를 가능한 한 원문 대조 과정을 거쳐 출판하게 되었다. 이렇게 되면 명실공히 주요섭 소설 세계의 전모가 드러날 수 있게 된다. 뒤늦었지만 이제 일반 독자들은 물론 연구자들도 주요섭 문학에 대한 새로운 그리고 총체적인 접근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번에는 단편소설 39편 전부와 중편소설 4편 전부를 가능한 한 원문 대조 과정을 거쳐 출판하게 되었다. 이렇게 되면 명실공히 주요섭 소설 세계의 전모가 드러날 수 있게 된다. 뒤늦었지만 이제 일반 독자들은 물론 연구자들도 주요섭 문학에 대한 새로운 그리고 총체적인 접근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책머리에」중에서
“무얼 그러케 놀래나? 항다반이지. 더군다나 조선서는 아직 설비가 불완전해서 어쩔 도리가 없는걸. 방금 그 늙으니만 해두 첫째 몽혼제루 ‘이-터’를 사용해서는 안 될 것인데, 그런 늙으니는 ‘까스’를 써야 하지. 그런 걸 알기는 알어두 여기는 그 설비가 없는 걸 어쩌는가. 또 피가 부족될 때에는 즉시로 당장에 수혈을 해가면서 수술을 계속할 수 잇는 설비가 앗어야 할 텐데, 어디 그런 설비가 조선에야 잇어야 말이지. 불란서 파리 같은 데에서는 여러 타입의 피를 전부 갖후어 보관 진열해두구 주문이 오는 대루 비행기루 배달을 하두룩 설비가 되어 잇다니깐…… 설비 불완전을 의사의 책임으로 밀 수는 없지.”
---「의학박사」중에서
기절했는지 죽었는지 확인할 수 없다고 거듭 생각하면서도 차마 방 안으로 들어설 수가 없었다. 멍하니 서 있는 그의 마음에는 뒤늦게나마 분노와 적개심과 연민의 정이 솟아올랐다. 그 순간 그의 머리에는 아내와 처음 만나던 날의 회상, 이십여 년 같이 살아오는 동안 겪어온 행복과 불행, 파란곡절, 그리고 일본이 망하기 일 년 전에 일본 군대에게 끌려간 뒤 여태 살았는지 죽었는지 소식을 모르는 외아들 등의 얼굴이 환등처럼 지나갔다. 이런 생각에 잠긴 그는 눈을 감고 서 있는 것이었다.
입을 틀어막고 흐느껴 우는 아내의 신음 소리가 들렸다. 그는 눈을 떴다. 몸을 도사리고, 치맛자락으로 입을 막고, 어깨를 들먹거리는 아내의 모습. 언뜻 그의 눈에서도 뜨거운 눈물이 샘솟았다.
아! 연약한 조선의 아내여, 딸이여, 어머니여, 할머니여! 아, 비겁한 조선의 남편이여, 아들이여, 아버지여, 할아버지여!
울 줄밖에 모르는 이 민족.
---「시계당 주인」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