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생활 속 경제원리

생활 속 경제원리

리뷰 총점8.0 리뷰 1건 | 판매지수 420
베스트
대학교재 top100 1주
eBook이 출간되면 알려드립니다. eBook 출간 알림 신청
분철서비스 시작 시 알려드립니다. 분철서비스 알림신청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6년 03월 04일
쪽수, 무게, 크기 328쪽 | 623g | 188*254mm
ISBN13 9788947280730
ISBN10 8947280739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제1장 경제학의 기초적 개념
1. 행복=소유/욕망 이란 공식은 옳은 말일까? -희소성의 법칙과 경제학 / 12
2. 모든 것을 동시에 가질 수는 없는가? -희소성과 선택 / 14
3. 이솝 우화 중 “개미와 베짱이”에 대해 어떻게 재평가할 수 있을까? -합리적 선택 / 18
4. 산토끼와 집토끼 어느 것을 잡을 것인가? -기회비용 / 20
5. 경제활동의 원동력은? -유인(incentives) / 22
6. 왜 우리는 ‘지금 이 순간’을 중시하는가? -합리적 의사결정과 한계분석 / 24
7. 우리들은 무엇을 위해 경제적 행위를 하는가? -최적화와 합리성 / 26
8. 보이지 않는 손이란? -자발적 교환과 시장 / 29

제2장 수요와 공급
1. “이번 경제학 강좌에서 학점을 뭘 받고 싶나요?” -수요의 개념 / 34
2. 어떻게 사장들이나 가질 수 있던 휴대폰을 학생들도 가지게 되었을까? -수요의 법칙 / 36
3. “커피 가격이 상승하니까 커피 수요가 감소한다.”는 진술은 옳을까? -수요와 수요량의구분 / 39
4. 우리나라의 군 입대 제도가 미국처럼 지원병제라면 여러분은 군대에 지원하겠는가? -공급의 개념 / 40
5. 미국은 징병제가 아닌 지원병제인데 어떻게 군인을 충원할 수 있을까? -공급의 법칙 / 43
6. 지원병제에서 사병 임금이 상승하지 않으면 왜 지원자가 증가하지 않을까? -공급과 기회비용 / 45

제3장 가격과 자원배분
1. 왜 우리나라 들판에서 밀밭이 사라졌을까? -공급의 변화와 가격 변동 / 48
2. 왜 교대의 초등임용고사 합격률이 한때 크게 하락했을까? -수요의 변화와 가격변동 / 60
3. 어떻게 밀 가격의 하락이 우리나라 들판에서 밀밭이 사라지는 거대한 변화를일으킬 수 있었을까? -가격의 기능 / 62
4. 최저임금제는 빈민들에게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을까? -가격 통제 / 65

제4장 수요와 공급의 가격 탄력성
1. 어떻게 배추 한 포기의 가격이 15,000원까지 폭등하기도 하고, 300원까지 폭락하기도 할까? -수요의 가격탄력성 / 70
2. 정부는 담뱃값을 올릴 때마다 그 이유로 “흡연을 감소시켜 국민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라고 말한다. 이는 경제학적으로 타당한 논리일까?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판매 수입 / 75
3. 왜 대학교 구내이발소에서는 동일한 이발 서비스에 대하여 교수들에게는 비싸게, 학생들에게는 싸게 받을까? -가격 차별의 원리 / 77
4. 왜 스포츠나 은막의 슈퍼 스타들의 소득은 교수들의 소득보다 수십 배나 더 많을까? -공급의 가격탄력성 / 79
5. 1980년대 초 유명가수였던 B씨는 일찍 재테크에 눈을 떠 부동산 투자로 200억대의 자산가가 되었다. 그가 부동산 투자로 거액을 벌 수 있었던 경제학적 근거는 무엇일까?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수요(1) / 81
6. 왜 시골의 비옥한 농토보다 도시 주변의 황무지가 더 비쌀까?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수요(2) / 82

제5장 가계와 기업의 경제적 의사결정 원리
1. 사랑은 영원할 수 있을까?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 88
2. 물과 다이아몬드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할까? -한계효용의 결정 요인 / 90
3. 친구들과의 술자리에서 술을 몇 병 주문하는 것이 합리적일까? -한계분석 / 92
4. 영화가 재미없을 때 영화관을 나오는 게 좋을까, 아니면 끝까지 보는 게 좋을까? -매몰비용과 의사결정 / 94
5. 기업은 무엇을 위해 생산을 하는가? -이윤극대화와 사회적 책임 / 97
6. 기업의 이윤과 비용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이윤, 명시적 비용 및 암묵적 비용 / 98
7. 자동차를 생산할 때,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몇 대 생산에서 멈춰야 할까? -이윤극대화와 산출량 / 100

제6장 시장의 형태
1.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시장과 경제학에서의 시장은 어떻게 다른가? -시장의 경제적 의의 / 104
2. 시장은 어떻게 발달했으며, 시장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시장의 발달과 종류 / 105
3. KT와 SKT 통신 서비스 시장은 경쟁적인가? 비경쟁적인가? -경쟁적 시장과 비경쟁적 시장 / 106
4. 주식시장이나 쌀시장이 완전경쟁시장일까? -완전경쟁시장의 특성 / 109
5.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는 어떤 이유로 독점기업인가? / 113
6. 광고에 열을 올리는 시장은 무슨 시장인가? -과점시장의 특성 / 120
7. 제품 차별화로 승부를 거는 시장은 무슨 시장인가? -독점적 경쟁시장의 특성 / 122

제7장 소득 분배
1. 구두쇠 스크루지를 부자라고 할 수 있을까? -소득의 개념 / 126
2. 우리나라의 소득 분배는 못 살던 7080 시대가 더 평등했을까, 아니면 잘 살게된 오늘날이 더 평등할까? -소득불평등 지표 / 128
3. 왜 대졸자들이 고졸자들보다 돈을 더 많이 벌까? -소득불평등의 원인 / 133
4. 부유한 사람들에게서 세금을 많이 징수하여 가난한 사람들에게 복지 혜택을 주는 소득재분배 정책은 타당한 것일까? -분배적 정의 / 136

제8장 시장의 실패와 정부의 역할
1. 애덤 스미스의 꿈은 왜 사라지게 되었을까? -자유방임경제의 종언 / 140
2. 시장의 실패란 어떤 뜻일까? -시장실패의 개념 / 141
3. 시장실패의 원인과 대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143
4. 현대 경제에서 정부는 어떤 역할을 수행할까? / 150
5. 정부실패란 어떤 의미일까? -정부실패의 개념 / 152
6. 정부실패의 원인과 대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154

제9장 국민경제와 경제성장
1.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거시경제의 이해 / 160
2. 국민경제란 무엇인가? / 161
3. 국민경제의 지표와 국민소득이란 무엇인가? / 162
4. 국민경제는 어떻게 움직여 가고 있을까? -소득의 순환 / 164
5. GDP는 과연 경제적 성과나 후생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 -GDP의 유용성 / 168
6. 국부와 국민소득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국부와 국민 소득의 관계 / 169
7. 국민소득은 왜 달러로만 말하는가? / 172
8. 경제성장이란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가? -경제성장의 의미 / 173
9. 후진국은 어떻게 경제를 성장시켜 가는가? -경제성장 이론들 / 175

제10장 물가와 인플레이션
1. 경제의 건강상태는 무엇으로 체크하는가? -물가와 물가지수 / 182
2. 경제정책 수립과 경제동향 분석의 기초자료는 무엇일까? -물가지수의 다양한 용도 / 185
3. 장바구니 물가는 지수물가보다 왜 높게 나타나는 것일까? -지수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gap) / 187
4. 인플레이션은 사람들을 경제인으로 만들어 주는가? -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과 유형 / 189
5. 정부는 인플레이션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인플레이션과 물가안정정책 / 193
6. 인플레이션은 가진 자의 금고를 살찌우는 마법인가? -인플레이션의 효과(손실) / 196

제11장 경기후퇴와 실업
1. 경기후퇴 시에 왜 실업이 발생하는가? -실업발생의 적신호 / 206
2. 실업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측정하는 것인가? -실업의 정의와 측정 / 207
3. 역사적으로 대량실업은 어느 정도였을까?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실업 / 216
4. 고용의 유토피아(utopia)는 없는 것인가? -실업해소 방안 / 220
5. 숲 속의 두 마리 토기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필립스 곡선과 스태그플레이션 / 224

제12장 화폐와 금융
1. 신용의 용인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화폐에 관한 경제학적 사고방식 / 232
2. 화폐는 왜 인체의 혈액에 비유되는 것일까? -화폐의 기능 / 234
3. 지급 수단으로서 수표와 어음, 신용카드는 어떻게 사용할까? -수표, 어음, 신용카드 / 235
4. 주식과 채권은 무엇인가요? -주식과 채권 / 241
5. 이자율은 무엇이며 어떻게 결정되는가? -화폐의 수요와 공급 / 243
6. 어디까지를 통화로 볼 것인가? -통화지표 / 250
7. 통화관리는 어떻게 하는가? -중앙은행의 기능과 금융정책의 수단 / 253
8. 흑자경제주체와 적자경제주체는 어디서 만나게 될까? -금융시장과 금융기관 / 256

제13장 경제변동과 경제안정화 대책
1. 경제상황에 따라 왜 사람들의 경제활동이 달라질까? / 268
2. 경기는 어떤 흐름으로 변동할까? -경기변동 국면 / 269
3. 경기변동의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경기변동의 유형 / 271
4. 경기 예측은 어떻게 하는가? -경기를 예측하는 각종지표 / 273
5. 경기 예측의 약방 감초 -선행종합지수 / 277
6. 경제안정화 정책이란 어떤 것일까? / 280
7. 정부는 경제안정을 위해 어떤 정책을 취할까? / 282
8. 한국은행은 경제안정을 위해 어떤 정책을 취할까? -한국은행의 경제안정화 정책 / 286
9. 왜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에 대해 서로 비판할까? / 288

제14장 국제무역과 환율, 경제통합
1. 국제무역은 왜 하는가? -무역의 본질 / 296
2. 자유무역은 왜 당사국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가? -자유무역의 의의 / 298
3. 국제수지표는 무엇을 말해 주는가? -국제수지표 / 303
4. 환율은 무엇이며 우리 생활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환율의 역할 / 306
5. 환율 결정의 기본 원리는 무엇인가? -환율결정의 메커니즘 / 307
6. 우리나라는 어떻게 환율을 결정하는가? -시장평균환율제도 / 310
7. 글로벌시대의 특징은 무엇인가? -각 나라의 상호의존성 증대 / 313
8. WTO시대에 한국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WTO와 한국경제 / 314
9. 오늘날 세계경제는 어떠한 질서 속에서 움직이고 있는가? -세계주의와 지역주의의 혼재(FTA 시대) / 317

· 찾아보기 / 320

회원리뷰 (1건) 리뷰 총점8.0

혜택 및 유의사항?
구매 생활 속 경제원리 리뷰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닝* | 2021.06.27 | 추천0 | 댓글0 리뷰제목
대학 교수님 추천으로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역시 추천받은만큼 경제의 전반적인 개념들에 대해 꼼꼼하게 나와있고 내용들이 잘 구성되어 있어서 혼자서 학습하기에도 좋았습니다. 특히 각 개념들에 대해서 예시들이 잘 나와있어 어려운 경제 용어들의 학습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경제에 대해 처음 공부하면서 어렵게 생각 했었는데 이 책을 통해  쉽게 배울 수 있었;
리뷰제목

대학 교수님 추천으로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역시 추천받은만큼 경제의 전반적인 개념들에 대해 꼼꼼하게 나와있고 내용들이 잘 구성되어 있어서 혼자서 학습하기에도 좋았습니다. 특히 각 개념들에 대해서 예시들이 잘 나와있어 어려운 경제 용어들의 학습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경제에 대해 처음 공부하면서 어렵게 생각 했었는데 이 책을 통해  쉽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 경제의 개념들과 원리들에 관심이 있거나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드립니다!

댓글 0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한줄평 (1건) 한줄평 총점 8.0

혜택 및 유의사항 ?
구매 평점4점
경제 개념들을 배우기에 좋아요.
이 한줄평이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닝* | 2021.06.27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23,0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