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08년 08월 13일 |
---|---|
쪽수, 무게, 크기 | 320쪽 | 148*210*30mm |
ISBN13 | 9788991510760 |
ISBN10 | 8991510760 |
발행일 | 2008년 08월 13일 |
---|---|
쪽수, 무게, 크기 | 320쪽 | 148*210*30mm |
ISBN13 | 9788991510760 |
ISBN10 | 8991510760 |
옮긴이의 말 한국어판 발간에 부쳐 저자에 관하여 책을 내며 이 책에 대하여 1· 조선의 지리와 산천 2· 이 땅에서 나는 것들 3· 간추린 조선의 역사 4· 조선의 영혼, 서울 5· 마을, 조선의 기본 단위 6· 이 나라에는 home이 없다 7· 여행객들의 쉼터, 주막 8· 남자들의 짧은 소년 시절 9· 자유롭지 않은 존재, 양반 10· 불공평한 삶으로 태어난 소녀들 11· 속박의 굴레에 갇힌 여인들 12· 남자들만의 전당, 서당 13· 조선의 뿌리, 농민 14· 만능 재주꾼, 장인들 15· 조선의 동력, 시장과 상인들 16· 사람을 병들게 하는 한의사들 17· 팔려가는 신부, 혼사 18· 정형화된 슬픔의 의식, 장례 19· 정의와는 거리가 먼 사법 체계 20· 오랜 지배자, 토속신앙 21· 방방곡곡으로 뻗는 교회들 22· 주님의 참 일꾼, 조선의 신도들 23· 조선의 미래, 마을 교회 |
1900년대 조선은 허약한 조선왕조의 모습과 일본이 조선을 병탄하려 치밀한 계획이 진행되고 있던 시절이라 언제 어떻게 조선이 흘러 갈지 한 치 앞을 내다 볼 수 없었던 시절이었다고 생각한다.1900년은 국내에선 경인철도가 완성되었던 해이고,독립협회가 자주국권,자유민권,자강개혁의 사상을 가지고 추진했던 민권운동이 국민들의 시민의식을 성장시키는 촉매제가 되기도 했다.
이렇게 조선 국내외적으로 민권운동,일본의 팽창이 이루어진 때에, 한 미국 선교사 부부의 조선 시골 체험기는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선조들의 생활상과 선교사 부부가 사랑과 애정으로 다가 서려 했던 조선의 자연,제도,습속,비인간성과 부정의,무위도식하던 양반 계급,학대받는 여성의 모습이 있는 그대로 전해져 오는거 같다.
무스 선교사의 눈에 비친 조선의 대지는 아름답고 풍요한 어머니상이며,조선의 백성은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희망의 아들과 딸들로 여겨지지만,조선을 삼키려는 일본의 야욕에 가증스러움을 느끼고 있다.반면 무스 선교사는 조선의 시골 마을을 기적의 요람으로 삼고 그들에게 따뜻한 복음을 전파한다.무스 부인 역시 남편이 선교활동을 하면 뒤에서 조선의 지역민들의 성직자로 봉사하기도 했다.
'백의민족'이라는 말이 실감이 나도록 조선의 백성들은 남녀노소 할거 없이 흰 광목으로 된 치마,저고리,바지를 입고,상투와 망건,머리 따기를 하던 모습은 영락없는 조상들의 모습이었다.한강,낙동강,대동강의 수로는 조선의 교역에 중심역할을 하고,1904년 제물포항의 모습은 인파로 북적이는데,물자교역이 주로 일본에 의한 것이다.
1만개의 섬,인구는 1,200만(남북한 모두 합쳐),극동 최고의 기후를 예찬하고 있는 벽안의 무스 선교사에게는 평화롭고 순박한 조선 사람들이 일본에게 겪을 갖은 수탈과 탄압 등을 생각하니 가증스럽기 짝이 없었을 것이다.조선 왕조가 왕과 신료들간의 심한 알력과 국권을 제대로 챙기지 못한 소이도 컸고,유교주의에 오래도록 천착되다 보니 백성들의 무지몽매,구태적인 인습 등도 삶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았나 싶다.
산을 넘어 장에 갔다 돌아가는 길에 잠시 담배를 피우며 휴식을 취하는 남정네들,모래를 씻어 육안으로 사금을 찾아 내는 사람들,원산지역의 추수하는 모습,다듬이질을 하고 있는 고부간의 모습,초라한 입성으로 절구질을 하고 있는 여자아이의 모습,왁자지껄하면서도 풍성함이 가득찬 시골 장터의 모습,여행객들의 쉼터였던 주막의 풍경,겨울이 오기 직전 김장을 담그는 아낙들의 정겨운 모습 등이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생계를 꾸려 가기 위해 짚신과 땔감을 팔아야 했고,조혼 풍습이 있어 부모가 짝지어 준 사람과 무조건 혼인식을 올리며,나이가 비록 위라도 결혼을 하지 않았으면 결혼을 하여 나이가 어린 사람일지라도 반말을 해서는 안되던 인습,특별한 교통 수단이 없었기에 몇 십리 길을 짚신을 신고 걷고 뛰던 1900년대의 조선의 모습은 곧 닥칠 일제 강점기의 암울한 전조이기라도 하듯 백성들의 빈한하고 활기없는 모습이 안타깝고 안스럽기만 하다.
선교사로 조선을 택한 저자 무스 선교사 부부의 조선 시골 체험기는 후대를 사는 내게 당대를 이해하고 역사적 교훈을 느끼게 하는 계기가 되엇다.무스 선교사 부부가 만나고 성경을 공부하던 시골 사람들의 열기로 가득찼던 순수한 모습도 인상에 남는다.흑백으로 된 사진이지만 이것을 컬러로 바꾼다 해도 색상은 흰색,흙색,파란색,녹색 정도일 정도로 단순함과 소박함으로 가득차 있지만 그 속에는 아름다움과 풍요로운 어머니의 넓은 마음이 전해져 오는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