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유아문학

유아문학

: 이론과 적용

[ 2판, 반양장 ]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베스트
사범대 계열 top100 4주
정가
24,000
판매가
24,000
구매 시 참고사항
  • 본 도서의 개정판이 출간되었습니다.
eBook이 출간되면 알려드립니다. eBook 출간 알림 신청
분철서비스 시작 시 알려드립니다. 분철서비스 알림신청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6년 03월 25일
판형 반양장?
쪽수, 무게, 크기 608쪽 | 188*254mm
ISBN13 9788999709180
ISBN10 8999709183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2판 머리말
1판 머리말

제1부 유아문학의 이론적 기초

제1장 유아문학의 본질
1. 유아문학의 정의
2. 유아문학의 가치 및 유아문학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제2장 유아의 기본 욕구와 발달특성에 따른 유아문학
1. 유아의 기본 욕구와 유아문학
2. 유아의 발달특성과 유아문학

제3장 유아문학의 연구방법
1. 독자반응(상호 교류적) 접근
2. 역사적 접근
3. 정신분석적 접근
4. 남녀평등적 접근
5. 문학형식적 접근
6. 미술적 접근
7. 문학교육적 접근

제4장 유아문학의 역사
1. 한국의 아동문학 역사
2. 외국의 아동문학 역사
3. 세계의 아동문학상

제2부 유아문학의 종류

제5장 유아문학의 장르
1. 한국 아동문학의 장르
2. 외국 아동문학의 장르
3. 유아문학의 종류

제6장 그림책
1. 그림책의 정의 및 특징
2. 그림책의 가치 및 교육적 의의
3. 그림책의 유형
4. 그림책의 평가 준거

제7장 전승문학
1. 민담
2. 우화
3. 신화와 전설
4. 전승문학의 재화

제8장 환상문학
1. 환상동화의 특징
2. 환상동화의 가치 및 교육적 의의
3. 환상동화의 역사
4. 환상동화의 종류
5. 환상동화의 평가 준거

제9장 사실문학
1. 사실동화
2. 전기

제10장 정보 그림책
1. 정보 그림책의 교육적 의의
2. 정보 그림책의 종류
3. 정보 그림책의 평가 준거

제11장 전래동요와 동시
1. 전래동요
2. 동요와 동시의 개념 및 특징
3. 동요와 동시의 교육적 의의
4. 유아를 위한 동요와 동시의 종류
5. 좋은 시의 요소 및 평가 준거

제3부 유아문학과 교육

제12장 유아문학과 유아교육과정
1. 유아문학과 유아교육과정

제13장 유아문학의 매체적 접근
1. 구연하기
2. 그림 이야기책 읽어 주기
3. 그림동화
4. ‘큰 책’
5. 북아트
6. 융판 및 자석판 동화
7. 극화활동
8.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문학의 제시

제14장 유아문학의 교육적 접근
1. 반응 중심적인 문학활동의 종류
2. 반응 중심적인 문학활동의 전개
3. 글과 그림읽기의 통합적 접근

제15장 독서치료
1. 독서치료의 정의
2. 독서치료의 이론적 기초
3. 독서치료의 발전과정
4. 독서치료의 단계
5. 독서치료 자료

참고 그림책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저자 : 김현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학사, 석사),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초등 및 유아교육학과(박사)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초대 회장, 한국독서치료학회 초대 회장으로 있다가 현재는 열린사이버대학교 통합예술치료학과 교수, 한국독서치료학회 고문·독서치료전문가, 한국목회상담협회 기독교상담전문가로 있다.
저자 : 박상희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석사, 박사)로 현재 광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광신대학교 대학원 통합예술상담학과 학과장, 한국독서치료학회 독서치료전문가, 한국모래상자치료학회 모래상자치료전문가로 있다.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유아문학은 어른들이 어린아이의 세계를 이해하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유아의 세계를 그린 창작물을 말한다. 유아들은 성인이 들려주는 언어의 세계를 통해 모국어를 접한다. 유아기의 발달에 적절한 언어교육은 어른들의 이야기 들려주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인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모국어의 발화를 넓히고 그림과 함께 읽어 주는 책을 통해 언어 상징을 알아 가며 문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고등 정신기능을 위한 사고 체계를 갖추게 된다. 유아들은 이처럼 이야기를 들으며 인간의 삶과 역사, 기본적인 가치관의 틀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민담과 같은 옛이야기는 어릴 때부터 자주 들음으로써 그 사회의 삶의 방식과 문화를 체화하게 된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아문학이 유아들의 발달에 부합하며 유아교육과정에 자연스럽게 포함되도록 하는 데 많은 관심을 가져 왔다. 그림책은 간접 경험을 통해 유아들의 제한된 경험의 폭을 확장하며 언어능력과 사고의 깊이를 키워 준다.

개정판은 총 3부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에서는 유아문학의 정의, 유아의 발달과 욕구와 관련하여 그림책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림책의 역사에 대해서는 동서양, 우리나라를 시대별로 고찰하였다. 제2부에서는 유아문학의 종류를 장르별로 살펴보았으며 영아용 그림책도 따로 살펴서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제3부에서는 누리과정에 기초하여 유아문학의 교육적 접근에 대해 제시하였다. 제1, 2부에서는 그림책을 꼼꼼히 들여다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제3부에서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그림책을 읽어 주는 방법과 활동들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개정판에서는 그림책을 통한 독서치료의 부분도 포함하였는데 관련도서들은 다시 보완하였다.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