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서문 - 5
카발라 이해를 위한 주요 개념 - 19 1장 카발라 역사 - 33 (1) 카발라의 기원과 역사적 흐름 (2) 카발라 분류 (3) 에스겔의 비전과 메르카바 신비 (4) 크리스천 카발라 (5) 하시디즘 2장 카발라와 생명나무 - 69 (1) 카발라와 생명나무 (2) 신에게 돌아가는 열쇠 카발라 (3) 생명나무의 비밀 (4) 생명나무 (5) 생명나무의 여러 차원 (6) 생명나무: 위와 같이 그렇게 아래도 같다 (7) 생명나무와 숫자 400의 비밀 (8) 카발라의 중요성 3장 카발라와 신 - 97 (1) 아인 소프 (Ain Soph) (2) 카발라 우주 창조론 (3) 신의 이름 (4) 우주 창조의 3요소: 카발라와 인도 철학 (5) 테트락티스와 테트라그람마톤 (6) 성경 속의 신의 이름 4장 카발라와 영혼 - 135 (1) 카발라와 영혼 (2) 카발라와 영혼의 여러 국면 (3) 불교 무아와 카발라 영혼의 관계 (4) 아뢰야식과 카발라 영혼의 관계 (5) 영혼의 4국면과 지켜보기 (6) 생명나무와 영혼의 상승 (7) 카발라와 윤회 (8) 영혼의 윤회와 회개 5장 카발라와 각성의 길 - 167 (1) 32길의 비밀을 찾아서 (2) 근원으로 돌아가는 32개의 길 (3) 32길과 정통 유대 카발라 (4) 생명나무와 깨달음의 길 (5) 생명나무와 균형 (6) 생명나무의 응용 (7) 생명나무와 이상적 인간상 (8) 생명나무와 이상적 세계 (9) 생명나무의 빛과 차크라 (10) 카발라와 연금술 6장 카발라와 현시법칙 -221 (1) 서론 (2) 용어 정의 (3) 물질 현시와 영혼 (4) 물질 현시와 의지 (5) 물질 현시와 생각 (6) 심신의 이완과 집중 (7) 창조법칙과 카르마 (8) 물질 현시 법칙 (9) 참된 기도의 응답 7장 카발라 서적과 주요 카발리스트 - 245 (1) 세페르 예치라 (2) 조하르 (3) 바히르 (4) 카발라 스승들 8장 카발라 치유 - 285 (1) 카발라 치유의 원칙 (2) 병의 원인 (3) 생각과 건강(1) (3) 생각과 건강(2) (4) 3계의 균형 (5) 영혼의 치유 (6)『창조의 서』를 통한 치유법 (7) 신성 빛 명상을 통한 치유 9장 카발라 명상 - 301 (1) 카발라 명상 흐름 (2) 카발라 명상 용어 (3) 아리에 카플란의 명상기법 분류 (4) 카발라 명상과 동양 명상 (5) 명상을 위한 준비 자세 (6) 테트라그람마톤 명상 (7) 영혼 자각 명상 (8) 신성 빛 명상 (9) 생명나무 명상: 10개 세피로트와 신의 이름 (10) 신과 대화하기: 나흐만의 명상기법 (11) 무사르 학교의 자아 완성 명상 (12) 일상에서 신과 만나는 방법 10장 카발라 마법 -349 (1) 실천적 카발라의 역사적 흐름 (2) 마법이란 무엇인가? (3) 마법과 명상 그리고 진언 (4) 마법과 기도 그리고 의지 (5) 펜타그램 소 결계의식 (6) 미들 필라 의식 참고도서 - 377 |
저김태항
관심작가 알림신청김태항의 다른 상품
카발리스트들은 토라에 숨겨진 신비적 의미를 찾기 위하여 그리고 신의 지혜와 신과의 만남을 위하여 철학적 사유와 여러 명상법을 사용하였다. 그들은 드러난 것 너머의 신의 창조력이 펼쳐지는 차원에 대하여 말하였고 물질세계 너머의 영역 즉 아인(공)에 접근하고자 했다.
--- p.20 카발라는 우리가 가장 알고 싶어 하는 “신은 무엇인가?”, “나는 누구인가?”, “신과 나와의 관계는 무엇인가?”, “나의 존재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하여 답을 한다. 지금까지 어떤 철학이나 종교도 다루지 못한 영역으로 우리를 안내하는 참 가르침이다. --- p.74 카발라의 핵심은 생명나무이며 이것은 우주창조의 과정을 보여 줄뿐 아니라 우리 의식(意識)이나 심리, 행동, 각성을 위한 지도(地圖)나 안내서 역할을 한다. --- p.79 카발라는 고대 지혜 가르침 중에서 가장 변형되지 않은 원형 그대로의 진리를 담고 있다. 카발라는 지식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우리가 근원자와 합일할 수 있게끔 실제적인 안내를 하며 신의 왕국으로 돌아가는 열쇠를 제공한다. --- p.93 태초부터 힘이 있는 권능의 말 중에서 가장 신비롭고 심오한 것이 하느님 이름을 나타내는 히브리어 문자 요드-헤-바브-헤 (????)이다. 그리고 라틴 문자로 음역된 것이 YHVH(YHWH, JHWH, IHVH)이다. --- p.108 카발라가 인간의 본성을 높게 본다는 점이 같은 사상적 모태에서 출발한 유대교나 기독교와 크게 다르다. 카발라는 유대교나 기독교와는 완전히 다른 언어로 인간의 기원과 신과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구약 특히 토라를 해석하는 방법이 완전히 다르다. --- p.137 서양에서는 기독교 영향이 워낙 커서 윤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지 않았으나 사실 여러 기독교 종파가 존재한 초기 교회 시절로 돌아가더라도 상황은 달라진다. 당시 번성하였던 기독교 학파 중 하나였던 영지주의 학파는 영혼의 윤회를 인정하였다. 영지주의가 지금 정통으로 인정받고 있는 교파와의 싸움에 밀려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만약 영지주의가 정통으로 인정되었다면 윤회 사상은 기독교의 한 부분이 되었을 것이다. --- p.158 카발라 사상에서 인간의 회개는 우주적 차원의 복귀 과정이고 구원은 신에게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신에게 돌아간다는 것은 신의 피조물로 천국에 거주하는 그런 차원이 아니라 신과 하나됨을 의미하는 것이며 윤회의 끝을 의미한다. --- p.165 |
카발라의 신비열쇠(개정 증보판)는 유대 신비 가르침인 카발라에 대한 종합 안내서이다. 카발라는 지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상과 종교의 모태가 되는 가르침으로 신비 중의 신비 가르침이다. 이 책은
(1)유대 신비 가르침인 카발라의 비밀 문을 열어 주며 (2)동서양 종교의 가르침이 같음을 보여 주며 (3)근원으로 돌아가는 길(깨달음의 길)을 보여준다. 최근 서양에서 종교와 사상계의 지대한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 유대신비 가르침으로 알려진 카발라이다. 이런 카발라가 국내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80년대 중반이었다. 그 후 20년이 훌쩍 지난 지금 국내에는 여러 종류의 카발라 서적이 번역되어 소개가 되었다. 카발라 이론서와 응용서가 여러 권 번역되었고 카발라 가르침을 일부 담고 있는 마법서도 번역되었다. 그러나 이들 책이 광범위한 카발라 철학을 담기에는 턱없이 부족하고 카발라 핵심이 되는 정말 중요한 서적은 아직 소개가 되지 않았다. 이것은 국내 독자의 카발라에 대한 관심이 낮아 책이 출판될 환경이 조성되지 않아서이기도 하고 카발라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지닌 사람이 드물어서이기도 하다. 더군다나 카발라에 대한 통일된 체계적 경전이 존재하지 않아 일반인이 접근하기는 더욱 어렵다. 예로부터 40세가 넘어서야 카발라에 대한 공부가 허용될 만큼 카발라는 유대인에게도 어렵고 비밀스러운 가르침이었다. 카발라는 유대 비의 단체를 통하여 은밀히 구전되어왔고 일부가 문자로 기록이 되더라도 일반인에게 그 비밀이 세어나가지 않도록 많은 상징과 비유로 표현되어 전문가가 아니면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대다수 카발라 문헌이 히브리어로 기록이 되어있고 유대 문화가 많이 반영되어 이방인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분야였으나 20세기에 들어서 카발라 서적이 영어나 기타 언어로 번역이 되면서 카발라 사상은 미국이나 서구사회에서 사람들의 커다란 관심을 끌고 있다. 이것은 비록 카발라 사상이 유대인 사회를 통하여 전해졌지만 그 사상은 어느 특정 민족의 것이 아니라 모든 인류에게 열려있는 보편적 진리이기 때문이다. 카발라는 크게는 두 가지 흐름으로 이어져왔다. 하나는 문헌을 통하여 드러난 카발라이고 또 하나는 구전으로 비밀리 전해져 내려온 핵심을 담고 있는 카발라이다. 이 책은 구전된 비밀 카발라와 드러난 카발라 이 두 가지 흐름을 동시에 담고 있다. 무엇보다 카발라 핵심인 우주의 신비를 여는 생명나무의 비밀을 이해하기 쉽게 소개한다. 진리는 보는 방향에 따라 달라 보이는 보석 같이 문화와 사유체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뿐이다. 자아 수련을 통하여 깨달음을 추구하는 동양종교와 신을 믿고 따르는 유대교 사이에는 커다란 간격이 있어 보이나 유대 문화 속에 윤회와 카르마를 인정하고 근원과 합일은 추구하는 가르침이 있음을 안다는 것은 경이로운 경험일 것이다. 길이 하나가 아니듯 궁극의 자리로 돌아가는 길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다. 이 책은 카발라 사상을 단순히 소개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근원으로 돌아가는 구체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눈 밝은 사람은 책의 가치를 알아볼 것이고 생명나무를 통하여 근원 자리로 돌아가는 방법을 찾아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