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소득공제
아산, 그 새로운 울림: 미래를 위한 성찰 세트 (보급판)

아산, 그 새로운 울림: 미래를 위한 성찰 세트 (보급판)

: 사람과 삶

[ 전4권 ]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정가
72,000
판매가
64,800 (10% 할인)
배송안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11(여의도동, 일신빌딩)
지역변경
  • 배송비 : 무료 ?
신상품이 출시되면 알려드립니다. 시리즈 알림신청
eBook이 출간되면 알려드립니다. eBook 출간 알림 신청
  •  국내배송만 가능
  •  최저가 보상
  •  문화비소득공제 신청가능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5년 12월 28일
쪽수, 무게, 크기 쪽수확인중 | 153*224*50mm
ISBN13 9791156756330
ISBN10 1156756332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저 자 소 개
01_얼과 꿈

전영수(한양대학교)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학과 졸업,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석사 및 박사(국제경제학).
경력/ 게이오대학교 경제학부 방문교수, 한양대학교 사회적기업 리더과정 운영교수(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일본학회 상임이사(편집이사), 현 한양대학교 국제대학원 특임교수.
저서 및 논문/《이케아세대, 그들의 역습이 시작됐다》(중앙북스, 2014),《인구충격의 미래한국》(프롬북스, 2014).〈새로운공공(新しい公共)의 경로탐색과 교훈-일본의 관민협치 실험과 한계, 일본학보 103집, 한국일본학회, 2015.

박태원(울산대학교)
학력/ 한양대학교 법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및 박사 학위 취득.
경력/ 제2회 가산학술상(1990), 제2회 원효학술상(2011), 제1회 대정학술상(2013) 수상, 현 울산대학교 철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원효사상연구》(UUP, 2011),《원효, 하나로 만나는 길을 열다》(한길사, 2012),《원효의 십문화쟁론. 번역과 해설 그리고 화쟁의 철학》(세창출판사, 2013),《원효의 금강삼매경론 읽기. 선의 철학, 철학의 선》(세창미디어,2014).

정진홍(울산대학교)
학력/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 종교학과, 동 대학원. San Francisco Theological Seminary D. Min.
경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교수 역임, 현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울산대학교 석좌교수
저서 및 논문/《종교학 서설》(전망사, 1985),《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정직한 인식과 열린 상상력》(청년사, 2010) 등.

강대중(서울대학교)
학력/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미국 University of Georgia 대학원 박사(Ph.D. in Adult Education).
경력/ 문화일보 기자, 교육인적자원부 부총리 정책보좌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국제협력팀장, 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Life and Learning of Korean Artists and Craftsmen: Rhizoactivty》(Routledge, 2015, 단독),《최신 교육학개론(2판)》(학지사, 2012, 공저).〈한국 상장교육기업의 출현 및 성장과정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한국교육, 41(1), 2014(공저).〈Emergence of informal educative space out of an anonymous online bulletin board in Korea during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32(3), 2013(공저).

소래섭(울산대학교)
학력/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 및 박사.
경력/ 한국시학회 이사, 울산광역시 문화예술진흥위원회 위원, 현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교수.
저서 및 논문/《백석의 맛》(프로네시스, 2009),《불온한 경성은 명랑하라》(웅진지식하우스, 2011), 《시는 노래처럼》(프로네시스, 2012),《백석, 외롭고 높고 쓸쓸한》(우리학교, 2014).

02_살림과 일

류석춘(연세대학교)

학력/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대학원 박사.
경력/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환교수, 미국 UC San Diego 대학교 교환교수, 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 원장, 현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아산 정주영과 한국경제 발전 모델》(집문당, 2011, 공저). The Korean Economic Developmental Path: Confucian Tradition, Affective Network , Palgrave Macmillan, 2013. Skilled Workers in Korea: From Industrial Warrior to Labour Aristocrat, Cornell University Press, (forthcoming)(공저).〈사회자본 개념으로 재구성한 한국의 경제발전〉, 사회와 이론, 12, 2008(공저).〈1970년대 기능공 양성과 아산 정주영〉, 아산사회복지재단 편.

김홍중(서울대학교)
학력/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 고등연구원(EHESS) 박사.
경력/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계간 [문학동네] 편집위원, 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저서 및 논문/《마음의 사회학》(문학동네, 2009).〈서바이벌, 생존주의, 그리고 청년세대〉, 한국사회학 49(1), 2015.〈마음의 사회학을 이론화하기〉, 한국사회학 48(4), 2014.

이재열(서울대학교)
학력/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및 석사, 하바드대학교 사회학 박사.
경력/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집행위원장,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장,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도서관장 겸 사회과학데이터센터소장, 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 [한국사회의 질: 이론부터 적용까지], 한울아카데미, 2015(공저). [한국 기업과 사회의 경쟁력], 서울대 출판문화원, 2012(공저). "Social capital in Korea: relational capital, trust, and transparency", 2015. "Social Quality as a measure for social progress", 2011.

유광호(연세대학교)
학력/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박사.
경력/ 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 박사후 연구원, 연세대학교 강사, 현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전문연구원.
저서 및 논문/《한국현대사 이해》(경덕출판사, 2007, 공저).〈1970-80년대 양성된 중화학공업부문 기능공의 계층이동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정주영의 기능공 양성과 중산층 사회의 등장: 현대중공업 사례를 중심으로〉, 東西硏究, 27(3), 2015(공저).

03_나라와 훗날

김석근(아산정책연구원/아산서원)

학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 및 박사.
경력/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정치사상연구실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BK21교수, 현 아산정책연구원 한국학연구센터장, 아산서원 부원장.
저서 및 논문/《한국정치사상사》(공저, 백산서당, 2005),《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역서, 문학동네, 2007).〈화쟁(和諍)과 일심(一心): 원효 사상에서의 평화와 통일],〈개화기 자유주의 수용과 그 함의].

왕혜숙(연세대학교)
학력/ 연세대학교 인문학부(영문학/사회학)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및 박사.
경력/ 대만 외교부 Taiwan Fellowship, POSCO 청암재단 아시아지역전문가Fellowship(2011), 국립대만대학 사회학과, 캐나다 UBC(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한국학연구소(the Centre for Korean Research) 방문 연구원, 현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연구교수.
저서 및 논문/〈한국의 발전국가와 정체성의 정치: 박정희 시기 재일교포 기업인들의 민족주의 담론과 인정 투쟁〉, 경제와 사회, 통권 107호, 2015.〈가족 인정 투쟁과 복지정치: 한국의 의료보험 피부양자 제도의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7(4), 2013.〈죽음의 순간에야 확인되는 가족의 문화적 경계: 9.11 테러와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사회와이론, 통권 20집, 2012.

김명섭(연세대학교)
학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파리1 팡테옹-소르본 대학교 박사.
경력/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사 분과위원장, 국제학술지Geopolitics 편집위원, 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 원장, 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전쟁과 평화: 6.25전쟁과 정전체제의 탄생》(서강대 출판부, 2015), Northeast Asia and the Two Koreas(공저, Yonsei Univ. Press, 2008),《한국외교사와 국제정치학》(공저,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대서양문명사》(한길사, 2001).

양준석(연세대학교)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체코어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및 박사.
경력/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한국외교 사료조사 프로젝트 연구원, 현 연세대 이승만연구원 전문연구원.
저서 및 논문/〈한국 지역담당 외교조직의 변천과정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15.〈한국외교사에서 아프리카와 중동〉, 한국정치학회보, 46(5), 2012(공저).〈1967년 "동백림사건" 이후 한독관계의 긴장과 회복〉,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5(1), 2013(공저).

강원택(서울대학교)
학력/ 서울대 지리학과 졸업, 서울대 대학원 정치학과 석사, 영국 런던정경대학교(LSE) 정치학 박사.
경력/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 위원, 국회 남북화해협력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정당학회장,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저서 및 논문/ 《통일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나남, 2012),《대한민국 민주화 이야기: 민주화를 향한 현대한국정치사》(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5).〈제한적 정당 경쟁과 정당 활동의 규제: 정당법의 기원과 변천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4권 2호, 2015.〈한국에서 정치 균열 구조의 역사적 기원: 립셋-록칸 모델의 적용〉, 한국과 국제정치 27권 3호, 2011.

정태헌(고려대학교)
학력/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및 박사.
경력/ 역사문제연구소 소장,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회장, 남북학술교류협회 이사장, 남북역사학자협의회 부위원장, 현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한국의 식민지적 근대 성찰》(선인, 2007),《20세기 한국경제사》(역사비평사, 2010),《민주화·탈냉전시대, 평화와 통일의 사건사》(편저, 소명출판, 20104) 외 다수.

04_사람과 삶

홍선미(한신대학교)

학력/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University of Wisconsin 사회복지대학원 석사(Social Work), Columbia University 사회복지대학원 박사(Social Work).
경력/ 한신대학교학생상담센터 소장, 오산종합사회복지관 관장, 경기도 무한돌봄센터 센터장, New York State Psychiatric Institute, Research Scientist, 현 한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사회복지실천기술론》(나남출판, 2006, 공저),《사회복지개론》(청목출판사, 2010, 공저).〈지역사회거주 정신장애인의 사회권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7(1), 2013. 〈미국사회복지실천의 역사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와 가치지향〉, 상황과복지, 31, 2011.

최재성(연세대학교)
학력/ 연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졸업, Univ. of Minnesota, Mineapolis 사회사업학 석사, Univ. of California at Berkeley사회복지학 박사.
경력/ 연세대학교 BK21Plus 사회복지사업단장,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분과위원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장,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회장, 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노인요양원과 문화 변화》(집문당, 2015). Jae-Sung Choi, “Dynamics of Innovation in Nonprofit Organizations: The Pathways from Innovativeness to Innovation Outcome”, Human Service Organizations: Management, Leadership & Governance, 38(4), 360-373, coauthored, 2014. Jae-Sung Choi, “Relationship Between Staff-reported Culture Change and Occupancy Rat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ursing Homes in South Korea”, Gerontologist, 53(2), 235-245, coauthored, 2013.〈경제위기 시의 빈곤탈출요인에 대한연구: 1998년 경제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의 비교〉, 사회복지연구, 45(1), 5-36, 2014(공저).

김태영(성균관대학교)
학력/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Stanford University석사 및 박사(조직사회학).
경력/ 전 홍콩과학기술대학 (HKUST) 경영전략 교수, 현 성균관대학교 SKK GSB 부원장(교수).
저서 및 논문/ Tai-Young Kim and Jeroen Kuilman, “The Demography of Resources: Divestments of Aircraft among U.K. Airlines, 1919-1975”,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 50:1155-1184, 2013. Tai-Young Kim, Andrew Delios and Dean Xu, “Organizational Geography, Experiential Learning, and Subsidiary Exit: Japanese Foreign Expansions in China, 1979-2001”,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10:579-597, 2010. Tai-Young Kim, Dongyoub Shin, Hongseok Oh, and Young-Chul Jeong, “Inside the Iron Cage: Organizational Political Dynamics and Institutional Changes in Presidential Selection Systems in Korean Universities, 1985-2002”(with), AdministrativeScienceQuarterly, 52:286-323, 2007. Stanislav Dobrev and Tai-Young Kim,
"Positioning among Organizations in a Population: A Model of Mutualism and Competition”, AdministrativeScienceQuarterly , 51:230-261, 2006.

이봉주(서울대학교)
학력/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Norfolk State University School of Social Work 석사, University of Chicago School of Social Service Administration 박사.
경력/ 전 University of Chicago 부교수,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회장, Child Indicators Research 공동편집위원장, 현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사회서비스와 공급체계: 쟁점과 대안》(EM 커뮤니티, 2008, 공저),《사회복지행정론》(나남, 2012, 공저).〈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학업성취 효과 종단적 분석〉, 한국아동복지학, 45, 2014(공저).〈Family, school, and community correlates of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Child Indicators Research, 8(1), 2015, (공저).

김진(울산대학교)
학력/ 전남대학교 철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 석사, 독일 루어대학(보쿰) 철학박사.
경력/ 울산대학교 출판부장, 울산대학교 교양기초교육원장, 한국칸트학회 회장,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장, 제4회 세계인문학포럼 위원, 제1회 한중인문학포럼 위원, 현 울산대학교 철학과 교수.
저서/《퓌지스와 존재사유-자연철학과 존재론의 문제들》(문예출판사, 2003),《칸트와 불교》(철학과현실사, 2004),《철학의 현실문제들》(철학과현실사, 2007),《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읽기-세창명저산책 17》(세창미디어, 2013).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회원리뷰 (0건) 회원리뷰 이동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0건) 한줄평 이동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상품정보안내

세트도서는 개별서지정보를 모두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각 권의 상세페이지도 참고해 주세요.

배송/반품/교환 안내

배송 안내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배송 구분 예스24 배송
  •  배송비 : 무료배송
포장 안내

안전하고 정확한 포장을 위해 CCTV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님께 배송되는 모든 상품을 CCTV로 녹화하고 있으며,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 과정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목적 : 안전한 포장 관리
촬영범위 : 박스 포장 작업

  • 포장안내1
  • 포장안내2
  • 포장안내3
  • 포장안내4
반품/교환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과 관련한 안내가 있는경우 아래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반품/교환 방법
  •  고객만족센터(1544-3800), 중고샵(1566-4295)
  •  판매자 배송 상품은 판매자와 반품/교환이 협의된 상품에 한해 가능합니다.
반품/교환 가능기간
  •  출고 완료 후 10일 이내의 주문 상품
  •  디지털 콘텐츠인 eBook의 경우 구매 후 7일 이내의 상품
  •  중고상품의 경우 출고 완료일로부터 6일 이내의 상품 (구매확정 전 상태)
반품/교환 비용
  •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 반송비용은 고객 부담임
  •  직수입양서/직수입일서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20%를 부과할수 있음

    단, 아래의 주문/취소 조건인 경우, 취소 수수료 면제

    •  오늘 00시 ~ 06시 30분 주문을 오늘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오늘 06시 30분 이후 주문을 익일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직수입 음반/영상물/기프트 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 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30%를 부과할 수 있음

    단, 당일 00시~13시 사이의 주문은 취소 수수료 면제

  •  박스 포장은 택배 배송이 가능한 규격과 무게를 준수하며,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의 반송비용은 박스 당 부과됩니다.
반품/교환 불가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 전자책 단말기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예) CD/LP, DVD/Blu-ray,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eBook 대여 상품은 대여 기간이 종료 되거나, 2회 이상 대여 했을 경우 취소 불가
  •  중고상품이 구매확정(자동 구매확정은 출고완료일로부터 7일)된 경우
  •  LP상품의 재생 불량 원인이 기기의 사양 및 문제인 경우 (All-in-One 일체형 일부 보급형 오디오 모델 사용 등)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소비자 피해보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반품,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  대금 환불 및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64,8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