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문 _004
여는 말 _008 추천의 말 _022 한국어판 여는 말 _024 일러두기 _027 탈출기 입문 머리말 _035 저술 연대와 배경 _036 장르와 문학적 특징 _039 역사성과 저자 _041 신학과 목적 _043 개요 _047 탈출기 주해 백성의 곤경과 돕는 자의 탄생 1,1-2,22 _051 부르심을 받은 모세 2,23-6,27 _056 모세와 파라오 사이의 교섭 6,28-13,16 _067 이집트에서 해방되는 과정 13,17-15,21 _081 여정 초기에 겪은 어려움 15,22-18,27 _085 시나이산에서 하느님의 계시: 계약의 책 19,1-24,18 _090 반역과 관계 거부, 부분적 치유 32-34장 _101 예배 기구를 위한 지침과 구성 25-31장, 이행 35-40장 _107 참고 문헌 _116 레위기 입문 책의 제목 _121 청중 _122 문학적 구조 _123 편집사 _124 저술 연대 _127 희생 제물, 봉헌물 _127 속죄 _128 정결함 _130 거룩함 _131 신학 _133 개요 _135 레위기 주해 번제물 1,1-17 _139 곡식 제물 2,1-16 _141 친교 제물 3,1-17 _143 속죄 제물 4,1-5,13 _144 보상 제물 5,14-26 _147 제물을 바칠 때 사제가 지켜야 할 규정 6,1-7,38 _149 사제 임직식과 성막 8,1-36 _153 성막 예배의 시작 9,1-24 _156 제의의 실패와 사제의 권한 10,1-20 _158 음식에 관한 규정과 부정한 짐승 11,1-47 _160 산모의 정결례 12,1-8 _164 표면에 나타나는 특이한 증상들 13,1-59 _166 악성 피부병 환자의 정결례, 집에 생기는 곰팡이 14,1-57 _169 성기의 분비물에 대한 제의적 판단 15,1-33 _171 속죄일 16,1-34 _174 피의 신성함 17,1-16 _177 혼인과 성에 관한 규정 18,1-30 _181 거룩함에 관한 사회적·제의적 규정 19,1-37 _185 처벌 규정 20,1-27 _193 거룩함을 유지하기 위한 사제들과 제물에 대한 규정 21,1-22,33 _195 주님의 축일들 23,1-44 _199 성소 안에 있는 이스라엘, 이스라엘의 일상 안에 계신 주님 24,1-23 _205 안식년, 희년, 항구한 가난에서 벗어나는 길 25,1-55 _208 약속, 위협, 계약에 대한 하느님의 기억 26,1-46 _212 봉헌과 그것의 대속 27,1-34 _215 옮긴이의 말 _221 참고 문헌 _225 |
저바바라 그린 O.P.
관심작가 알림신청Barbara Green
저토마스 히케
관심작가 알림신청Thomas Hieke
역김영선
관심작가 알림신청김영선의 다른 상품
탈출기에는 아브라함과 사라의 후손인 히브리 백성이 이집트로 피신한 이후에 일어난 결정적인 사건들이 언급된다. 이 사건으로 이스라엘은 특이하게, 심지어 고유하게 하느님의 백성으로 변모되는 데 필요한 중요한 토대를 놓는다.
--- p.35 탈출기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내러티브를 창세기와 밀접하게 연결 짓지 않는다는 점이다. 성경이 이 내러티브의 두 부분을 연결하는 방식에 익숙한 독자들은 탈출기의 이야기가 일반적이며, 초기 세대와 연결되는 경우는 드물고, 그들의 모험이 ‘요셉 시절에 일어난 기근’을 피해 온 난민들하고만 확고하게 연결된다는 사실에서 이상함을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다. 어떤 의미에서 탈출기는 새로운 시작이다. --- p.40~41 모세가 하느님의 첫 번째 말씀을 전달하기 위해 산에서 내려왔을 때, 공동체는 그 말씀에서 어떤 걸림돌도 보지 못하였기에 순종을 약속한다. “주님께서 이르신 모든 것을 우리가 실천하겠습니다”(19,8). 그런데 우리는 이미 이스라엘이 어떤 어려움을 겪을지,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고 있다. 그것을 염두에 두면, 이스라엘의 이런 반응은 순진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그래도 지금은 진지하다고 볼 수 있다. --- p.92 탈출기는 너무나 심오하고 광대하여 더는 과장할 수가 없다. 얀 아스만이 주장하듯이, 탈출기는 “끝없이 이야기되고, 다시 만들어지고, 변화와 변형을 거치며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인간 세계를 변화시키고 형성한 이야기”이다(Assmann, 3). --- p.115 ‘레위기(Leviticus)’라는 명칭은 레위(Levi) 지파인 이스라엘의 사제들을 가리킨다(신명 17,9.18; 18,1; 말라 2,4-7 참조). 레위기는 사제들이 성소에서 수행하는 제의와 종교의식에 관한 가르침을 담고 있지만, 또한 사제들이 이스라엘 백성, 곧 일반 백성에게 가르쳐야 할 교훈들도 풍부하게 제시한다(레위 10,10-11 참조). --- p.121 3,6-11과 3,12-16은 동일한 의식을 거의 같은 표현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제사에 바칠 동물은 이제 양이나 염소이다. 3장은 어떤 굳기름이나 피도 먹지 말라는 일반적인 진술로 끝난다(3,16ㄴ-17). 아마도 굳기름을 금지하는 규정이 피에 대한 진술을 끌어들인 것 같다(7,22-27; 17,11-14 참조). ‘피’는 다음 단원의 핵심어이다. --- p.144 12장의 후반부는 산모가 40일 혹은 80일의 기간을 채우고 제의 공동체에 재통합되는 데 필요한 의식을 소개한다. 이 의식은 산모의 남편이 대신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이 직접 참여한다. 여자는 자신의 재통합을 경축하기 위해 어린 양 한 마리와 비둘기 한 마리를 사제에게 가져온다. 사제는 그 동물을 주님께 바쳐 “그 여자를 위하여 속죄 예식을 거행한다.” --- p.165 19장은 이어서 재산과 사업에 관한 윤리적인 규정들을 다룬다(19,13-14). 주님께서 이스라엘의 일상생활에 보이지 않게 현존하시기 때문에 사업상의 잘못 역시 거룩함의 사안을 건드릴 수 있다. ‘주님을 경외하는 것’은 하느님이 어디에나 계시며, 기꺼이 소외된 이들과 약자들 편에 서고자 하심을 인정하는 것이다. --- p.187 |
레위기는 탈출기에 나타난 구원 사건이 단 한 번으로 그치지 않고 영속적인 체험이 될 수 있도록, 살아 계신 하느님과의 통교를 알려 주는 책이다. 레위기 주해를 쓴 토마스 히케(Thomas Hieke)는 독일 마인츠 대학에서 구약성경을 가르치는 가톨릭 신자이자, 방대한 분량의 레위기 주석서를 출간한 바 있는 학자이다. 저자는 레위기 본문을 빈틈없이 다루면서도, 본문과 관련된 여러 학자들의 논의와 연구 결과를 이 간결한 주해서에 부족함 없이 실었다. 본문의 세부 사항이 전달하고자 하는 신학적, 사회적 의미를 독자들이 간파하도록 친절하게 안내하고, 평소에 독자들이 품고 있었을 의문점도 잘 설명해 준다. 레위기에 나오는 낯선 용어나 지나칠 정도로 세세한 해설에 거부감이 드는 독자라면, 이 책을 통해 그동안 레위기에 품었던 막연하고도 불편한 감정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온 세상 땅끝까지’ 하느님의 말씀을 충실히 전해 온 ‘성서와함께’ 50주년 기념 프로젝트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시리즈 제5권, 『탈출기·레위기』가 독자 여러분과 만납니다! ㆍ기획 의도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는 2022년 출간된 The Jerome Bible Commentar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 Third Fully Revised Edition의 한국어판으로, 총 33권(성경 입문 3권, 구약성경 14권, 신약성경 11권, 주제별 논문 5권)으로 나누어 출간됩니다. ‘성서와함께’의 희년을 맞아 한국 교회에 내놓는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를 통해 많은 그리스도인이 성경 말씀을 가까이하고, 그 말씀을 바르게 알아듣고 마음에 새겨, 진정한 하느님의 백성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ㆍ‘21세기 제롬 성경 주해’의 새로움 첫째, 가톨릭교회의 성서학자들이 교회의 성경 해석 전통을 존중하며 쓴 책입니다. 둘째, 가톨릭교회의 성경 73권 전체의 주해와 관련 주제들을 포괄적으로 담았습니다. 셋째, 성경에 관심이 있는 모든 교회 구성원이 볼 수 있는 수준으로 기술되었습니다. 넷째, 성경 각 권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성서학의 최근 연구 결과가 반영된 최신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