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중국인의 재담(才談)
혈후어
진기환
명문당 2024.02.05.
베스트
기호학/언어학 top100 4주
가격
35,000
10 31,500
YES포인트?
1,7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책소개

목차

· 머리말
· 일러두기
· 참고 도서

1부 헐후어歇後語 해설

1. 속어俗語와 헐후어歇後語

가. 속어俗語
나. 헐후어
다. 헐후어와 속언

2. 헐후어의 구성構成

가. 헐후어의 전후 부분
나. 헐후어의 해석 부분(뒤)
다. 헐후어 비유 부분과 해석 부분의 관계

3. 헐후어의 유형類型

가. 유의喩意 헐후어
나. 해음諧音 헐후어

4. 헐후어의 변화와 발전

5. 헐후어의 역할役割

가. 수사修辭로서 적극적 역할
나. 헐후어의 문장 내 역할(語法 役割)

2부 헐후어 정문正文

제1장 사람(人)

1. 인생人生

가. 일상日常
1) 인정人情 2) 시운時運
3) 주거住居 4) 지위地位
5) 견식見識 6) 경우境遇
7) 동류同類 8) 노인老人
9) 명성名聲

나. 여유餘裕
1) 안분安分 2) 행복幸福
3) 한적閑寂

다. 고생苦生
1) 고독孤獨 2) 유랑流浪
3) 빈고貧苦 4) 허약虛弱
5) 사망死亡

라. 악행惡行
1) 배신背信 2) 아부阿附
3) 낭비浪費 4) 탐욕貪慾
5) 허영虛榮 6) 허위虛僞
7) 사욕私慾

2. 성격性格

가. 긍정적 성격
1) 총명聰明 2) 강직剛直
3) 관후寬厚 4) 인내忍耐
5) 원활圓滑 6) 진실眞實

나. 부정적 성격
1) 조급躁急 2) 의심疑心
3) 고집固執 4) 교활狡猾
5) 주관主觀 결핍缺乏 6) 연약軟弱
7) 우둔愚鈍

3. 행위行爲

가. 광명정대光明正大 외
1) 광명정대光明正大 2) 변화變化
3) 결단決斷 4) 계획計劃
5) 공개公開 6) 기회機會
7) 기다림(等待) 8) 면강勉强
9) 모방模倣 10) 방임放任
11) 분별分別 12) 부동不同
13) 불로소득不勞所得

나. 반응反應 외
1) 반응反應 2) 선택選擇
3) 순종順從 4) 안목眼目
5) 양보讓步 6) 여분餘分
7) 의지依持 8) 정원情願
9) 제약制約 10) 청교請敎
11) 침묵沈默 12) 현요炫耀

다. 강경强勁 외
1) 강경强勁 2) 고의故意
3) 굴종屈從 4) 나태懶怠
5) 내홍內訌 6) 냉담冷淡
7) 도로徒勞 8) 도주逃走
9) 도피逃避 10) 맹공猛攻
11) 맹목盲目 12) 맹종盲從
13) 미혹迷惑

라. 부적합不適合 외
1) 부적합不適合 2) 분란紛亂
3) 분망奔忙 4) 비겁卑怯
5) 사기詐欺 6) 사칭詐稱
7) 왜곡歪曲 8) 위선僞善
9) 위장僞裝 10) 위험危險
11) 의탁依託 12) 인색吝嗇
13) 인습因襲

마. 자멸自滅 외
1) 자멸自滅 2) 저항抵抗
3) 지연遲延 4) 착오錯誤
5) 책망責望 6) 최후最後 수단手段
7) 타의他意 8) 패권覇權
9) 포기抛棄 10) 핍박逼迫
11) 기타其他

4. 어언語言

1) 간절창언懇切唱言 2) 공담허론空談虛論
3) 다언다화多言多話 4) 묵언소어默言小語
5) 불신격어不愼激語 6) 악언상인惡言傷人
7) 언외심의言外深意 8) 영리건담伶났健談
9) 폐어황화廢語?話 10) 호언난어胡言亂語
11) 화언교어花言巧語 12) 기타其他

5. 의식意識

1) 갈림(分岐) 2) 망상妄想
3) 멍청(糊塗) 4) 명백明白
5) 분발奮發 6) 의기소침意氣消沈
7) 의지意志 8) 자각自覺
9) 통합統合 10) 기타其他

6. 작풍作風

가. 강경强硬 외
1) 강경强硬 2) 겁약怯弱
3) 경솔輕率 4) 근신勤愼
5) 단결團結 6) 대담大膽
7) 독단獨斷 8) 명쾌明快
9) 무모無謀

나. 방탕放蕩 외
1) 방탕放蕩 2) 실사구시實事求是
3) 자시자만自是自慢 4) 자화자찬自畵自讚
5) 철저徹底 6) 치밀緻密
7) 허세虛勢 8) 흠집 찾기(挑剔)
9) 기타其他

7. 체모體貌

1) 모습(容貌) 2) 의표儀表

8. 감정感情

가. 격동激動 외
1) 격동激動 2) 경시輕視
3) 경황驚惶 4) 고통苦痛
5) 고흥高興 6) 공구恐懼
7) 난감難堪 8) 낭패狼狽
9) 냉담冷淡 10) 당황唐慌

나. 득의得意 외
1) 득의得意 2) 무망無望
3) 변화變化 4) 복잡複雜
5) 분노忿怒 6) 분열分裂
7) 소원疎遠 8) 소흥掃興
9) 액운厄運 10) 우려憂慮

다. 위굴委屈 외
1) 위굴委屈 2) 유고난언有苦難言
3) 진정鎭靜 4) 질투嫉妬
5) 초조焦燥 6) 친밀親密
7) 친숙親熟 8) 혐오嫌惡
9) 회한悔恨 10) 기타其他

9. 인재人才

1) 차이差異 2) 곤경困境
3) 무능無能 4) 무재無才
5) 수완手腕 6) 수준水準
7) 승진昇進 8) 인재人才
9) 학식學識 10) 기타其他

10. 나쁜 사람(壞人)

1) 악인惡人 2) 악인惡人 형상形狀
3) 음험陰險 악독惡毒

11. 인간의 여러 형색

가. 역사 및 문학 속 인물
나. 12 생초生肖

제2장 일(事)

1. 사업事業

1) 기본基本 2) 기회機會
3) 난관難關 4) 단결團結
5) 수확收穫 6) 실패失敗
7) 용이容易 8) 위험危險
9) 파악把握 10) 흥성興盛

2. 작업作業

가. 견지堅持 외
1) 견지堅持 2) 곤란困難
3) 근본根本 4) 노력努力
5) 방법方法 6) 법도法度
7) 연노年老 8) 응변應變

나. 일방一方 외
1) 일방一方 2) 조리條理
3) 준비準備 4) 착실着實
5) 철저徹底 6) 퇴축退縮
7) 호응呼應 8) 기타其他

3. 사태事態

가. 견제牽制 외
1) 견제牽制 2) 계획計劃
3) 구별區別 4) 긍정肯定
5) 기세氣勢 6) 긴급緊急
7) 난처難處 8) 대립對立
9) 도피逃避

나. 득실得失 외
1) 득실得失 2) 명백明白
3) 미묘美妙 4) 발전發展
5) 변화變化 6) 복잡複雜
7) 상동相同 8) 성세聲勢
9) 세심細心 10) 세태世態

다. 소멸消滅 외
1) 소멸消滅 2) 소식消息
3) 소장所藏 4) 수확收穫
5) 시기時期 6) 시비是非
7) 실시失時 8) 실패失敗
9) 역경逆境

라. 연속連續 외
1) 연속連續 2) 완미完美
3) 용이容易 4) 운명運命
5) 위험危險 6) 이해利害
7) 인과因果 8) 자위自衛
9) 전도顚倒

마. 정리情理 외
1) 정리情理 2) 정확正確
3) 제약制約 4) 중지中止
5) 진귀珍貴 6) 징조徵兆
7) 착오錯誤 8) 파탄破綻
9) 폭로暴露

바. 합치合致 외
1) 합치合致 2) 해결解決
3) 행운幸運 4) 혼란混亂
5) 환난患難 6) 희망希望
7) 희한稀罕 8) 기타其他

제3장 사회社會

1. 경제經濟

1) 가치價値 2) 경영經營
3) 귀속歸屬 4) 빈곤貧困
5) 손익損益

2. 공간空間

3. 순서順序

4. 시간時間

5. 풍조風潮

저자 소개1

陶硯 陳起煥

도연(陶硯) 진기환(陳起煥)은 중국의 문학과 사학, 철학에 관련된 고전을 우리말로 국역하거나, 저술했다. 중국 문학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역저서가 있다. 장회 소설 《수당연의(隋唐演義)》(전 5권, 2023)와 《유림외사(儒林外史)》(전 3권, 1990)를 완역 출간했다. 《삼국연의(三國演義) 원문 읽기》(전 2권, 2020)도 널리 알려졌다. 그리고 《당시대관(唐詩大觀)》(전 7권, 2020)이 있는데 이는 당(唐) 시인 200명의 시 1400수의 원문을 국역하며 관련된 일화를 수록한 당시 감상 사전이다. 《신역(新譯) 왕유(王維)》(2016)는 시불(詩佛) 왕유 시의 원문
도연(陶硯) 진기환(陳起煥)은 중국의 문학과 사학, 철학에 관련된 고전을 우리말로 국역하거나, 저술했다.
중국 문학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역저서가 있다.
장회 소설 《수당연의(隋唐演義)》(전 5권, 2023)와 《유림외사(儒林外史)》(전 3권, 1990)를 완역 출간했다. 《삼국연의(三國演義) 원문 읽기》(전 2권, 2020)도 널리 알려졌다. 그리고 《당시대관(唐詩大觀)》(전 7권, 2020)이 있는데 이는 당(唐) 시인 200명의 시 1400수의 원문을 국역하며 관련된 일화를 수록한 당시 감상 사전이다. 《신역(新譯) 왕유(王維)》(2016)는 시불(詩佛) 왕유 시의 원문과 국역 해설을 실었다. 《당시절구(唐詩絶句)》(2015)와 《당시일화(唐詩逸話)》(2015)는 당시를 공부하려는 초학자들을 위한 책이다.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전 3권, 2014)는 고(故) 장기근(張基槿) 박사의 작업을 필자가 이어 완성했다. 그리고 《금병매(金甁梅) 평설(評說)》(2012)과 《수호전평설(水滸傳評說)》(2010), 《삼국지(三國志) 인물 평론》(2010) 등이 있다.

또 《중국인(中國人)의 속담(俗談)》(2008)과 《중국인(中國人)의 재담(才談)》(2023), 《삼국지(三國志)의 지혜》(2009), 《삼국지(三國志)에서 배우는 인생의 지혜》(1999), 《삼국지(三國志) 고사명언(故事名言) 삼백선(三百選) (2001), 《삼국지고사성어사전(三國志故事成語辭典)》(2001)을 출간했다.

중국 역사에 관해서는 명문당의 중국 역대 왕조사화(中國歷代王朝史話) 전 6권 중 《춘추전국사화(春秋戰國史話)》와 《진한사화(秦漢史話)》(2024)를 출간했고, 《전국책(戰國策)》(전 3권, 2021), 《완역 한서(漢書)》(전 15권, 2016∼2021), 《정사(正史) 삼국지(三國志)》(전 6권, 2019), 《완역 후한서(後漢書)》(전 10권, 2018∼2019), 《십팔사략(十八史略)》 5권 중 3권(2013∼2014) 등은 모두 원문을 수록하고 국역한 저술이다. 또 《사기인물평(史記人物評)》(1994)과 《사기강독(史記講讀)》(1992)은 사마천의 《사기》를 공부하려는 사학도를 위한 저술이다.

철학·사상과 관련해 《안씨 가훈(顔氏家訓)》(전 2권, 2022), 《공자가어(孔子家語)》(전 2권, 2022), 《공자성적도(孔子聖蹟圖)》(2020)의 원문을 수록 국역, 해설했으며, 《논어명언삼백선(論語名言三百選)》(2018)과 《논술로 읽는 논어(論語)》(2012)는 《논어》를 공부하려는 초학자들을 위한 입문서다. 그리고 《중국의 토속신과 그 신화》(1996)는 중국학 분야의 기본서로 분류되는 저술이다.

진기환은 고등학교 역사 교사로, 중국사와 중국 문학과 철학을 공부하며 관련한 고전 국역과 집필을 계속했다. ‘내 키만큼 내 책을(等身書)’ 출간하겠다는 인생 목표를 2022년에 달성하면서, 자서전 《도연근학칠십년(陶硯勤學七十年)》을 출간했다.
이에 앞서 문집인 《도연집(陶硯集)》을 2008년에 출간했고, 2009년 2월에 서울의 대동세무고등학교장으로 교직 생활 40여 년을 마감했다.

진기환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2월 05일
쪽수, 무게, 크기
684쪽 | 153*224*35mm
ISBN13
9791198585615

리뷰/한줄평1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2.0 한줄평 총점
31,500
1 3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