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Ⅰ. 2022 개정 교육과정 평가 톺아보기 =============================== 1. 2022 개정 교육과정 평가 방향 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의미와 방향 나. 2022 개정 교육과정 평가 방향 2. 깊이 있는 학습을 구현하기 위한 수업·평가 사례 가. 중등 외국어 교과에서 깊이 있는 학습 실현하기 나. 초등 수학 교과에서 깊이 있는 학습 실현하기 3. 학생 맞춤형 교육을 위한 노력 가. 디지털 교과서, AI 코스웨어와 생성형 AI로 수학 시간 정복하기 나. 이주배경학생(다문화학생)도 소외되지 않는 학습과 평가 4. 디지털·AI 활용 수업, 평가로 확장하기 가. 디지털·AI 활용 수업의 난제, 평가 나. 실제 수업 취지와 따로 가는 디지털·AI 활용 수업 수행평가 다. 디지털·AI 활용 수업, 평가 설계하기 라. 학습을 확장하고 역량을 키우는 학습으로서의 평가 =============================== Ⅱ. 개념기반 교육과정 살펴보기 =============================== 1. 개념기반 교육과정 생성형 AI로 풀어나가기 가. 쉽지 않은 개념기반 교육과정 나. 개념기반 교육과정, AI로 파고들기 2. 진정한 이해(전이)를 위한 백워드 설계와 평가 가. 백워드 교육과정과 개념기반 교육과정 나. 백워드 교육과정이란? 다. 백워드 교육과정의 적용 라. AI를 활용한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마. 백워드 설계와 평가, 그리고 AI 3. 삶으로 전이하는 개념기반 음악 수업 가. 학생의 눈높이에서 빠르기와 관련된 일반화 문장 찾기 나. AI로 빠르기와 관련된 일반화 문장 도출하기 다. 실생활에서 발견한 빠르기를 에듀테크로 표현하기 라. 타 교과로 빠르기 개념을 전이하기 마. 평가에서 발견한 일반화와 전이 바. 뒤늦게 깨달은 개념적 렌즈의 중요성 =============================== Ⅲ. 루브릭 =============================== 1. 루브릭의 개념과 제작 가. 루브릭의 개념 나. 루브릭의 제작 2. 루브릭 활용 가. 수업과 평가를 위한 루브릭 나. 교사의 성장을 돕기 위한 루브릭 =============================== Ⅳ. 성장중심평가 실천하기 =============================== 1. 학생 참여형 평가 실천 사례 가. 수업 전: 구글 설문으로 KWL을 반영한 평가 방향 설정하기 나. 수업 중: 자기 및 동료평가를 더하여 수행평가 준비하기 다. 수업 후: 평가 실시 및 추수지도하기 2. 데이터 기반 평가 실천 사례 가. 실시간으로 학생 성취도 파악하기 나. 데이터 공유와 피드백으로 학생의 성장 지원하기 3. 사회정서학습(SEL), 정의적 영역 평가 실천 사례 가. 에듀테크로 도움받는 정의적 영역 성장중심평가 나. 학생 교우관계 진단 설문지: 사회정서역량 및 수업 개선에 도움 얻기 =============================== Ⅴ. 평가와 피드백을 지원하는 플랫폼 =============================== 1. 구글 클래스룸(Google Classroom) 가. 에듀테크 왕초보 교사의 고민 나. 구글 클래스룸으로 한 번에 끝내는 성장을 지원하는 평가와 피드백 다. 성장을 지원하는 평가와 피드백에 대한 교사의 성찰 라.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평가에서의 고민과 보완점 마. 평가와 피드백을 끝낸 에듀테크 왕초보 교사의 소감 2. 구글 클래스룸 연습 세트(Practice Sets) 가. 교육과정 분석 나. 구글 클래스룸-리소스-새 연습 세트로 문항 출제하기 다. 직관적 대시보드와 맞춤형 제작 도구로의 활용 3. 다했니? 다했어요 가. 피드백으로 성장하는 포트폴리오 평가 나. ‘다했니? 다했어요’를 활용한 포트폴리오 평가 4. 클리포(Clipo), 뤼튼(Wrtn) 툴과 챗봇 가. 학습 결과에 관한 평가 나. 성장중심평가 다. 평가 및 피드백 도구(클리포, 뤼튼 챗봇과 툴, 뤼튼 채팅) 라. 성장중심평가의 공유 =============================== Ⅵ. IB와 2022 개정 교육과정 =============================== 새 교육과정의 실마리를 찾아서 가. IB 교육 도입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나. IB 교육의 이해 다. 2022 개정 교육과정과 IB 교육과정 비교 분석 라.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의 현실적 어려움 마.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 실행을 위한 제언 |
저지미정
관심작가 알림신청지미정의 다른 상품
저오한나
관심작가 알림신청오한나의 다른 상품
저노명호
관심작가 알림신청노명호의 다른 상품
저권의선
관심작가 알림신청저김영수
관심작가 알림신청저이진원
관심작가 알림신청저장희영
관심작가 알림신청장희영의 다른 상품
저조보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교육의 미래, 지금 시작된다."
9명의 현직 교사가 펜을 들어 교육 혁신의 최전선을 그려냈다. 이 책은 단순한 이론서가 아닌, 현장의 생생한 경험과 도전을 담은 혁신의 지도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을 꿰뚫는 이 책은 AI와 에듀테크를 활용한 평가 혁명을 선언한다. 개념기반 교육과정, 백워드 설계, 루브릭 평가부터 성장중심평가까지 - 미래 교육의 모든 퍼즐을 맞춰나간다. 특히 주목할 점은 현장 적용 사례와 실패 경험까지 솔직하게 공유하는 저자들의 용기다. 이는 이 책을 단순한 지침서를 넘어 동료 교사들과의 진정한 대화의 장으로 만든다. AI 시대, 교육의 본질을 지키며 혁신을 추구하는 모든 교육자에게 이 책은 필수다. 『2022 개정 교육과정 평가, AI로 날개를 달다』는 미래 교육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동시에, 그 여정에 함께할 용기와 지혜를 선사한다. 교실의 변화는 바로 여기서 시작된다.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를 바꿀 새로운 물결, 지금 손에 들고 있는 이 책에서 시작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