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The Cardigans - The Best Of Cardigans
CD

The Cardigans - The Best Of Cardigans

[ 2CD ]
Cardigans 노래 | Universal / UM3TV | 2008년 02월 12일   저자/출판사 더보기/감추기
리뷰 총점9.5 리뷰 2건
판매가
24,600
할인가
20,000 (19% 할인)
추가혜택
쿠폰받기
혜택모음
현대카드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매일 2008년 02월 12일
시간/무게/크기 105g | 크기확인중

음반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디스크 디스크 보이기/감추기

CD 1
CD 2

아티스트 소개 (1명)

전문가 리뷰 전문가 리뷰 보이기/감추기

The Cardigans [The Best Of The Cardigans]
성문영
The Cardigans [The Best Of The Cardigans] Come On and Love'em Now

코커스파니엘 한 마리가 힘차게 뛰어오는 재킷의 [Emmerdale] 음반을 스웨덴 출신 신인 밴드라고 하면서 소개 받았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그게 벌써 14년 전의 일이라니. 정식 데뷔 연도로 따지면 물경 16년. 깜짝 놀랄 일이다. 하긴, 이 정도 연배면 이들을 언제까지나 소녀풍 팝으로만 묶어둘 수도 없을 노릇이고, 이번에 공개되는 이들의 두 장짜리 첫 베스트 앨범을 꽉 채운 46곡(거의 박스셋 수준이랄까)이 아마도 그 점을 여실히 증명할 것이다 - 듣기 전에도 어느 정도 예상한 거였지만 듣고 난 다음은 거의 확신하는 바이다.

카디건스에게 가해진 가장 부당한, 그리고 흔한 평가라면 60년대 팝을 영리하게 혹은 아이러닉한 방식으로 재생하는 밴드라는 말일 것이다. 심지어 '캠프'라는 말까지 듣기도 했다. (거기에 90년대에 한 유파를 이루다시피 한 여성 프론트우먼이 전면에 나선 그룹이라는 사실까지도.) 아까 잠깐 묘사했던 것과 같은 단순히 소녀 취향의 달고 또 달기만 한 복고풍 팝이라는 말은 그에 비하면 그닥 비판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을 정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초창기 1~3집까지(가사를 고려하면 2집까지만) 보여주었던 노래들은 호기심에 한번 해봤다고, 혹은 방법론적인 면에서의 일종의 농담이라고 생각하기에는 정말로 심각하게 잘 복구된 빈티지한 질감의 60년대 순진 시절 선샤인 팝송들이었고, 이 모든 것들에 대해 이 밴드 카디건스는 (이를테면) 영국식의 냉소적인 아이러니나 풍자 따위 대체 뭔 소리냐 싶게 본심 그대로 전력투구한 상태였기 때문에, 나중에 바즈 루어만의 영화 '로미오+줄리엣' 사운드트랙을 통해 [Lovefool]로 전세계적 히트를 터뜨리면서 미국에까지 입성했을 당시 '지금 와서 이런 사운드를 지향하다니 혹시 영리한 아이러니 집단 아니냐'는 말을 집중 들었을 때 이들이 조금은 상심했을 법도 하다.

지금 와서 탓을 해봐야 밴드 자신들밖에 없겠지만, 그와 같은 오해가 생기게 된 부분적인 이유라면 가장 처음 카디건스의 음악적 방향을 설정하는 데 크나큰 영향력을 행사한 (90년대 스웨디쉬 팝의 대명사) 프로듀서 토어 요한손(Tore Johansson - Franz Ferdinand, OK Go, Sophie Ellis Bextor 등 담당)에게도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시점상 대외적으로 요한손과 카디건스의 명성이 거의 동시에 발진하기 시작한 점을 생각해본다면 오늘날 우리가 스웨디쉬 팝이라고 부르는 어떤 전형성 또한 이들을 통해 어느 정도 그 토대를 드러냈다고 할 것이다. 그는 94년 경 당시 자신이 갓 만든 스튜디오 '탬버린'으로 보내져온 다수의 데모 테입 가운데서 카디건스를 발견했고, 그들을 스웨덴 제3의 도시인 말뫼로 초대해(카디건스는 그때 아직 자신들의 출신지인 중심부의 작은 기독교 마을 욘쾨핑에 있었다) 데뷔 앨범 [Emmerdale]을 제작했다. 이때 그는 밴드의 메인 송라이터였던 피터 스벤손과 긴밀히 작업하면서 사운드의 방향성을 60년대 팝으로 잡을 것을 제안했고 카디건스는 이에 동의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그 방향성은 [Emmerdale]의 스웨덴 자국 내 히트와 [Carnival], 그리고 [Lovefool]등의 세계적 성공을 통해 효과를 입증 받았다.

그래서 카디건스가 진화를 모색했던 후반기 앨범들, 곧 [Gran Turismo], [Long Gone Before Daylight], 그리고 가장 최근작인 [Super Extra Gravity]의 다양한 시도들은 도무지 해맑기만 한 초창기 사운드가 이미 각인된 사람들에게는 독해가 그리 쉽지만은 않았을 것이라 추측된다. 하지만 이들의 변화는 계속 노래를 듣다 보면 꽤 자연스럽다. 스웨디쉬 팝이라는 하나의 컨벤션에 묶여 있으면 보이지 않는 것들이 팝이라는 넓은 틀에서 읽히는 것이다. 사실 알고 보면 밴드 결성의 주축이 되었던 피터와 베이스 주자 마그누스는 키스(KISS)의 팬들답게 십대 시절부터 하드록 밴드에서 연주를 함께 했던 사이이고(카디건스가 블랙 사바스 곡을 대놓고 두 번 이상 커버했던 것도 영 뜬금없는 게 아니었다), 다만 중간에 비틀즈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던 것이 카디건스의 결성으로 이어져 그 의도에 상응하는 결과물을 의도에 따른 방법론대로 결성 초반에 내놓을 수 있었던 것이다. (보컬 니나의 증언에 따르면 하드록 밴드에 있었을 때에도 저들 두 명의 음악은 그다지 하드록과 100% 맞진 않은 느낌이었다고.) 그리고 카디건스의 사운드 정체성에 화룡점정을 완성하는 밴드의 아이콘 니나의 음색과 스타일 또한 단순히 60년대 팝만을 연주하기엔 상당히 복합적인 매력이 있다. 이번 베스트 앨범 수록곡 중 [Higher]에서 들리는 가스펠 분위기나 [The Road], [If There Is A Chance]의 블루스, [Live And Learn], [Country Hell](프로듀서 요한손의 '탬버린'에 이은 두 번째 스튜디오의 이름이다) 등에서의 컨트리 필은 아무리 봐도 급조된 것이 아니다. 그녀 자신이 말하듯 카디건스 초반의 자신의 '도리스 데이' 역할 만큼이나 그녀는 닐 영과 돌리 파튼, 에밀루 해리스를 내심 좋아하고 모리씨의 작사를 존경하는 송라이터이기도 한 것이다. 그녀가 카디건스 이전에 노래를 해본 경력이 거의 없는 풋내기였다는 점은 지금도 사실 살짝 믿기지 않는다.

오랜 시간 동안 하나의 밴드가 이어지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변화를 시도하고자 하는 자의식적인 발로가 생기기 마련. 그것이 비록 [Lovefool]만큼의 대대적인 상업적 성공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해도, 예컨대 [Long Gone Before Daylight] 작업 도중에 토어 요한손을 '해고'하기까지 했던 것은 어쨌든 쉽지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기에 적어도 그들의 의도에는 전적으로 공감하게 된다. 그리고 사실 결과가 그렇게 어둡지도 않았다 - [Gran Turismo]는 알고 보면 카디건스 앨범 중 가장 많이 팔린 작품(3백만 장)이었고 [Long Gone Before Daylight]도 스웨덴에서 더블 플래티넘을 획득했다. 알고 보면 실속도 있었던 것이다.

총 46곡에 이르는 이번 베스트 앨범을 들으면서는 두 번 행복감을 맛보게 된다. 일단 첫 번째 디스크에 실린 이른바 '정규' 베스트 트랙들은 멤버들이 직접 고른 곡들로, 싱글 위주의 셀렉션이다. ([Life]에서의 [Hey! Get Out Of My Way]가 제외된 것은 조금 아쉽지만.) 초반의 [Sick & Tired]-[Carnival]-[Lovefool] 등의 진행이 보여주는 지복의 행복감은 역시 90년대 스웨디쉬 팝의 극치점이라 할 만큼 우리의 회고적 시점을 정당화해준다. [My Favourite Game], [Hanging Around], [For What It's Worth] 등의 후반기 작품들도 시간순으로 배열된 트랙리스트의 맥락 안에서 매끄럽게 진행된다. 하지만 기대하지 않았기에 더욱 큰 행복감을 가져다주는 두 번째 지점은 보너스 디스크로 커플링된 CD2 전부이다 - B면곡들과 미발표곡들이 이들 카디건스의 경우에는 그냥 생각해서 주는 덤이 아니라 밴드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했던 미싱 링크라는 확신이 계속해서 들 만큼. [Rise & Shine]과 함께 이들 최초의 작곡물들로 언급되곤 하는 [Pooh Song]과 [Plain Parade]는 싱글 B면곡으로 배당 받기엔 정말 너무 예쁜 노래다. 그리고 'puck version'으로 명명된 어쿠스틱 버전의 [Lovefool]과 [Carnival](여기서는 피터가 리드 보컬을, 니나가 백업을 맡고 있다)은 오리지널 버전과 거의 대등한 존재감을 준다. 여기에 [Happy Meal 2]와는 살짝 다른 가사를 보여주는 해당 곡의 초기 버전 [Happy Meal 1]이라든가 [Nasty Sunny Beam]과 [Blah Blah Blah]는 아예 독자적인 싱글로 내도 좋았을 만큼 밴드 피크 시기의 놀랄 만한 창작 퀄리티를 반증한다. 이 두 번째 디스크 역시 밴드가 직접 고른 곡들로 선정되어 있다.

양말도 모자도 아니고 가디건이라니, 정식 이름 짓기 전의 무슨 임시 가제인 양 밴드명이 왜 이러냐고 뜨악해했던 적도 있지만(하긴, 국내 밴드 중에도 스웨터란 팀이 있긴 하다-_-), 그 몰개성적인 이름을 찬란히 비웃을 만큼의 확실한 결과물을 이들이 세계 팝 세상에 내놓은 사실만큼은 부인할 수 없는, 훌륭한 의외의 사실이다. 지금 멤버들은 카디건스 외에 각자 자신들의 솔로 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가정을 꾸린 상태로서 현재의 시간을 이어가고 있다. (그 중 니나의 남편은 '소년은 울지 않는다'와 '스토리텔링' 등을 맡은 바 있는 미국의 영화음악 작곡가 네이던 라슨이다.) 얼마 전 뜻하지 않은 경로로 이들 카디건스를 회상해볼 기회가 있었는데, 그것은 TV에서 방영한 국내 오락 프로그램 '무*도전'의 댄스 도전기 편으로, 댄스 스포츠 경연장 무대를 보자마자 자동적으로 카디건스의 [Carnival] 뮤직비디오가 떠오른 것이었다. 나의 경우 카디건스에 대한 그 전까지의 인식을 처음으로 재조정한 계기가 되었던 그 비디오에서 니나와 멤버들은 지금 봐서는 심지어 조금 바보스러울 정도로 정말 깨끗하고 멋지고 사랑스러운 모습들이었고, 이것이 아마도 (조금 비약하자면) 비디오 내 시상자들도 트로피를 댄스 참가자들이 아닌 니나에게 헌정한 이유였을 것이다. 말하자면 지금 이 베스트 앨범을 받아든 기분이 그와 비슷하다. 미래의 시간이 어떤 식으로 이들에게 풀려나갈지는 알 수 없으나, 적어도 지금까지의 이 모든 노래들에 대해, 그리하여 90년대 최고의 팝 순간 중 하나를 제공해 준 것에 대해 이들에게 어떻게든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는.

(080124. 성문영) THE CARDIGANS history
1992년 친구 사이인 피터 스벤손과 마그누스 스베닝손은 이전까지의 하드록 음악을 접고 여성이 프론트에 선 팝 그룹을 만들고 싶다는 열망으로 카디건스를 결성한다. 자신들과 비슷한 예술학교 배경에다 친구들 인맥 등을 통한 나머지 멤버들, 즉 벵트 라예베리, 니나 페르손, 라스-올로프 요한손을 맞아들인 후 이들은 고향 욘쾨핑을 떠나 말뫼로 이사한다. 기타 외에 다수의 악기를 연주할 줄 알았던 피터가 밴드 작곡의 대부분을 맡고 마그누스와 니나가 주로 가사를 담당하는 체제로 점차 자리를 잡으면서, 94년도에 작은 지방 레이블을 통해 데뷔 싱글 [Rise & Shine]을 내놓자마자 스웨덴 내 스톡홀름 레코드사와 계약을 맺고 [Emmerdale]을 발표하여 스웨덴 내 유력 음악지 '슬리츠'로부터 그해의 베스트 앨범으로 선정되는 쾌조의 출발을 하였다. 이후 두 번째 앨범인 [Life]는 신곡과 첫 앨범 [Emmerdale]의 수록곡을 반반씩 섞은 세계 시장 공략용으로 출반되었고, 여기서 [Carnival]이 미국 대학가 라디오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스웨덴 이외의 지역으로도 이들의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 직후 메이저 레이블인 머큐리와 계약을 맺고 내놓은 [First Band On The Moon]은 싱글 [Lovefool]의 히트와 함께 소속사의 기대에 부응하였으나, 이로는 부족하다는 듯 싱글 발매 및 차트 진입이 모두 이루어진 이후에 바즈 루어먼 감독이 자신의 영화 '로미오+줄리엣'에 카디건스 곡을 쓰고자 요청하여 이에 제공한 [Lovefool]이 다시금 전번의 인기를 완전히 능가하는 형태로 히트함으로써, 앨범도 덩달아 재부스팅되어 명실공히 이들의 최고 피크기를 구가하게 된다.

이후 영화 '이완 맥그리거의 인질' 사운드트랙에 [War]를, 'X파일' 사운드트랙에 [Deuce]를 제공하고, 토어 요한손의 두 번째 스튜디오인 '컨트리 헬'에서 네 번째 앨범 [Gran Turismo]를 제작한다. 첫 싱글이었던 [My Favourite Game]은 동향 스웨덴 출신의 유명 뮤비 감독 요나스 오컬룬드가 만들었으나 비디오 내용이 방송에 부적합하다는 판정을 들을 만큼 의외의 논란을 낳기도. 이후 몇 년 간의 간격을 두고 각각 [Long Gone Daylight]과 [Super Extra Gravity]를 발표해왔다. 현재 멤버들 중 니나는 어 캠프(A Camp), 마그누스가 라이처스 보이(Righteous Boy), 그리고 피터가 파우스(Paus, 발음은 정확치 않다, 동향 밴드 켄트 Kent 출신의 요아킴 보리도 여기 멤버이다) 등의 솔로 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다.

THE CARDIGANS members

니나 페르손(Nina Persson) - 보컬
피터 스벤손(Peter Svensson) - 기타
벵트 라예베리(Bengt Lagerberg) - 드럼
마그누스 스베닝손(Magnus Sveningsson) - 베이스
라스-올로프 요한손(Lars-Olof Johansson) - 키보드, 기타
THE CARDIGANS discography
[Emmerdale] (1994)
[Life] (1995, 수록곡 일부는 Emmerdale과 중복)
[First Band on the Moon] (1996)
[Gran Turismo] (1998)
[The Other Side of The Moon] (1999, 싱글B면곡 및 희귀곡 모음/일본과 호주만 발매)
[Long Gone Before Daylight] (2003)
[Super Extra Gravity] (2005)
[Best of The Cardigans] (2008)

회원리뷰 (2건) 회원리뷰 이동

한줄평 (0건) 한줄평 이동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배송/반품/교환 안내

배송 안내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배송 구분 예스24 배송
  •  배송비 : 무료배송
포장 안내

안전하고 정확한 포장을 위해 CCTV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님께 배송되는 모든 상품을 CCTV로 녹화하고 있으며,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 과정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목적 : 안전한 포장 관리
촬영범위 : 박스 포장 작업

  • 포장안내1
  • 포장안내2
  • 포장안내3
  • 포장안내4
포스터 안내
  •  구매하신 상품에 포스터 사은품이 있는 경우, 포스터는 상품 수량과 동일한 수량이 제공됩니다.
  •  포스터는 기본적으로 지관통에 포장되며, 2장 이상의 포스터도 1개의 지관통에 담겨 발송됩니다.
  •  포스터 수량이 많은 경우, 상황에 따라 지관통 추가 및 별도 박스에 포장되어 발송될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과 관련한 안내가 있는경우 아래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반품/교환 방법
  •  고객만족센터(1544-3800), 중고샵(1566-4295)
  •  판매자 배송 상품은 판매자와 반품/교환이 협의된 상품에 한해 가능합니다.
반품/교환 가능기간
  •  출고 완료 후 10일 이내의 주문 상품
  •  디지털 콘텐츠인 eBook의 경우 구매 후 7일 이내의 상품
  •  중고상품의 경우 출고 완료일로부터 6일 이내의 상품 (구매확정 전 상태)
반품/교환 비용
  •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 반송비용은 고객 부담임
  •  직수입양서/직수입일서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20%를 부과할수 있음

    단, 아래의 주문/취소 조건인 경우, 취소 수수료 면제

    •  오늘 00시 ~ 06시 30분 주문을 오늘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오늘 06시 30분 이후 주문을 익일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직수입 음반/영상물/기프트 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 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30%를 부과할 수 있음

    단, 당일 00시~13시 사이의 주문은 취소 수수료 면제

  •  박스 포장은 택배 배송이 가능한 규격과 무게를 준수하며,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의 반송비용은 박스 당 부과됩니다.
반품/교환 불가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 전자책 단말기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예) CD/LP, DVD/Blu-ray,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eBook 대여 상품은 대여 기간이 종료 되거나, 2회 이상 대여 했을 경우 취소 불가
  •  중고상품이 구매확정(자동 구매확정은 출고완료일로부터 7일)된 경우
  •  LP상품의 재생 불량 원인이 기기의 사양 및 문제인 경우 (All-in-One 일체형 일부 보급형 오디오 모델 사용 등)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소비자 피해보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반품,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  대금 환불 및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