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2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베스트
사회과학 계열 top20 1주
정가
29,000
판매가
26,100 (10% 할인)
구매 시 참고사항
신상품이 출시되면 알려드립니다. 시리즈 알림신청
eBook이 출간되면 알려드립니다. eBook 출간 알림 신청
분철서비스 시작 시 알려드립니다. 분철서비스 알림신청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09년 07월 15일
쪽수, 무게, 크기 922쪽 | 153*224*40mm
ISBN13 9788980071753
ISBN10 8980071752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저자 소개 관련자료 보이기/감추기

저자 : 김교성 金敎誠
미국 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Welfare State Development: Event History Analysis of Social Insurance Legislation in 18 Economically Advanced Capitalist Countries), 현재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관심분야는 비교사회정책, 복지국가, 소득보장이다. 최근 저서로는 『동아시아 사회복지연구』(공저, 2007)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A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Strategies for an Aging Society: with Special Reference to Pension and Employment Policies”(공저, 2008), “사회투자전략에 기초한 복지국가의 유형과 성과”(2008), “도시 근로자 가구의 빈곤추이와 원인에 관한 연구”(2007) 등이 있다. 연락처 kyoseong@cau. ac.kr
저자 : 김성원 金成垣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동경대학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논문: 福祉國家形成の韓國的經驗(복지국가형성의 한국적 경험), 2007), 현재 동경대학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Research Fellow)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동아시아 복지국가론이다. 최근 저서로는 『後發福祉國家論――比較のなかの韓國と東アジア』(후발복지국가론: 비교 속의 한국과 동아시아, 2008)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新自由主義と福祉政策”(신자유주의와 복지정책, 2004), “生産的福祉と韓國福祉國家性格論爭”(생산적복지와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2005) “日本における福祉國家硏究:―2つの潮流とその合流”(일본에서의 복지국가연구: 두 가지 조류와 그 합류, 2008), “中國の福祉改革と公共性”(중국의 복지개혁과 공공성, 2009) 등이 있다. 연락처 wonn45@hotmail.com
저자 : 김연명 金淵明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사회정책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같은 학과의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복지국가, 사회보장(연금,의료보험), 동아시아 사회정책 등이다. 주요 연구물로는 『한국 복지국가성격논쟁 Ⅰ』(편, 2002), “사회투자와 한국 사회정책의 미래(편,2009), “Beyond East Asian Welfare Productivism in South Korea”(2008), “시장의 복지화가 필요하다: 국민연금과 의료보험에서 시장화의 쟁점”(2008)등이 있다. 연락처ymkim@cau.ac.kr
저자 : 김영순 金榮順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복지국가 재편의 두가지 길: 1980년대 영국과 스웨덴의 경험”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산업대 기초교육학부 교수로 있다. 연구관심 분야는 복지국가와 사회정책, 복지의식과 태도, 복지정치, 여성과 복지국가 등이다. 저서로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 영국과 스웨덴의 경험』(1996), 공저로 『한국의 복지정책 결정과정: 역사와 자료』(2008), 논문으로 “On the Edge of Corporatism: The Role of Swedish Women’s Associations in Promoting ‘Decent Work’”(2001), “연금개혁의 정치: 서구 3개국 사례를 통해 본 구조적 개혁의 정치적 조건들”(2006), “민주화와 복지정치의 변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2006), “사회투자국가가 우리의 대안인가”(2007) 등이 있다. 연락처 isola@snut.ac.kr
저자 : 김원섭金元燮
독일 Bremen 대학에서 사회정책학을 공부하였으며, Bielefeld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논문: Institutionalisierung eines neuen Wohlfahrtsstaates in Ostasien? Eine Fallstudie ueber Suedkorea: 동아시아에서 복지국가의 등장? 한국사례에 관한 연구). 현재 경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복지국가론, 사회보장, 비교사회정책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Die Enstehung neuer Wohlfahrtsstaaten und globale Policy-Diffusion - Das Beispiel Suedkorea: 새로운 복지국가의 등장과 국제적 정책확산, 한국의 사례”(2008), “복지국가란 무엇인가? 시민권 이론의 관점에서”(2007) 등이 있다. 연락처 wskim02@gnu.ac.kr
저자 : 김진욱 金鎭郁
영국 Bath 대학에서 사회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논문: Welfare Mix in Korea 1987-2002: Dynamics of Environments, Institutions, and Welfare Politics, 2004), 현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관심 분야는 복지혼합, 빈곤 및 소득분배, 가족정책, 사회서비스 등이다. 주요 연구논문으로는, “Dynamics of the Welfare Mix in the Republic of Korea: An Expenditure Stydy between 1990 and 2001”(2005), “한국 사회서비스 공사역할분담 개혁방향에 관한 연구”(2007), “So Near, Yet so far: connecting welfare regime research to policy learning reseach”(공저, 2009) 등이 있다. 연락처 sspjwk@ sogang.ac.kr
저자 : 남찬섭 南燦燮
연세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논문: 복지국가에 있어서의 분배정의: 정치철학적 정의론과 일반인들의 분배정의인식, 199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연구원,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전문계약직을 거쳐 현재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사회복지정책, 복지국가론, 장애인복지이다. 최근 연구실적으로는 『동아시아 사회복지연구』(공저, 2007), “한국복지정치의 딜레마: 낮은 조세능력과 자가복지로 인한 한계에 중점을 두어”(사회복지연구 제38권, 2008), “장애인 고용실태의 특성 및 그 배경과 개선방향”(사회복지정책 제33권, 2008) 등이 있다. 연락처 csnam@ dau.ac.kr
저자 : 문성현 文成炫
일본 교토(京都)대학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의료보험제도의 경제분석-형평성의 관점에서, 2002), 현재 백석대학교 경상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보건정책, 사회보험정책이다. 최근 저서로서는 『2009년도 산재보험요율 산정방안』(2008), “산재보험제도의 재정 안정화 방안”(2006) 등이 있다. 연락처 zawameki@hanmail.net
저자 : 문진영 文振榮
영국 University of Hull에서 철학박사를 취득하고(논문: The Development of Welfare Programmes: The Case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aiwan, 1994), 현재 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사회적 배제와 빈곤, 그리고 유럽연합의 사회정책이다. 최근 저서로는 Ageing and the Labour Market: Issues and Solutions(공저, 2006), 『복지체제와 노동체제의 정합성: 1987년 이후 생산주의적 복지체제의 동학』(공저, 2008)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동유럽(CEE) 국가의 사회적 배제 현상과 복지체제에 관한 연구”(2008), “A Study of the Enactmen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Role of NGOs”(2008) 등이 있다. 연락처 jymoon@sogang.ac.kr
저자 : 백승호 白承浩
서울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복지체제와 생산체제의 제도적 상보성에 관한 비교사회정책 연구, 2005), 현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복지국가, 비교사회정책, 제도주의이론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한국복지국가 지출구조분석”(2007), “한국복지국가 지출변화결정요인분석”(2008) 등이 있다. 연락처 livevilsh@daum.net
저자 : 석재은 石才恩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논문: 노인 장기요양 보호의 공급주체간 역할분담 유형에 관한 비교연구: 비용부담과 보호제공을 중심으로. 199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 연구분야는 노후소득보장(연금), 돌봄서비스, 젠더와 복지정책 등이다.” 최근 저서로는 『한국사회의 신빈곤』(공저, 2006), 『사회서비스 제도화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공저, 2006), 『세계화·고령화시대에 국민기본생활 보장 방안: 소득-고용-돌봄 보장의 통합적 접근』(공저, 2007)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서는 “장기요양 현금급여 정책의 국가간 비교 연구”(2006),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가 개발의 특성과 평가”(2008), “돌봄서비스 사회화와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정책과제”(2008) 등이 있다. 연락처 seokje@hallym.ac.kr
저자 : 송백석 宋伯錫
영국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State Form and State Strategy: the Case of the Kim Dae Jung Regime in South Korea(1998-2003)), 현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정치이론, 자본주의국가론, 한국정치이다. 최근 저서로서 『지구화와 자본주의 국가』(2008) 가 있으며 최근 논문으로 “삼성공화국 현상과 자본주의 국가의 한계”(2007)가 있다. 연락처 bssong@korea.ac.kr
저자 : 신동면 申東勉
연세대학교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한국의 산업구조조정과 국가-기업관계에 관한 비교연구: 반도체, 조선, 신발산업을 중심으로, 1996), 영국 Bath 대학에서 사회정책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논문: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in Korea: Ideas, Networks and Linkages, 2000), 현재 경희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사회보장정책, 복지행정, 복지국가이론이다. 최근 저서로는 『동아시아 국가의 공공부조』(2008), 『사회양극화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 구상』(공저, 2007), 『일본형 복지사회 개혁』(공저, 2007)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한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적 사회정책을 위한 구상”(2007) 등이 있다. 연락처 dmshin@khu.ac.kr
저자 : 안상훈 安祥薰
서울대학교에서 학부를 마치고, 스웨덴 Uppsala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논문: Pro-Welfare Politics: A Model for Changes in European Welfare States)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주요 연구분야는 복지국가의 사회보장제도에 관한 비교사회정책과 선진자본주의에서의 복지정치이다. 최근에 발간한 저서로는 『기로에 선 중산층: 현실진단과 복원의 과제』(공저, 2008), East Asian Welfare Regimes in Transition: From Confucianism to globalisation(공저: 2005) 등이 있다. 학술지논문 중 최근에 발표된 것으로는 “한국 복지국가 지출변화 결정요인 분석”(공저, 2008), “한국 복지국가의 구조와 성격에 관한 비교사회정책연구”(공저, 2007) 등이 있다. 연락처 hoonco@snu.ac.kr
저자 : 양재진 梁在振
미국 Rutgers 대학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The 1999 Pension Reform and a New Social Contract in South Korea, 2000), 현재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사회정책, 관료제이론, 복지국가론이다. 주요 공저서로서는 『사회정책의 제3의 길: 한국형 사회투자정책의 모색』(2008), 『한국 복지정책의 결정과정: 역사와 자료』(2008)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서는 “사회투자국가가 우리의 대안이다”(2007), “한국연금제도의 대안적 개혁모형: NDC소득비례연금과 보충급여형 기초보장연금”(2006) 등이 있다. 연락처 jjyang@yonsei.ac.kr
저자 : 우명숙 禹明淑
미국 Brown 대학에서 사회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Social Welfare Policy in South Korea: An Analytic Historical Case Study, 2003), 현재 중앙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복지국가와 사회정책, 노동정책, 여성정책, 사회변동론 등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The Politics of Social Welfare Policy in South Korea (UPA, 2004). 『한국의 복지정책 결정과정 - 역사와 자료』(나남출판, 공저, 2008), “한국여성의 경제적 지위 변화와 국가의 역할: 여성주의 국가론의 국가자율성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2006), “한국의 복지제도 발전에서 산재보험 도입의 의의: 복지제도 형성과 발전주의적 국가개입” (『한국사회학』, 2007)” 등이 있다. 연락처 urijari@hanafos.com
저자 : 이상이 李相二
의학박사이자 예방의학 전문의로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 원장을 지냈으며, 현재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주임교수이자 (사)복지국가소사이어티 공동대표 겸 운영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보건의료정책이며, 최근에는 복지국가와 사회정책을 주로 공부하고 있다. 최근 저서로는 『복지국가혁명』(공저, 2007), 『한국사회와 좌파의 재정립』(공저, 2008), 『의료민영화 논쟁과 한국의료의 미래』(공저, 2008) 등이 있으며, 최근 논문으로는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s one type of new typology: The case of South Korea and Taiwan”(2008), “Inequalities in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across income groups and policy implications in South Korea”(2008), “Caregiver Burden among Caregivers of Koreans with Dementia”(2009) 등이 있다. 연락처 health21@cheju.ac.kr
저자 : 이성균 李成均
미국 위스컨신대학(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Welfare Programs for Income Security Programs in Korea and Taiwan), 현재 울산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사회불평등, 빈곤문제, 고용문제이다. 최근 저서로는 『세계화와 소득불평등』(공저, 2007년), 『경제위기와 노동시장변동』(2004년)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Economic Change and Regional Development Disparities in the 1990s in Korea”(2004), “경제위기이후 가구단위 소득구성요소와 직업의 소득불평등효과”(2008년) 등이 있다. 연락처 skleeuou@ulsan.ac.kr
저자 : 이주하 李周夏
영국 Oxford 대학에서 사회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동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비교)사회정책과 거버넌스이다. 논문으로 “Politics of Social Policy-Making in South Korea and Japan”(2008), “Governing a New Welfare Mix: Long-Term Care in Britain and Korea”(2008), “Another Dimension of Welfare Reform: The Implementation of the Employment Insurance Programme in Korea”(2009)가 있으며, 저서로는 『The Korean State』(공저)를 집필 중이다(leejooha@dongguk.edu).
저자 : 이호근 李浩槿
독일 Marburg 대학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Die Europaeische Sozialpolitik im System der Mehrebenenregulation: Vom nationalen keynesianischen Wohlfahrtsstaat zum “europaeischen schumpeterianischen Leistungsregime”, 2000), 현재 전북대학교 법과대학 사회법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노동복지, 유럽사회정책 등이다. 최근 저서로서는 『유럽정치』(공저, 2004), 『세계화와 노동개혁』(공저, 2005), 『분단의 두 얼굴』(공저, 2005), 『한국의 헌법질서와 민주주의: 과제와 전망』(공저, 2007) 등이 있다. 연락처 lhg618@chonbuk.ac.kr
저자 : 장지연 張芝延
미국 Wisconsin(Madison) 대학에서 사회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Labor Force Withdrawal and Entry Surrounding First Childbirth of Married Women, 1997), 현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소득불평등, 일과 생활의 균형,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본 복지국가 등이다. 최근 저서로는 『글로벌화와 아시아 여성: 노동과 삶』(공저, 2007)이 있다. 연락처 jchang@kli.re.kr
저자 : 전병유 田炳裕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한신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노동시장과 고용정책, 한국경제의 발전 모델과 정책 패러다임 등이다. 최근 저서로서는 『노무현 정부의 좌절: 진보의 재구성을 위한 비판적 진단』(공저, 2008), 『미래한국의 경제사회정책 패러다임 연구』 등이 있다. 연락처 bycheon@hs.ac.kr
저자 : 정무권 鄭武權
미국 Indiana 대학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State Autonomy, State Capacity, and Public Policy: The Development of Social Security Policies in Korea, 1992), 현재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복지정책, 비교정책, 행정이론이다. 최근 저서로서는 『한국의 공공부문: 이론, 규모와 성격, 개혁방향』(공저, 2007), “세계화, 민주화, 한국의 발전주의 생산레짐과 복지체제의 재편”(2008) 등이 있다. 연락처 chungmk @yonsei.ac.kr
저자 : 정홍원 鄭弘源
연세대학교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국민연금제도 개혁을 위한 정책대안의 설계, 1999), 현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사회복지정책, 사회보험, 복지전달체계 등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국민연금 제도개혁과 사회적 대화”(2008),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의 역할과 운영:가입자 단체의 역할과 정책결정에 대한 영향력을 중심으로”(2008), “고위직 공무원 인사검증시스템의 개선방안 모색”(2008) 등이 있다. 연락처 chw@khrdi.or.kr
저자 : 조병희 趙炳熙
미국 Wisconsin 대학 Madison 캠퍼스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논문: The State and Physicians in South Korea, 1910-1985: An Analysis of Professionalization, 1988), 현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보건사회이론, 의료전문직과 환자, 보건의료조직, 질병과 건강행동 등이다. 최근 저서로는 『섹슈얼리티와 위험연구』(2008),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2006) 등이 있다. 연락처 chob@snu.ac.kr
저자 : 조영훈 曺永薰
미국 UCLA에서 사회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Enterprise Unionism and the Development of the Japanese Welfare State, 1994), 현재 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복지국가이며, 저서로는 『변화하는 세계, 변화하는 복지국가』(2004), 『일본 복지국가의 어제와 오늘』(2006), 『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 창출 방안에 관한 연구』(공저, 2006) 등이 있다. 연락처 yh1cho@deu.ac.kr
저자 : 주은선 朱垠宣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논문: 금융자본의 자유화와 스웨덴 연금개혁의 정치, 2004), 스웨덴 사회보장청(RFV) 방문연구원,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원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현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연금, 복지정치, 복지국가 비교 등이다. 저서로는 『연금개혁의 정치』(2006, 한울)가 있고, 논문으로는 “스웨덴 복지정치의 기반 변화: 코포라티즘의 폐기, 혹은 변형?”(2006), “한국의 복지인식 지형: 계층, 복지수요, 공공복지 수급경험을 중심으로(공저, 2007)”, “복지인식 구조의 국가간 비교: 사민주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복지국가”(공저, 2008), “이탈리아 연금개혁의 정치와 노동조합의 역할(공저, 2008)” 등이 있다. 연락처 skyesjoo@daegu.ac.kr
저자 : 최영준 崔榮駿
영국 Bath 대학에서 사회정책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Pension reforms in East Asia: A comparative study), 현재 영국 Bath 대학교 사회정책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복지체제론, 비교연구방법론, 노령화와 연금 등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So near yet so far: connecting welfare regime research to policy learning research’(공저, 2009), ‘Business influences in pension development in Japan, South Korea, and Taiwan’ (2008), ‘Pension policy and politics in East Asia’(2008) 그리고 ‘Transformations in economic security during old age in Korea: the implications for public pension reform’ (2006) 등이 있다. 연락처 sspyjc@gmail.com
저자 : 최희경 崔姬景
영국 The University of Edinburgh에서 사회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논문: An Analysis of the Medical Professional Conflicts and Health Care Policy in South Korea, 2004), 현재 경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의료정책, 질적조사방법론, 복지정책이다. 저서로는 『한국의 의료갈등과 의료정책』(2007 출간, 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도서)이 있고, 논문으로는 “질적 자료 분석 소프트웨어(NVivo2)의 유용성과 한계: 전통적 분석방법과 NVivo2 분석방법의 비교”(2008), “노숙인의 발생원인별 유형화와 정책대안”(공저, 2008), “건강보험수가 결정과정의 정치경제학”(2007), “주요 의료단체의 정책로비과정 비교”(2006), “연구 정직성과 정보원(情報源) 비밀보호의 양립 방안 모색”(2006) 등이 있다. 연락처 hkchoi@knu.ac.kr

회원리뷰 (0건) 회원리뷰 이동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한줄평 (0건) 한줄평 이동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첫번째 한줄평을 남겨주세요.

배송/반품/교환 안내

배송 안내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배송 구분 예스24 배송
  •  배송비 : 무료배송
포장 안내

안전하고 정확한 포장을 위해 CCTV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님께 배송되는 모든 상품을 CCTV로 녹화하고 있으며,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 과정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목적 : 안전한 포장 관리
촬영범위 : 박스 포장 작업

  • 포장안내1
  • 포장안내2
  • 포장안내3
  • 포장안내4
반품/교환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과 관련한 안내가 있는경우 아래 내용보다 우선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안내에 대한 내용입니다.
반품/교환 방법
  •  고객만족센터(1544-3800), 중고샵(1566-4295)
  •  판매자 배송 상품은 판매자와 반품/교환이 협의된 상품에 한해 가능합니다.
반품/교환 가능기간
  •  출고 완료 후 10일 이내의 주문 상품
  •  디지털 콘텐츠인 eBook의 경우 구매 후 7일 이내의 상품
  •  중고상품의 경우 출고 완료일로부터 6일 이내의 상품 (구매확정 전 상태)
반품/교환 비용
  •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 반송비용은 고객 부담임
  •  직수입양서/직수입일서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20%를 부과할수 있음

    단, 아래의 주문/취소 조건인 경우, 취소 수수료 면제

    •  오늘 00시 ~ 06시 30분 주문을 오늘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오늘 06시 30분 이후 주문을 익일 오전 06시 30분 이전에 취소
  •  직수입 음반/영상물/기프트 중 일부는 변심 또는 착오로 취소 시 해외주문취소수수료 30%를 부과할 수 있음

    단, 당일 00시~13시 사이의 주문은 취소 수수료 면제

  •  박스 포장은 택배 배송이 가능한 규격과 무게를 준수하며, 고객의 단순변심 및 착오구매일 경우 상품의 반송비용은 박스 당 부과됩니다.
반품/교환 불가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 전자책 단말기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예) CD/LP, DVD/Blu-ray,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을 경우
  •  eBook 대여 상품은 대여 기간이 종료 되거나, 2회 이상 대여 했을 경우 취소 불가
  •  중고상품이 구매확정(자동 구매확정은 출고완료일로부터 7일)된 경우
  •  LP상품의 재생 불량 원인이 기기의 사양 및 문제인 경우 (All-in-One 일체형 일부 보급형 오디오 모델 사용 등)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소비자 피해보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반품,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기준(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  대금 환불 및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
  • 품절 상태입니다.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