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현존하는 삼국지 해설서와 차별되는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지 상식 백가지』의 특징
1. 소설 삼국지 완역본 전체 120회 중 80회 이상의 축약본화 전체 120회라는 방대한 양을 자랑하는 소설 삼국지의 완역본을 읽는다는 것은 대단한 각오를 다지지 않는 한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이 책은 본문 138편의 내용을 소설 삼국지의 흐름에 맞춰 구성했고, 전체 120회의 소설 삼국지의 내용 중 80회 이상을 재미있게 요약해 마치 소설 삼국지의 축약본을 읽는 듯 하다. 2. 초보자를 위한 삼국지 해설서 각 편 첫머리에 삼국지 줄거리와 사건 요약을 배치해, 우선 소설 삼국지를 재미있게 읽고 그 내용을 분석하고 해설함으로써 삼국지 초보자나 한두 번 읽어 기억이 희미한 독자를 배려했다. 소설 삼국지의 요약을 읽고 역사 삼국지의 내용을 비교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문학적?역사적?사회학적?사상적 삼국지를 알 수 있도록 꾸몄다. 3. 250여 종에 달하는 방대한 관련 문헌 문헌학 권위자인 저자답게 현존하는 삼국지 해설서와 차별되는 250여 종의 방대한 관련 문헌으로 삼국지를 분석하고 있다. 4. 변화의 시기를 짚어보는 삼국지 해설서 기원후 290년경(진나라) 진수가 쓴 정사 삼국지 이후 기원후 1368년경(원말명초) 나관중에 의해 소설 삼국지가 등장했다. 소설 삼국지는 역사책이 나온 이래 천 년 동안의 수많은 민간예술과 문학, 전설 등이 자양분이 되어 이루어졌다. 소설 삼국지의 허구와 변형, 삭제 부분에 대해 변화의 시기를 찾아보고 나아가 중국 유명 학자들의 평가와 관점을 소개했다. 5. 소설 삼국지의 문학적 성취를 문헌학자의 입장에서 공평하게 평가 삼국지 해설서는 저자의 신분이나 전공, 관심분야에 따라 역사학자는 진위 여부에, 문학가는 문학이론 방면에, 그밖에도 경영학, 정치학, 사회학 등으로 편중되는 경향이 있다. 저자는 올곧이 고대문헌을 연구하는 문헌학자의 입장에서 소설 삼국지의 허구와 변형, 삭제가 문학적으로 얼마나 성공했는지 아니면 실패하였는지에 대해 객관적 평가를 내렸다. 6. 우리 나라 최고의 삼국지 전문가 정원기 교수의 삼국지 해설 정사 삼국지가 나온 이래 오늘날 우리가 소설 삼국지로 읽고 있는 모종강 본 『삼국지연의』가 나오기까지 어떤 시기에 어떤 책이 있었고 어떤 변화를 주었는지 명확히 해설한 책이 없었다. 이에 우리 나라 최고의 삼국지 전문가라 불리는 정원기 교수가 책의 말미에 해제를 실어 시대별로 삼국지의 변천사를 소개해 삼국지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7. 『회도 삼국연의』 본문 삽화 그림 청淸 광서光緖 16년(서기 1890년) 상해도서집성국上海圖書集成局에서 간행한 『회도 삼국연의繪圖三國演義』의 본문 삽화를 이야기 중간 중간에 배치해 독자의 눈을 즐겁게 하고 이해를 도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