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0년 10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60쪽 | 614g | 148*210*30mm |
ISBN13 | 9788901112732 |
ISBN10 | 8901112736 |
발행일 | 2010년 10월 2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60쪽 | 614g | 148*210*30mm |
ISBN13 | 9788901112732 |
ISBN10 | 8901112736 |
Intro - 목소리 여는 글 - 내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여행에서 배웠다 1부 꿈을 찾아 길 위를 걷는 사람들 사막의 밤 내 친구들의 집은 어디인가? 여럿이 함께 꾸는 꿈은 현실이 된다 한국사회에서 자유롭게 산다는 것 마음이 가는 대로 가는 거야 경계인을 꿈꾸는 친구이자 스승인 P 뜨거운 삶 생생한 언어 칼로 쓰는 시 가끔씩은 울어도 괜찮아 그녀의 손을 따뜻하게 잡아주세요 2부 외로움은 외로움을 만나 서로를 위로한다 외로움에 대하여 너에게 나의 에너지를 나눠줄게 서로의 슬픔이 되었던 그 밤 자발적 아웃사이더의 삶 꿈이라는 게 가끔은 가혹하기도 해 이 세상에 상처 없는 영혼이 있을까 핏줄, 끈끈한 그 무엇세상과 나 사이를 채워준 그의 온기 우리는 궤도를 이탈한 별들 세 번째는 아니 만났으면…… 3부 여행을 하면서 사랑하는 법을 배워간다 말 걸기 중요한 것은 영혼에 담긴다 물 한 방울의 힘 그와 주고받은 80통의 편지 친절한 이란인의 결정판 파키스탄에 울려 퍼진 〈사공의 노래〉 타인을 믿는다는 것 너무 힘들 땐 큰소리로 노래를 부르렴 우리를 두려워하지 말아요 우리가 사는 세상의 희망을 키우는 법 Outro - 젊은 여행자에게 보내는 편지 |
삶을 즐기는 방법은 여러 가지입니다. 독서를 하거나 영화를 보거나 그림을 감상합니다. 좀 더 몸을 움직이고자 한다면 여행을 합니다. 그런데 삶을 즐기는 방법이 곧 삶의 목적이라고 한다면 여행은 무엇보다도 역동적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알랭 드 보통은『여행의 기술』에서 “행복을 찾는 일이 우리 삶을 지배한다면, 여행은 그 길의 역동성을 그 열의에서부터 역설에 이르기까지 그 어떤 활동보다 풍부하게 드러내준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까닭에 여행은 단지 걷고 보는 것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우리에게 여행의 매력은 삶의 지혜를 배우는 데 있습니다.
이번 김남희의 여행 에세이『외로움이 외로움에게』는 그녀의 ‘걷기 여행’과 ‘혼자 떠나는 여행’에서 외로움을 흠뻑 적셨습니다. 그녀가 말하는 외로움은 나 혼자여서 숨 가쁘다는 그런 공허한 가슴이 아닙니다. 그녀가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의 외로움입니다. 즉 ‘사람은 저마다 애틋한 이야기를 가슴에 품고 가파른 삶의 길을 가는 외로운 순례자’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순례자들과 함께 하면서 그녀는 삶을 변화시켰습니다. 예전에는 꽃(花)을 사모했으나 이제는 잎들이 더 가슴에 사무치도록 아름다워질 수 있음을 들려주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그녀가 말하는 꽃은 화려합니다. 여행의 목적이 꽃의 화려함만을 쫓는다면 그것은 눈요기에 불과합니다. 그녀 말대로 ‘찍고 도는’ 식의 관광입니다. 물론 꽃이 무용지물이라는 것은 아닙니다. 꽃은 꽃대로 가치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꽃보다는 잎의 사소함이 더 진솔하다는 것입니다. 잎의 사소함이란 그녀가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여행의 공간에서 만난 그 사람들이 세상에 나온 모든 목숨에는 저마다의 존재 이유가 있다는 것을 온몸으로 내게 가르쳤다고 그녀는 기억했습니다.
가령, 티베트 망명정부가 있는 맥그로드 간주에서 만난 잠양의 고통은 강제적인 외부의 고통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자신의 선택에서 나온 고통이라고 한다면 어떻게 해보겠지만 어쩔 수 없는 운명 앞에서 잠양은 절망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삶의 아무런 희망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그를 변화시킨 것은 산(山)이었습니다. 그는 산에서 ‘인생은 낭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살기 위해서 존재한다는 것’을, ‘스스로 변화활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에겐 누군가 나타나 길을 열어준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런가 하면 미로와 같은 좁은 골목 때문에 길을 잃기에 딱 좋은 곳, 모로코의 페스를 누비면서 그녀는 ‘살아야겠다’는 의지를 다독였습니다. 낡고 좁고 먼지 가득한 가게들이 빼곡히 들어차있는 거미줄처럼 촘촘한 골목들을 약간의 두려움을 지닌 체 누비면서 그녀는 ‘외로움이나 슬픔 따위는 목구멍으로 넘겨야 하는 숟가락의 힘을 이기지 못하는 곳’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의 숨결과 그들의 삶의 흔적들을 살펴보고 수많은 미로 속을 거닐면서 그녀는 오늘을 살고 있는 자신을 되돌아보며 또 다른 모습으로 거듭났습니다.
그리고 일본의 NGO ‘나무늘보 클럽’의 대표를 맡고 있는 쓰지 신이치 선생님을 통해 나무늘보의 삶을 본받자,고 했습니다. 중남미 숲에 사는 나무늘보는 느리고 게으로고 단순한 동물입니다. 누가 들으면 웃겠지만 쓰지 신이치는 나무늘보의 저에너지, 순환과 공생, 비폭력의 생활양식에서 지속가능한 사회와 삶의 힌트를 얻었다고 했습니다. 이것이 3S 즉, Slow, Simple, Small입니다. 이렇듯 그녀는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로부터 ‘덜 갖되 더 충실한 삶’을 바라봤습니다.
김남희의『외로움이 외로움에게』는 여행에서 깨달은 외로움이 삶의 한 방식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녀 말대로 외로움은 외로움끼리 만나 서로를 위로했습니다. 그것은 따뜻한 온기 나는 외로움입니다. 그래서 여행이 신비로운 것은 결국 내 안에서 일어나는 ‘사랑하는 힘’을 되찾는 것입니다. 이 책과 더불어 마음의 여행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몸은 비록 일상의 벽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마음은 신영복 선생님이 말한 ‘자신의 쌓아온 생각의 성(城)’에서 스스럼없이 빠져나갈 것입니다.
<책 속 밑줄>
모두가 꽃이 될 수는 없는 세상에서 꽃만 예쁘다고 믿는 것이 얼마나 좁고 얕은 생각인가를, 이제는 꽃 아닌 것들도 다 예쁘다. p 11
누군가를 만나면 두려워하지 말고 마음껏 사랑해봐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일이 사랑하는 일이니까. p 88
자유와 외로움. 자유는 내가 내려놓지 못했던 삶의 가치였다. 외로움은 그토록 버리고 싶었으나 끝내 내치지 못했던, 한 순간도 그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내 유일한 구속자이자 오랜 벗이었다. p 132
여행이 신비로운 것은 결국 우리에게 사랑하는 힘을 가르치기 때문이 아닐까? p 256
삶의 질은 많이 갖는 데서 결정되는 게 아니라 덜 갖되 더 충실한 삶을 사는 데 있다는 것을. p 349
외로움이 외로움에게...
외롭다 외롭다 노래부르는 나에게 어느날 친구가 선물해준 책. 책 앞장에 "외로운건 나 혼자만이 아니랍니다 ^^"라는 문구를 적어 선물해줬다.
맞다. 나만 힘들고 나만 외롭고 나만 고독한건 아닌데 왜 난 이리도 외롭고 고독하고 혼자 버려진거 같은 느낌이 드는 걸까? 아직 난 성숙하지 못한걸까? 고민해 보지만 나이는 상관없는 듯 하다.
그러면 이책을 통해 외로움을 이겨낼 방법을 찾을수 있을까? 싶어 책을 펼치고 커피 한잔 마시며 읽어본다.
그녀가 만난 사람들과의 솔직한 대화들 너무나 부럽다. 가식이나 체면이 아닌 진짜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자신들의 이야기를 나눌 줄 안다는것. 아무도 모르는 곳, 낯선 곳에서 스치듯 만나는 사람들이 전부인 여행길 그곳이야말로 정말 외로운 길이 아닐까싶다.
자유로운 영혼 김남희. 그녀의 책에서 다카하시 아유무(러브앤프리)의 향기를 느낄 수 있었다.
이유는 여행기에서 느껴지는 자기 자신에 대한 되돌아봄 뿐만 아니라 그 현지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 그들과의 대화를 통해 사람들이 한번쯤 고민해보고 돌아봐야 할 문제들을 거론해주기 때문이다.
여성 차별에 대항하는 현지 여성을 위한 지원, 아이들 학교 교육을 위해 한국에 돌아와 모금 행사를 해 지원해 주는 방법들... 책은 그녀가 걸어간 길 그리고 그곳에서보고 느낀것 외에 우리에게 행동으로 무언가 하도록 마음을 움직여준다.
모르코에서 저자가 만난 젊은이가 했다는 말이 참 가슴에 와닿는다. 치솟는 물가에 일해서 번돈으로 가족 부양조차 힘들다는 그들.
"한국인 일본인들은 인생을 몰라요. 인생에 대해 다양한 경험이 부족하다는 거죠. 그들은 정말 똑똑하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죠. 하지만 예상치 못한 어려움이 닥치거나 일이 뜻한 대로 풀리지 않으면 어쩔 줄 몰라해요. 왜냐하면 늘 정해진 길을 가고, 해야만 하는 일들만 해오면서 편하게 살아왔으니까."
우리는 정말 그런것 같다. 치열함이란 이름은 대학 입시와 결혼 그리고 취업이고 그외 무수한 고민거리들은 사실 돌이켜보면 그렇게 큰문제는 아니었던것 같다.
"우리는 열서너살이 되면 먹고사는 법을 배워야 하죠. 아무일이라도 하지 않으면 당장 밥을 굶어야 하는 상황이니까. 인생에 정해진 길 같은것도 없고,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가고싶은 길이 있다고 갈 수 있는 것도 아니죠. 공부를 하고 싶다면 온갖 궂은일을 다 견내면서 혼자 힘으로 해야만 하구요. ..."
세상 곳곳에서 힘겨움은 똑 같이 생기는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여행이 주는 나의 내면과 만나는 시간 외에 타인들의 생각과 그들의 삶속에 들어가보면 그들역시 그들만의 삶의 역경에서 힘겨워하고 있음을..
이책을 읽는 내내 그녀가 찾아갔던 여행지의 느낌은 머리속에서 잠시 머물다 사라지고 오로지 그녀가 만났던 그곳의 사람들의 생활과 그들의 사고방식과 삶을 개척해가는 모습들만이 머리속에 남겨졌다.
이런 책 참 좋다.. 가슴도 따스해지고 때론 내 자신에 대해 따끔한 질책을 할수 있는 여행에세이. 그리고 책 제목이 잘못된거 같다. "외로울 땐 사람을 만나러 떠나라" 가 더 어울릴거 같다.
김남희여행가의 블로그도 즐겨찾기해두고 계속 응원의 글도 남겨야겠다. 멋지다. 그리고 꾸준히 여행을 통해 세상 곳곳의 아픔과 투쟁과 용기있는 이들의 이야기를 많이 전해줬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