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책내용
엘리자베스는 늘 실패할까 봐 두려워요. 수학 문제를 보면 배가 뒤틀리고 다리가 달달 떨려요. ‘뱀주사위 놀이’를 할 때는 뱀이 나와서 지게 될까 봐 짜증이 나요. 그런데 아빠가 도전에 대해 알려 주셨어요. 도전하는 건 쉽지 않지만, 자전거를 배울 때처럼 용기를 내서 계속 연습하다 보면 뱀도 수학 문제도 끝내는 이겨 낼 수 있게 된다고 하셨어요. 맞아요. 때로는 실수를 하고, 실패를 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그것들을 꿋꿋이 극복해 낼 때 진정한 승리자가 될 수 있다는 걸 엘리자베스는 이제 알아요. 출판사 서평 ‘장애’에 대한 이해를 바라는 책이 아닙니다. 진짜 말하고 싶은 것은 ‘함께’입니다. 오감으로 느껴지는 모든 것이 신기한 영유아기에는 ‘나’가 세상의 중심이지요. 그 다음으로 느끼고 배워야 할 것은 세상과 나의 조화입니다. 하지만 마음으로 담아야 할 세상이 어른들의 욕심에 의해 머리에 채워 넣어지고, 아이들은 빠르게 세상으로부터 스스로를 분리시켜 버립니다. 세상의 일부인 자신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배우고 익히고 정복해야 할 세상을 눈앞에 둔 채 아이들은 정답 외의 모든 것은 오답이라 배웁니다. 그리하여 자신과 다른 것은 인정하지 않으려 하고 배척합니다. 얕고 짧은 단편적 지식을 심어주는 책과 교육은 달콤합니다. 주기도 받기도 쉽기 때문이지요. 남보다 더 많이 알기 위해 짧고 명확한 정답만 익히느라 원인과 과정을 이해할 여유를 갖지 못합니다. 최근 발표된 0~2세 영아 교육 논의를 접하면서 더 일찍부터 마음을 닫고 머리를 열어야 하는 우리 아이들이 걱정됩니다. 그래서 ‘장애 함께 알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의미 없는 질문, “왜?” 몸이 불편한 친구, 생김새나 행동이 다른 친구를 보면서 쉽게 내뱉는 말. “누구누구는 왜 저래?” 이것이 과연 원인이나 배경을 알고 싶어 하는 질문일까요?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알고 싶지도 않고 상대하고 싶지도 않다는 뜻이 됩니다. ‘왜?’라는 질문은 나와 다르다는 단언인 동시에 이해하고 싶지 않다는 선언으로 변질되어 버렸습니다. “왜 저래?” 대신 아이들의 입에서 나와야 할 말은 “누구누구는 그렇구나.”입니다. 건강한 친구와 아픈 친구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며 어울려 살아가는 것. 이것이 《장애 함께 알기 프로젝트》가 진정 바라는 바입니다. 감수자의 말 불안은 어떤 일이 생길 것 같아 두려워하고 긴장하는 상태로, 이런 불안이 생활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심각하게 나타나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면 ‘불안 장애’로 진단합니다. 엘리자베스는 전형적인 불안 장애의 특징을 보입니다. 불안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집에서 수학 숙제를 할 때면 짜증을 심하게 내고, 수학 수업 시간에도 쉽게 좌절하며 과제에 집중하지 못하지요. 친구와 게임을 할 때도 질 것 같으면 바로 포기해 버리고, 좌절의 순간을 견뎌 내지 못합니다. 아직 어린 엘리자베스로서는 이러한 불안을 스스로 조절하고 극복하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이때 엘리자베스를 도와주는 사람이 나타나는데, 바로 엘리자베스의 아빠입니다. 아빠는 엘리자베스에게 보호 요인인 셈입니다. 아빠는 엘리자베스를 돕는 치료적 요인을 몇 가지 제시하면서 쉽고 친절하게 상황을 풀어 나갑니다. 첫 번째는 아빠가 엘리자베스를 이해하고 있는 점입니다. 이런 이해받는 느낌이 바탕이 되어 엘리자베스는 아빠의 말에 귀 기울이게 됩니다. 두 번째는 막연하고 두려운 불안의 대상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한 것입니다. 바로 ‘뱀주사위 놀이’ 속의 ‘뱀’을 이용한 것이지요. 자신을 옥죄는 막연한 불안감을 떨치거나 통제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게임 속 뱀은 시각적으로 구체화시키기 쉽고 통제하기도 쉽습니다. 엘리자베스가 수학 숙제를 하면서 불안을 호소할 때 아빠는 “수학은 뱀과 같은 거야.”라고 말해 주면서 안심시킵니다. 엘리자베스는 뱀을 극복하면서 수학 숙제와 관련된 불안도 쉽게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수학 시험을 보면서도 작은 뱀 그림을 쳐다보면서 불안을 통제하는 데 성공합니다. 이처럼 이 이야기에서는 불안을 시각화하여 통제하는 방식을 아주 쉽고 재미나게 다루고 있습니다. 세 번째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자기 지시’를 활용한 점입니다. 아빠는 실패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다시 도전하면 끝내는 승리한다며 ‘이보 전진을 위한 일보 후퇴’를 알려 줍니다. 엘리자베스는 엄마가 과자를 태웠을 때 “이보 전진을 위한 일보 후퇴”라며 엄마를 위로합니다. 엘리자베스는 앞으로 실수하는 상황이 일어나면 이 말을 떠올리며 자기 지시를 할 것입니다. 이 이야기는 아빠의 현명한 안내에 따라 엘리자베스가 불안을 극복해 가는 과정을 알기 쉽게 그렸습니다. 불안 장애를 겪거나 불안 성향을 보이는 아이와 부모님에게 좋은 안내서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