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이전화면 이전화면
최근 검색어
인기 검색어

소득공제
움마 이야기
남북 어린이가 함께 보는 창작동화
이오덕
사계절 2006.12.04.
가격
7,000
10 6,300
YES포인트?
350원 (5%)
5만원 이상 구매 시 2천원 추가 적립
결제혜택
카드/간편결제 혜택을 확인하세요

이미 소장하고 있다면 판매해 보세요.

  •  해외배송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사계절 아동문고

책소개

목차

이 책을 엮어 내면서 - 이오덕
이 책을 새로 펴내면서

재현이의 하루 - 김일광
맞지 않은 기쁨 - 김학철
눈 먼 소녀 - 임옥인
물매암이 - 계용묵
움마 이야기 - 김승옥
까삐 - 김문세
꾸러기의 달 - 강정규
돌이와 들쥐 - 이준연
할머니와 염소 - 윤태규
놀이터와 바보 - 김영희
그들 사이 - 정문준
철이와 호랑이 - 최효섭
내 동생 - 김용길
사과 열매는 누가 가져야 옳은가 - 위기철

글쓴이 소개

저자 소개1

李五德

1925년 11월 4일에 경북 청송군 현서면 덕계리에서 태어나 2003년 8월 25일 충북 충주시 신니면 무너미 마을에서 세상을 떠났다. 열아홉 살에 경북 부동공립초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해 예순한 살이던 1986년 2월까지 마흔두 해 동안 아이들을 가르쳤다. 스물아홉 살이던 1954년에 이원수를 처음 만났고, 다음 해에 이원수가 펴내던 [소년세계]에 동시 ‘진달래’를 발표하며 아동문학가로 첫발을 내디뎠다. 그 뒤 이원수의 권유로 어린이문학 평론을 쓰게 된다. 1973년에는 권정생을 만나 평생 동무로 지냈다. 우리 어린이문학이 나아갈 길을 밝히기 위해 1977년에 어린
1925년 11월 4일에 경북 청송군 현서면 덕계리에서 태어나 2003년 8월 25일 충북 충주시 신니면 무너미 마을에서 세상을 떠났다. 열아홉 살에 경북 부동공립초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해 예순한 살이던 1986년 2월까지 마흔두 해 동안 아이들을 가르쳤다. 스물아홉 살이던 1954년에 이원수를 처음 만났고, 다음 해에 이원수가 펴내던 [소년세계]에 동시 ‘진달래’를 발표하며 아동문학가로 첫발을 내디뎠다. 그 뒤 이원수의 권유로 어린이문학 평론을 쓰게 된다. 1973년에는 권정생을 만나 평생 동무로 지냈다.

우리 어린이문학이 나아갈 길을 밝히기 위해 1977년에 어린이문학 평론집 『시정신과 유희정신』을 펴냈다. 이 책에서 절대 자유의 창조적 정신을 발휘한 어린이문학 정신을 ‘시정신’, 그에 반하는 동심천사주의 어린이문학 창작 태도를 ‘유희정신’이라 했으며, 현실에서 살아가고 있는 어린이의 눈과 마음으로 보고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어린이문학의 ‘서민성’을 강조했다. 또한 모든 어린이문학인이 새로운 문명관과 자연관, 아동관에 서지 않고서는 진정한 어린이문학을 창조할 수 없다고 이야기했다. 어린이문학의 발전을 위해 작가들과 함께 어린이문학협의회를 만들었으며, 어린이도서연구회를 만드는 데도 힘을 보탰다.

2003년 작고 전까지 아동 문학 평론가로서 어린이들이 올바른 글쓰기 교육을 하도록 이끌었고,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어린이문학협의회’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들을 꾸렸으며, ‘어린이도서연구회’를 여는 바탕이 되었다. 한국 아동문학상과 단재상을 받았으며, 어린이를 사랑하고 아끼고 돌보는 일과 어린이 문학, 우리말 바로잡기에 평생을 바쳤다.

그동안 쓰고 엮은 책으로 『아동시론』, 『별들의 합창』, 『까만 새』, 『시정신과 유희정신』, 『일하는 아이들』, 『삶과 믿음의 교실』, 『이 아이들을 어찌할 것인가』, 『어린이를 지키는 문학』, 『이 땅의 아이들 위해』, 『울면서 하는 숙제』, 『종달새 우는 아침』, 『개구리 울던 마을』, 『거꾸로 사는 재미』, 『삶·문학·교육』, 『우리 문장 쓰기』,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 『참교육으로 가는 길』, 『농사꾼 아이들의 노래』, 『문학의 길 교육의 길』, 『나무처럼 산처럼』, 『어린이책 이야기』, 『아이들에게 배워야 한다』, 『감자를 먹으며』, 『우리 말 살려쓰기(하나),(둘)』, 『고든박골 가는 길』 등 다수가 있다.

이오덕의 다른 상품

엮은이 : 이오덕
1925년 경북 청송에서 태어나 평생 아동문학과 글쓰기 교육, 우리말 살리기에 힘쓰다 2003년 8월 세상을 떠났습니다. 교직에 몸담은 1944년부터 40여년 동안 우리 아이들이 자기 삶을 사랑하고 가꾸는 '일하는 아이들'이 되길 바라며 글쓰기 교육을 실천했습니다. 1955년 동시 "진달래"를 <소년세계>에 발표했고, 1971년 동아일보에 동화가, 한국일보에 수필이 당선되었으며, 한국아동문학상과 제3회 단재상을 받았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개구리 울던 마을』『시정신과 유희정신』『우리 글 바로 쓰기』『글쓰기 어떻게 가르침까』등이 있고, 엮은 책으로 『일하는 아이들』『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등이 있습니다.

품목정보

발행일
2006년 12월 04일
쪽수, 무게, 크기
199쪽 | 380g | 153*225*20mm
ISBN13
9788958281139

리뷰/한줄평0

리뷰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