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워싱턴 스퀘어2부 리포-와오-나헬레
|
Hanya Yanagihara
한야 야나기하라 의 다른 상품
권진아의 다른 상품
“넌 어디든 네가 있고 싶은 곳에 있을 권리가 있어.” 부커상, 우먼프라이즈, 내셔널북어워즈를 떠들썩하게 만든 젊은 거장 한야 야나기하라의 문제적 소설!사랑과 존엄을 위해 낙원으로 향하는 대서사시!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1위 · 오바마 전 대통령 추천 도서 보그 · 에스콰이어 · NPR · 굿리즈 선정 올해 최고의 책진정한 파라다이스는 존엄과 존재를 고민하는 사람만이찾아낼 수 있다.전세계가 주목하는 문제적 대서사시 한야 야나기하라가 『투 파라다이스To Paradise』를 구상하고 쓰기 시작한 시점은 팬데믹이 시작되기 훨씬 전의 일이다. 공교롭게도 그 사이에 전세계는 코로나로 팬데믹을 맞았다. 그녀의 신작이 디스토피아와 팬데믹 이야기를 버무렸다는 점에서 전세계 유수의 출판사들이 번역 출간에 러브콜을 보냈다. 미국에서 작품이 발표된 후에는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다. 보그, 에스콰이어, NPR, 굿리즈가 올해 최고의 책으로 『투 파라다이스』를 꼽았고, 오바마 전 대통령도 이 작품을 추전했다. 『투 파라다이스』는 3부작 소설이다. 1893년, 1993년, 2093년 100년을 터울로 하고, 미국의 역사를 기반으로 한 대체역사소설 형식으로 시대를 구성했다. 조지오웰의 『동물 농장』 『1984』를 떠올리게 하는 설정에 팬데믹, 차별과 혐오, 성정체성, 국가의 규제와 개인의 자유 대립 등 전세계를 뜨겁게 만든 이슈를 녹였다. 작가는 등장인물들의 갈망과 그들이 놓인 상황을 통해 나는 누구인지, 어떤 삶을 원하는지, 권력과 규율은 무엇을 위한 것인지를 고민하게 만든다. 더불어 앞으로 인류에게 닥칠 재앙은 어떤 형태일지, 우리는 우리를 무엇으로 정의될 수 있을지를 생각하게 한다. 독자는 자신이 막연하게 가슴에 품고 그리워했을 낙원을 구체적으로 상상하게 되며, 삶에 대해 깊게 고찰한다. 19세기 20세기 미국 역사를 기초로 쓰인뉴욕 게이 남성들과 몰락한 하와이 왕조 후손의 비극『투 파라다이스』는 주로 뉴욕을 배경으로 한 게이 남성들의 이야기라는 점에서는 전작 『리틀 라이프』와 일맥상통하지만, 대체역사소설과 사실주의, 디스토피아를 넘나드는 한층 더 야심만만한 작품이다. 작가는 3세기에 걸친 미국의 역사를 다시 쓰고 기록하고 상상하며, 현실에서 낙원을 찾고 만들어나가려는 미국식 열망으로 작품을 맺음했다.3부작 중 제1권에 담겨진 1부 〈워싱턴 스퀘어〉는 19세기 후반 가상의 미국 내 독립국인 자유주를 배경으로 헨리 제임스의 〈워싱턴 스퀘어〉를 게이 남성 상속자 버전으로 다시 쓴 대체역사소설이다. 2부 〈리포-와오-나헬레〉는 그저 “그 병”이라고만 지칭되지만 에이즈(AIDS)가 분명한 신종병의 창궐로 인해 두려움을 안고 살아가는 뉴욕 게이 남성들과 몰락한 하와이 왕조 후손의 비극적 삶을 그린, 20세기 후반 현실 미국 역사를 반영한 소설이다. 두 세계는 시간 연속선상에 존재하지는 않지만, 모든 이야기에서 뉴욕 워싱턴 스퀘어의 저택이 주된 배경을 이룬다. 데이비드 빙엄, 찰스 그리피스, 에드워드 비숍 등 같은 이름을 가진 인물들이 마치 거듭 환생이라도 하듯이 100년 후 세상에 거듭해서 등장한다. 이 등장인물들은 이름만 동일한 게 아니라, 손주에게 헌신적인 애정을 쏟는 권력자 할아버지, 무능하고 무책임한 아버지, 세상에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부유하는 젊은이처럼 유형 또한 비슷하게 반복된다. 1부의 이야기가 2부에서 다시 언급되기도 하고, 같은 장면과 대사가 되풀이되기도 한다. 그리고 소설의 제목이기도 한 동일 구절 “To Paradise(낙원을 향하여)”로 마무리된다.주인공들의 낙원을 상상하다결국 나의 낙원을 그리게 되는 마법 같은 이야기 1권 제1부 〈워싱턴 스퀘어〉의 줄거리는 이렇다. 시기는 1893년. 주인공 데이비드 빙엄은 자유 미국의 창립자인 너대니얼 빙엄 손자다. 자유 주에서는 동성 결혼을 허용하고 백인 여성에게는 교육받을 권리와 투표권이 있지만 자유 주에서는 흑인의 시민권을 거부한다. 데이비드는 상인 찰스 그리피스를 소개받고 그와 결혼해야겠다고 다짐한다. 그러던 어느 날 데이비드는 자원 봉사를 다니는 곳에서 피아노 교사 에드워드 비숍을 알게 된다. 단박에 서로에게 매력을 느낀 두 사람은 빠르게 연애를 시작하지만 에드워드가 집으로 돌아가자 연애는 중단된다. 에드워드가 부재하는 동안 데이비드는 찰스의 구애를 받아 그와 성적인 관계를 맺는다. 그러나 에드워드가 돌아와 데이비드에게 신분 차이를 넘어선 우리 둘의 사랑을 인정해줄 캘리포니아로 도망가자고 제안한다. 데이비드는 할아버지에게 이 사실을 고백한다. 그의 할아버지 너대니얼 빙엄은 에드워드가 부유한 남자를 유혹하는 사기꾼이자 도둑이라는 사실을 밝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비드는 가족에게 등을 돌리기로 결심하고 낙원을 향하겠다고 결심한다.제2부〈리포-와오-나헬레〉는 1993의 뉴욕을 배경으로 한다. 등장 인물의 이름이 겹치기는 하지만 제1부와는 전혀 다른 존재인 데이비드 빙엄은 하와이 왕족의 후손인 25세 법률 보조원이다. 자신의 유산을 버리고 부유한 나이든 변호사인 찰스 그리피스와 함께 뉴욕에 살고 있다. 두 사람은 HIV/AIDS 전염병에 크게 영향 받았으며 찰스는 휴면 보균자이고 그의 친구들 중 많은 수가 사망했다. 데이비드는 자신의 유산을 찰스에게 비밀로 한다. 또한, 요양원에 갇힌 데이비드의 아버지는 무너진 왕조의 상속자다. 그는 외로운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그의 친구 에드워드가 하와이 독립 운동에 참여하도록 그를 격려했던 방법을 회상한다. 에드워드의 격려를 받은 나이든 데이비드는 결국 할아버지를 통해 소유한 쓸모없는 땅인 리포-와오-나헬레로 거주지를 옮긴다. 하지만 그들은 땅을 개발할 수도 없고 추종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도 없다.낙원으로 가기 위해 신세계에서 구세계로 떠나는 아이러니가상의 유토피아 국가 자유주에서 현실의 1990년대를 거쳐 미래의 디스토피아로 불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세계들이 그 자체로 역사의 퇴보를 의미하지는 않지만, 100년이라는 시간적 간격과 명백히 다른 사회적 체제에도 불구하고 유사하게 반복되는 상황과 설정들을 통해 야나기하라는 현실은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으며 자유는 환영 같은 희망일 뿐이라는 어두운 암시를 던진다. 그리고 그 암시 속에서 각 이야기를 끝맺는 “낙원”을 향한 결의는 역사적 진보의 함의를 벗어던지고 미망, 모순, 아이러니로 점철된 소망으로 그려진다. 1부의 주인공 데이비드는 자신을 감출 필요 없이 살 수 있는 안전한 유토피아를 버리고 신뢰할 수 없는 연인과 함께 알 수 없는 위험이 도사리는 “서부/낙원”으로 가서 자유와 독립을 찾겠다고 다짐한다. 2부 후반의 주인공 데이비드는 하와이 왕국을 복원해 ‘타락/식민주의 이전의 낙원’으로 돌아가겠다는 실체 없는 꿈을 좇아 인생을 허비한 끝에 죽음의 침상에서야 “뉴욕/낙원”으로 가서 아들 데이비드와 화해하려는 환상에 빠진다. 낙원을 향한 그들의 여정이 아이러니하게도 가상의 유토피아에서 위험한 현실로, 식민지 하와이에서 제국인 미국으로, 신세계 미국에서 구세계 영국으로 향하는 뒤집힌 여정이라는 것 또한 현실 진보의 방향을 거스른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 세 개의 이야기들이 모두 열린 결말로 끝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독자들이 결말 이후 주인공들의 운명을 어떤 쪽으로 상상하건 간에, 그 대답은 현실 속 낙원과 자유에 대한 각각의 견해와 무관할 수 없을 것이다. 소설이 던지는 질문은 늘 현실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