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7년 04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504쪽 | 168*237*35mm |
ISBN13 | 9788956451800 |
ISBN10 | 895645180X |
발행일 | 2017년 04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504쪽 | 168*237*35mm |
ISBN13 | 9788956451800 |
ISBN10 | 895645180X |
글머리에 : 다학茶學의 고전 『다경茶經』에 대한 다각적 접근 5 이 책의 구성과 일러스트 해설 14 차茶에 관련된 특이한 습속 : 투차鬪茶 16 역대 『다경』의 판본 정리 18 1장 기본적 이해 : 절품인난식, 다경억고인 | 20 01 세계 최초의 다학茶學 ‘바이블’ : 『다경』 22 02 차 음용의 기원 : 신농씨 25 03 경전의 저술자 : 육우 28 04 『다경』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 : 중국 차 문화에 대한 백과사전 33 05 차와 중국 : 차 문화의 역사적 연혁 37 06 고대의 차와 정치 : 차와 관련된 정책과 법령 44 07 신비한 차의 교역로 : 차마고도 48 08 일호명향편천하一壺茗香遍天下 : 차의 세계적 전파 51 09 다인茶人의 수양의 최고의 경지 : 정행검덕 56 10 『다경』의 유가 사상 : 중용화해 59 11 『다경』에 구현된 도가의 우주관 : 청정무위 62 12 『다경』에 나타난 불가의 본심本心 사상 : 정심자오靜心自悟 65 13 차와 오행 : 금, 목, 수, 화, 토 68 14 만병지약 : 24가지 효능 72 15 도유심오道由心悟 : 다도茶道 75 16 예술로의 승화 : 다예茶藝 83 17 천리부동풍千里不同風, 백리부동속百里不同俗 : 다속茶俗 91 18 천년 전통의 중국 차 : 칠대차류七大茶類 98 19 서호용정西湖龍井, 벽라춘碧螺春 : 유구한 역사의 녹차 102 20 공부홍차의 천하 : 세계를 풍미한 홍차 105 21 철관음鐵觀音, 동정오룡차의 세계 : 천사기복天賜其福의 오룡차 108 22 진귀한 은침銀針 : 백색은장의 백차 111 23 몽정산상차夢頂山上茶 : 소이득지疏而得之의 황차 114 24 보이차의 군락 : 독특한 향기의 흑차 117 25 말리화차茉莉花茶와 매괴화차??花茶 : 꽃향기 가득한 화차花茶 120 26 마실 수 있는 골동古董 : 보이차 123 27 관음觀音처럼 미려하고 철鐵처럼 무거운 차 : 안계철관음 126 28 중국의 10대 명차 : 서호용정차, 벽라춘 129 29 중국의 10대 명차 : 황산모봉, 백호은침 133 30 중국의 10대 명차 : 군산은침, 무이대홍포 136 31 중국의 10대 명차 : 동정오룡차, 기문홍차 139 32 차의 사회적 영향(1) : 시사, 서화 142 33 차의 사회적 영향(2) : 가무, 희곡 146 34 차의 사회적 영향(3) : 혼례, 제사 149 2장 기원 : 백초양위령, 공선백초성 | 154 01 최초의 기원 : 차의 발원지로서의 중국 156 02 역사적 전승 : 차茶라는 글자가 구성된 근원 160 03 차茶의 별칭 : 역사상의 별칭과 그 해석 163 04 오대초상 : 근根, 경莖, 엽葉, 화花, 과果 167 05 생장의 관건 : 토양, 수분, 햇빛, 지형 170 06 파종의 준비 : 예藝, 식植 173 07 감별의 비법 : 세 종류의 감별 방법 176 08 인체 장부와의 조화 : 약용 성분 180 09 질병 예방의 전제 : 정행검덕지인精行儉德之人 183 10 경고! ‘차위루茶爲累, 역유인삼亦猶人蔘’ : 재료 선택의 실책, ‘육질불치六疾不治’ 187 3장 구具, 조造 : 공욕선기사, 필선리기구 | 190 01 채적 시기의 쌍익雙翼 : 능로, 영발 192 02 찻잎의 채적부터 제조까지의 공정 순서 : 칠경목 195 03 칠경목 1 : ‘채採’ 198 04 칠경목 2 : ‘증蒸’ 201 05 칠경목 3 : ‘도搗’ 204 06 칠경목 4 : ‘박拍’ 207 07 칠경목 5 : ‘배焙’ 210 08 칠경목 6, 7 : ‘천穿’,‘봉封’ 213 09 당나라 시대의 병차에 대한 비평 : 8개의 등급 216 10 감별의 상上 : 언가급언불가言嘉及言不嘉 220 11 차 변천사 : 제차 공예의 발전 223 4장 자기煮器 : 각개향만실, 노동녹응쟁 | 228 01 실용성과 예술성의 조화 : 육우가 설계한 전차煎茶기구 230 02 오행의 조화를 구현한 설계 : 풍로, ‘오행의 균형과 백질의 치유’ 241 03 자명불범自命不凡의 견증 : ‘이공갱 ’과 ‘육씨차’ 244 04 독특한 설계 이념 : 복? - 정령正令, 수중守中 248 05 당나라 시대의 병차에 적합한 특수한 용기 : 연?, 나羅, 합合, 칙則 251 06 자차 용구가 찻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녹수낭, 녹유낭 254 07 육우가 가장 선호한 찻잔 : 월요청자배 257 08 역대의 다구 : 다구 대관大觀 260 5장 고?, 자煮 : 감고조태화, 지속량적중 | 266 01 자煮의 필요성 : 색, 향, 미 268 02 지혜의 기술 : 고, 연 273 03 엄격한 선택 : ‘활화活火’ 276 04 결정적 요소 : 산수상山水上, 강수중江水中, 정수하井水下 279 05 소수燒水의 예술 : 삼비三沸 282 06 수온水溫의 형상화 : 노老와 눈嫩 285 07 자차煮茶의 예술 : 자煮, 작酌 288 08 찻물의 정화 : 말, 발, 화 292 09 짐차斟茶의 연구 : 차성검茶性儉, 불의광不宜廣 295 6장 음용飮用 : 음파방지심, 차내초중영 | 298 01 음차의 특수한 의의 : 탕혼매 300 02 음차의 최고 경지 : ‘품品’ 303 03 처처處處의 정의구정精宜求精 : 구난九難 306 04 최상의 향과 맛 : 진선복렬珍鮮馥烈 311 05 음차 풍속의 전파 : 방시침곡, 성어국조 314 06 음차 풍조의 전파자 : 불교의 승려들 319 7장 산출産出 : 하산상춘명, 하처농청천 | 322 01 당나라 시대의 차 생산지 : 팔도八道 324 02 팔도지 : 산남도山南道 327 03 팔도지 : 회남도淮南道 331 04 팔도지 : 절서도浙西道 334 05 팔도지 : 절동도浙東道 337 06 팔도지 : 검남도劍南道 340 07 팔도지 : 검중도黔中道 343 08 팔도지 : 강남도江南道 346 09 팔도지 : 영남도嶺南道 349 10 당나라 시대부터 현대까지 : 차 산지의 분포 352 11 생산지에 따른 차의 품종 : 4개의 등급 356 8장 결론 : 고아거허화, 영정은침의 | 360 01 특정한 상황에서 생략 : 제구략制具略 362 02 고아한 선비의 품격과 음차 문화 : 자구략煮具略 365 03 『다경』의 최종적 요구 : 분포사지分布寫之, 목격이존目擊而存 368 04 결론 1 : 품品에서 심오心悟까지의 세 단계의 초탈의 경지 371 05 결론 2 : 최종 목표-천시, 지리, 인화 374 부록 부록 1 『다경』 원문 378 부록 2 중국의 명차 도감圖監 424 부록 3 『다경』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간단한 용어 사전 478 옮긴이의 글 498 |
육우다경 차에 대한 고전서 중에 고전서이다
이토록 고전이 현대에도 이토록 실용적이라니 놀랍다
차 음미하기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만난 책이다
옛도서라고 믿지지 않을 정도로 잘 정리가 되어 있다
보고 이해하기가 쉽다
차를 좋아하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필독서이고 소장할 책이다라고 추천 할수 있다
오늘도 새로운 차를 만나고 육우다경을 즐독 해본다
육우의 다경에 대한 내용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차의 역사, 종류 등 방대한 내용을 담았다. 한번에 쓱 읽어 버리기 보다는 그때 그때 궁금한 사항을 찾아보기에 편리하다. 책의 구성도 텍스트와 텍스트를 도표화한 페이지가 같이 있어서 선호도에 따라 찾아보면 될 것 같다. 마치 어린시절 보던 백과사전같은 구성이라고 할까? 단 도표의 글씨가 작은 경우가 많아서 가독성이 떨어진다. 도표에 내용을 너무 많이 담은 경우도 있어서 그런 경우에도 이해하기에는 좀 힘들다. 하지만, 차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구비해 놓고 궁금한 점이 생길 때마다 찾아보기에는 좋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