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Ⅰ 진단검사 개요
Ⅱ 일반검사 1. 혈액일반검사(Hematology) 2. 혈액응고검사(Blood coagulation test) 3. 혈액생화학검사(Biochemistry) 4. 면역혈청검사(Immuno-serologic test) 5. 호르몬검사(Hormone test) 6. 종양표지자(Tumor makers) 8. 배양 및 감수성검사(Culture & Sensitivity) 9. 소변검사(Urinalysis) 10. 대변검사(Stool exam) Ⅲ 계통별 검사 PART 1. 신경계 검사 PART 2. 심혈관계 검사 PART 3. 호흡기계 검사 PART 4. 소화기계 검사 PART 5. 내분비계 검사 PART 6. 비뇨생식기계 검사 PART 7. 산부인과 검사 Ⅳ 진단검사와 임상판단 사례 1장 성인 심혈관계 사례 2장 성인 소화기계 사례 3장 성인 신경계 사례 |
본서의 구성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이 책은 4부, 총 2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I부 : 진단검사의 개요 · II부 : 일반검사인 혈액검사, 혈액응고검사, 생화학검사, 면역혈청검사, 배양 및 감수성검사, 호르몬검사, 종양표지자검사, 유전자검사, 대소변검사 · III부 : 계통별 검사인 신경계, 심혈관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내분비계, 비뇨생식기계, 산부인과 · IV부 : 사례 I부는 전반적인 진단검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 개념을 소개하였고, II부는 일반검사를 소개하였다. 각 검체검사는 검사명, 목적, 정상 수치, 수치 증가와 감소가 의미하는 바를 요약한 것을 시작으로 검사의 목적, 개요와 검사방법과 기준치, 임상 판단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III부에 포함된 각각의 장에서 생체 검사는 각 검사의 개요, 목적, 검사방법, 적응증, 금기 사항, 정상 소견, 이상 소견, 검사 전·중·후 문제에 따른 임상 판단을 기술하였다. 각 장의 맨 마지막에 계통별 대표 질환별 자주 실시하는 검사를 정리하였다. 의료인은 물론 보건관련 종사자와 일반인들도 이 책을 통하여 각종 검사의 목적과 검사 방법을 쉽게 이해하고, 질병의 조기발견, 진단, 치료 효과 판정에 시행되는 검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