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EPUB
eBook SNS와 스마트폰 중독 어떻게 해결할까?
디지털 리터러시를 통한 소셜미디어의 올바른 사용과 과몰입 방지 EPUB
가격
10,500
10,500
YES포인트?
52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 상품의 태그

카드뉴스로 보는 책

카드뉴스0
카드뉴스1
카드뉴스2
카드뉴스3
카드뉴스4
카드뉴스5
카드뉴스6
카드뉴스7
카드뉴스8
카드뉴스9

소개

관련 동영상

목차

1부 소셜미디어란 무엇인가?

-소셜미디어의 정의를 알아보자
-소셜미디어의 역사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2부 소셜미디어 문화

-소셜미디어의 문화적 특성
-한류와 소셜미디어
-소셜미디어와 미래 기술
-소셜미디어와 사회변동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3부 소셜미디어의 부작용

-소셜미디어 과의존과 중독
-소셜미디어와 허위 정보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4부 소셜미디어와 뉴스

-소셜미디어와 뉴스미디어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5부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
-스마트폰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성찰
-소셜미디어와 디지털 라이프
꼭꼭 씹어 생각 정리하기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소개3

퍼블리시(주) 최고연구책임자(Chief Research Officer) 겸 퍼블리시미디어혁신연구소(PUBLISH Institute for Media Innovation) 소장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BK21 글로벌문화커뮤니케이터양성사업단의 박사후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2006~2010년),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선임연구위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했다(2010~2021년). 연구 분야는 디지털 저널리즘, 뉴스·미디어 신뢰, 포털·플랫폼 뉴스서비스, 미디어 테크놀로지, 미디어·언론 정책, 미디어 산업 및 비즈니스, 미디어 연구방법론, 미디어 통계
퍼블리시(주) 최고연구책임자(Chief Research Officer) 겸 퍼블리시미디어혁신연구소(PUBLISH Institute for Media Innovation) 소장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BK21 글로벌문화커뮤니케이터양성사업단의 박사후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2006~2010년),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선임연구위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했다(2010~2021년). 연구 분야는 디지털 저널리즘, 뉴스·미디어 신뢰, 포털·플랫폼 뉴스서비스, 미디어 테크놀로지, 미디어·언론 정책, 미디어 산업 및 비즈니스, 미디어 연구방법론, 미디어 통계 분석 등이다. 주요 연구로 『한국의 언론 신뢰도: 진단과 처방』(2018), 『한국 언론과 포털 뉴스서비스』(2020),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과 뉴스룸 트랜스포메이션』(2019), 『언론사의 디지털 혁신과 조직 문화』(2016), 『디지털 뉴스 콘텐츠 유통의 현재와 미래』(2014), 『한국의 인터넷 뉴스: 언론사닷컴, 인터넷신문 그리고 포털 뉴스서비스』(2013),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19: 한국』(2019), 『아세안 및 한?중?일 미디어 리포트 2019』(2019), 『일본 언론의 현실과 미래』(2020), 『젊은 세대의 뉴스미디어 이용: 현황과 전망』(2012),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모바일 뉴스 이용』(2011) 등이 있다.

김위근의 다른 상품

동아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디지털 미디어와 정치 커뮤니케이션, 지역 및 공동체 언론, 그리고 미디어 교육 분야에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번역서로 ??무료뉴스: 인터넷은 저널리즘을 어떻게 바꾸었나???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Tweeting politics: An exploratory study to examine the motivations for Twitter use among politically interested users in South Korea”, “지역신문의 지원 정책과 지원 방향 모색: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을 중심으로”가 있다.

김대경의 다른 상품

경희대학교 경제학과 미디어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오스틴캠퍼스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그린베이캠퍼스의 조교수로 재직하며 저널리즘과 디지털 미디어, 스포츠 커뮤니케이션과 가짜뉴스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Cross-national news narratives of the Paralympic Games: Computational text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Fake news on you, Not me: The
경희대학교 경제학과 미디어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오스틴캠퍼스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그린베이캠퍼스의 조교수로 재직하며 저널리즘과 디지털 미디어, 스포츠 커뮤니케이션과 가짜뉴스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Cross-national news narratives of the Paralympic Games: Computational text analysis of the media coverage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Fake news on you, Not me: The third-person effects of fake news in South Korea」 등이 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23년 11월 15일
이용안내
  •  배송 없이 구매 후 바로 읽기
  •  이용기간 제한없음
  •   TTS 가능 ?
  •  저작권 보호를 위해 인쇄 기능 제공 안함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저사양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64.86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7만자, 약 1.9만 단어, A4 약 44쪽 ?
ISBN13
9791163637226

출판사 리뷰

스마트 디지털 라이프 구현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우리 사회는 그야말로 급변하고 있다. 다양한 미디어와 정보통신 기술을 통해 쏟아지는 빅데이터와, GPT를 필두로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우리의 일상뿐만 아니라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활동을 좌지우지하고 있다. 지능정보 사회의 주요 기술적 특성은 ‘초연결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 통신망을 기반으로 스마트폰과 다양한 소셜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사람과 사물 그리고 정보에 언제 어디서든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런 환경에서 디지털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리터러시 능력과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을 활용하고 이용 행태를 성찰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필수적이다.

디지털 네이티브로 태어난 신세대들은 포노 사피엔스로 진화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 특히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에 둘러싸여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것인데 이런 추세는 돌이킬 수 없는 불가역적인 상황이다. 문제는 이런 디지털 기술들이 의식하든 의식하지 못하든 사람들의 생각과 태도 형성, 나아가 구체적인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우리가 주체적이자 자기주도적인 방식으로 스마트 기술과 기기들을 활용해야 할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전 세계가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연결과 소통이 가능한 시대, 즉 글로벌 디지털 공동체로 거듭 태어나는 상황 속에 스마트한 소셜미디어 디지털 라이프를 구현하는 데에 이 책이 조그마한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10대가 꼭 읽어야 할 사회·과학교양 시리즈

지구 온난화, 대체 에너지, 전염병, 인공지능, 환경호르몬, 탄소중립, 식량 문제, 동물 실험, 생명 복제 등 미래를 살아갈 청소년이 진지하게 생각해야 할 이슈들을 모아 전문 집필진이 체계적이면서도 알기 쉽게 설명해 줍니다.

리뷰/한줄평21

리뷰

9.6 리뷰 총점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