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검색을 사용해 보세요
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폭풍의 언덕
양장
베스트
고전문학 top100 12주
가격
15,800
10 14,220
YES포인트?
79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열린책들 세계문학

이 상품의 시리즈 알림신청

이 상품의 태그

책소개

목차

주요 사건 연표
역자 해설 - 세계의 위선에 저항하는 사랑
에밀리 브론테 연보

저자 소개2

에밀리 브론테

관심작가 알림신청

Emily Bronte,Emily Jane Bronte, 필명 : 엘리스 벨(Ellis Bell)

19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소설가이자 시인이다. 1818년 영국 요크셔주 손턴에서 목사인 패트릭 브론테와 마리아 브랜웰 사이에서 여섯 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그중 셋째 딸이 『제인 에어』로 영국 문학사에 길이 남은 작품을 쓴 샬럿 브론테다. 아버지는 목사였지만 문학에 조예가 깊었고 아버지의 영향을 받은 남매들은 10대 초반부터 산문과 시로 습작을 한다. 목사였던 아버지를 따라 하워스 교구에서 자라났는데, 세 살 때 어머니가 사망하고 청소년기에 세 명의 언니들도 병사했다. 월터 스콧, 바이런, 셸리 등의 작품을 좋아했고, 이야기를 짓고 일기 쓰기를 즐겼다. 에밀리는
19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소설가이자 시인이다. 1818년 영국 요크셔주 손턴에서 목사인 패트릭 브론테와 마리아 브랜웰 사이에서 여섯 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그중 셋째 딸이 『제인 에어』로 영국 문학사에 길이 남은 작품을 쓴 샬럿 브론테다. 아버지는 목사였지만 문학에 조예가 깊었고 아버지의 영향을 받은 남매들은 10대 초반부터 산문과 시로 습작을 한다.

목사였던 아버지를 따라 하워스 교구에서 자라났는데, 세 살 때 어머니가 사망하고 청소년기에 세 명의 언니들도 병사했다. 월터 스콧, 바이런, 셸리 등의 작품을 좋아했고, 이야기를 짓고 일기 쓰기를 즐겼다. 에밀리는 1847년 엘리스 벨이라는 남성의 가명으로 『폭풍의 언덕』을 출간한다. 목사의 딸로서 교사 생활을 잠깐 한 것이 전부인 평범해 보이는 그녀가 모든 사람에게 강렬한 충격을 주는 작품을 내놓은 것이다.

1846년 샬럿이 에밀리의 시를 발견하고는 출판사에 시집 출판을 문의하여 세 자매의 가명을 제목으로 한 공동 시집 『커러, 엘리스, 액튼 벨의 시 작품들』을 냈다. 1847년 에밀리의 『폭풍의 언덕』과 앤의 『아그네스 그레이』가, 그리고 샬럿의 『제인 에어』가 출간되었다. 언니 샬럿이 쓴 『제인 에어』가 출간 즉시 큰 인기를 얻으며 성공을 거둔 것과 달리 『폭풍의 언덕』은 출간 당시 작품 내용이 지나치게 야만적이고 잔인하며 비윤리적이라는 비판을 많이 받았다. 에밀리는 마치 자신이 직접 그 폭풍을 맞은 듯, 작품을 출간한 이듬해인 1848년, 폐결핵에 걸려 30세의 짧은 생을 마감한다.

에밀리는 『폭풍의 언덕』이라는 한 권의 대작으로 국내 소설가로만 알려져 있으나, 영미권 대학의 영문학과에서는 중요한 시인으로서 인정받고 있다. 에밀리는 어릴 때부터 가족의 잇따른 죽음을 경험해야 했지만 상상력을 통해 “죽음에서 아름다운 생명을 불렀”으며, 피아노와 외국어를 독학하면서 좁은 집에 머물렀지만 “성스러운 목소리로, 현실의 세상에 대해 속삭”였다.

에밀리 브론테의 다른 상품

서울대학교와 하버드대학교에서 영문학과 비교문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보스턴칼리지에서 강의하고 있다. 문예계간지 [ASIA] 편집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권여선, 은희경, 한강, 황정은 등 다수의 한국문학 작품을 영어로 소개해 왔다.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 『설득』, 『오만과 편견』, 『그레이트존스 거리』, 『에드거 앨런 포 단편선』, 『도심의 절간』, 『아서 고든 핌의 이야기』,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기이한 이야기』와 앨런 홀링허스트의 부커상 수상작 『아름다움의 선』, 샤힌 아크타르의 아시아문학상 수상작 『여자를 위한 나라는 없다』 등이 있다. Jeon Seung He
서울대학교와 하버드대학교에서 영문학과 비교문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보스턴칼리지에서 강의하고 있다. 문예계간지 [ASIA] 편집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권여선, 은희경, 한강, 황정은 등 다수의 한국문학 작품을 영어로 소개해 왔다.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 『설득』, 『오만과 편견』, 『그레이트존스 거리』, 『에드거 앨런 포 단편선』, 『도심의 절간』, 『아서 고든 핌의 이야기』,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기이한 이야기』와 앨런 홀링허스트의 부커상 수상작 『아름다움의 선』, 샤힌 아크타르의 아시아문학상 수상작 『여자를 위한 나라는 없다』 등이 있다.

Jeon Seung Hee is a literary scholar and critic as well as a leading translator of Korean literature.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and she has published articles on war trauma, memories, and truths. Her translations include the 2016 Man Booker Prize-winning novelist Han Kang’s Convalescence (2013) and Bang Hyeonseok’s fiction Time to Eat Lobster (2016), which was selected for “75 Notable Translations of the Year” by World Literature Today, as well as Shaheen Akhtar’s The Search, which won the 3rd Asian Literature Award in 2020. She has been honored with a Fulbright Grant, a Korea Foundation Fellowship, and two Daesan Foundation Translation grants. Based in both Boston and Seoul, she is an associate professor in Korean at Boston College.

전승희의 다른 상품

품목정보

발행일
2024년 04월 25일
판형
양장 ?
쪽수, 무게, 크기
592쪽 | 634g | 128*188*38mm
ISBN13
9788932912899

책 속으로

「캐시, 어서 들어와. 제발, 들어오란 말야. 단 한 번만이라도! 아! 내 사랑 캐시! 이번만은 내 말을 좀 들어, 캐서린, 제발!」
그러나 유령은 유령답게 변덕스러웠다.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신호를 전혀 보내지 않았다. 대신 눈 폭풍이 사납게 회오리치며 지나갔고, 내가 서 있던 곳까지 불어와 들고 있던 촛불이 꺼졌다.
--- p.50

하지만 히스클리프에 대한 내 사랑은 나무 아래 있는 영원히 변치 않는 바위 같아서, 눈에 띄는 즐거움을 주지는 않지만 꼭 필요한 거야. 넬리, 내가 바로 히스클리프야. 히스클리프는 항상, 항상 내 마음속에 있어.
--- p.137

캐서린 언쇼, 내가 살아 있는 한 너도 절대 편히 쉬지 못하게 해달라고 기도할 거야! 내가 널 죽였다고 했지? 그럼 유령으로 나타나서 날 괴롭혀 줘! 살해당한 사람들은 진짜로 자신을 죽인 자에게 유령으로 나타나서 괴롭힌다고 하잖아. 유령들은 지상을 헤매고 다니잖아. 항상 나와 함께 있어 줘, 유령이든 아니든 상관없어. 날 미친 사람으로 만들어 버려도 좋아! 다만 널 볼 수 없는 이런 지옥 같은 세상에 날 버려두지 마!
--- pp.277~278

나는 내 자손이 놈들의 땅을 차지하고 어엿한 지주 노릇을 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 저 집안 자손들을 일꾼으로 고용해 그들이 제 조상의 땅을 갈게 하는 꼴을 보고 싶다 이거야. 그게 바로 내가 저 강아지 새끼의 존재를 참고 견디는 유일한 이유야. 꼬락서니가 한심하기도 하지만 저놈이 불러일으키는 기억은 혐오스럽기 짝이 없거든. 하지만 이 정도 보상으로도 충분해.
--- p.343

관 뚜껑의 나사 박은 자리가 벌어지면서 관이 열리려는 참이었는데 내 머리 위 무덤 가장자리에서 한숨 쉬는 소리가 들리더라. 내가 몸을 앞으로 굽히면서 중얼거렸지. "이것만 열면 되겠는데. 그러고 누가 우리를 함께 묻은 뒤 흙으로 덮어 줬으면 좋겠군!" 그런 뒤 정말 죽기 살기로 뚜껑을 열려고 했어. 그런데 귓가에서 또 한숨 소리가 들리더라. 진눈깨비 섞인 바람 대신 따스한 입김이 닿는 것 같았어.
--- p.474

그도 무덤 안에서 고이 잠들었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이 고장 사람들은, 물어보면 아시겠지만, 그가 유령이 되어 나타난다고 성경에 걸고 맹세한답니다. 성당 근처나 황야에서 그의 유령을 만났다거나, 심지어는 우리 집에서 보았다는 사람들도 있어요.

--- p.550

출판사 리뷰

인간 실존과 계급적 대립의 문제를 탐구한 영문학 3대 비극
2백 년 가까이 변주되고 재해석되고 있는 살아 숨 쉬는 고전

독자의 문학적 수준을 한 차원 높여 주는 정전. - 해럴드 블룸

오랜 세월에 걸쳐 영문학사에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영문학 3대 비극으로도 꼽히는 『폭풍의 언덕』이 영문학자 전승희 씨의 번역으로 열린책들에서 출간되었다. 에밀리 브론테는 『제인 에어』의 샬럿 브론테, 『애그니스 그레이』의 앤 브론테와 함께 영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브론테 자매] 중 한 명이다. 에밀리 브론테는 학교를 거의 다니지 않고 독학으로 문학과 어학을 공부하다 서른 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으며, 세상에 남긴 소설은 『폭풍의 언덕』 한 권이 유일하다. 이 작품은 황량한 잉글랜드 북부 들판을 배경으로 야성적이고 본능적인 인물들이 펼치는 사랑과 배신, 복수와 파멸에 대한 이야기로, 출간 당시에는 평단의 진지한 관심을 받지 못했으나 20세기 들어 재발견된 후로는 영문학 필독서 목록에 빠지지 않고 이름을 올리며 명작으로 인정받고 있다. 야성적 아름다움과 대담한 형식미로 강렬한 충격을 주는 동시에 인간 실존과 계급적 대립의 문제를 깊게 탐구한 이 소설은 세상에 나온 지 2백 년 가까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영화와 연극, 음악 등으로 변주되고 재해석되면서 독자들을 전율케 하고 있다. 열린책들판은 시대적, 지리적 배경은 물론 작가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원전의 매력을 있는 그대로 맛볼 수 있도록 세심하게 우리말로 옮겼다.

자신의 영혼에 충실하지 못하고 사랑을 배신한 죄
두 가문이 두 세대에 걸쳐 치르는 그 쓰라린 대가

매일같이 바람이 불어 나무들조차 곧게 자라지 못하고 비딱하게 서 있는 워더링 하이츠 저택. 이곳에서 자란 캐서린 언쇼는 황야를 닮은 영혼을 지닌 거칠고도 오만한 매력의 소유자다. 어느 날 아버지가 거리를 헤매고 있던 고아인 히스클리프를 데려오고, 캐서린은 자유롭고 열정적인 그를 또 다른 자기 자신처럼 여기며 열렬히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둘이 언제나 함께였던 순수했던 어린 시절을 지나 어른이 되면서, 캐서린은 히스클리프가 아닌 교양 있고 부유한 에드거 린턴과 결혼을 하기로 한다. 버림받은 히스클리프는 큰 상처를 받고 워더링 하이츠를 떠나지만 몇 년이 흘러 복수를 위해 다시 돌아오고, 그때부터 언쇼 가문과 린턴 가문에는 비극이 시작된다. 사랑과 증오는 닮은꼴일까. 히스클리프는 자신을 인간 취급하지 않고 학대한 언쇼 가문과 캐서린을 앗아 간 린턴 가문에 두 세대에 걸쳐 잔혹하고 비정하게 보복을 하지만, 캐서린을 향한 사랑과 집착만은 변하지 않고 뜨겁게 타오른다. 심지어 죽음을 넘어서까지 말이다.

여전히 편견과 차별로 가득한 사회
스스로를 속이지 않고, 억압하지 않고, 자유롭기를

극단적이고 어찌 보면 반(反)도덕적이기까지 한 이 소설의 비극적인 서사가 어떻게 21세기에도 연구되고 재창조되며 여전히 커다란 감동을 줄 수 있는 걸까? 역자는 그 이유에 대해, 이 사회가 여전히 인종적, 계급적 편견이나 부와 권력에 기반한 차별로부터 자유롭지 않기 때문일 거라고 설명한다. 비백인에 고아인 히스클리프는 힌들리로 대표되는 당대 사회로부터 아무런 죄도 없는 어린 시절 내내 인간다울 수 있는 권리를 부정당했으며, 자신의 생명처럼 느낄 정도로 뜨겁게 사랑한 캐서린에게도 재산과 신분을 이유로 배반을 당한다. 때문에 히스클리프는 완전히 망가진 채 언쇼 가문과 린턴 가문에 복수를 하며 많은 이들에게 고통을 주고, 캐서린 또한 자신의 영혼에 충실하지 못한 대가로 스스로 파멸에 이른다. 그들이 사회의 편견과 억압을 떠나 자유롭게 사랑할 수 있었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비극이다. 그때로부터 2백 년 가까이 흐른 지금도 이러한 차별과 억압의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그리고 우리는 캐서린처럼 자유로운 영혼을 스스로 억압한 채 살아가고, 때로는 히스클리프처럼 자기 자신은 물론 타인에게도 고통을 준다. 그럼에도 에밀리 브론테가 자녀 세대의 결합을 통해 회복의 결말을 보여 준 것은, 모두가 스스로를 속이지 않고 영혼 본연의 모습으로 살 날이 오기를 바라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폭풍의 언덕』이 미래에 보내는 이 소망은 21세기의 우리가 이 소설을 읽고 또 읽어야 하는 이유를 말해 준다.

추천평

야성적 아름다움과 대담한 형식미를 갖춘 작품. 이 소설이 영문학에 미친 영향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크다. - 가디언
『폭풍의 언덕』을 안 읽었던 때로 돌아가 다시 처음부터 읽고 싶다. - 어네스트 밀러 헤밍웨이 (작가)
에밀리 브론테는 거대한 무질서로 갈라져 있는 세상을 내다보고 그것을 이 하나의 책으로 묶었다. - 버지니아 울프 (소설가)
이 책은 매우 나쁜 소설이다. 이 책은 매우 좋은 소설이다. 추악하고, 아름답고, 끔찍하고, 고통스럽고, 강력하고, 열정적이다. - 윌리엄 서머싯 몸 (소설가, 평론가)
독자의 문학적 수준을 한 차원 높여 주는 정전. - 헤럴드 블룸 (문학비평가)

리뷰/한줄평20

리뷰

10.0 리뷰 총점

한줄평

10.0 한줄평 총점
14,220
1 14,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