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 러시아어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콘텐츠학과 석사를 마쳤다. 학부 때부터 러시아 문학과 어학에 깊은 관심을 가져 대학원 입학 후부터 다수의 러시아 관련 도서 집필 및 번역을 하기 시작했다. 지은 책으로 『러시아어 회화급소 80』 『여행 러시아어』 『러시아 여행』 『패턴 러시아어 101』 『후다닥 러시아어 회화』 『러시아어 처음 글자 쓰기』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톨스토이 단편선』 『고골단편선』 등이 있다. 현재 국내에 아직 소개되지 않은 톨스토이 단편을 번역하는 중이다.
주인공 안나는 오빠 스테판의 불륜과 그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해 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로 오게 된다. 안나의 노력으로 부부는 화해를 하게 되지만, 그곳에서 안나는 젊은 백작인 브론스키에게 한눈에 사로잡히고 만다. 한편 브론스키는 스테판의 처제 키티에게 구애하려 했으니 그 역시 안나에게 빠져든다. 키티는 브론스키가 청혼할 것으로 굳게 믿었기 때문에 귀족 레빈의 청혼을 거절해 버린다. 레빈 역시 키티에게 거절당한 후 낙담하여 시골로 돌아가 그곳에 파묻혀 지내면서, 농촌과 농민 문제에 대해 고민하며 살아간다. 한편 안나는 브론스키와의 관계를 남편에게 숨기며 그와 밀회를 계속한다. 그러나 남편은 물론이고 사교계의 모든 사람이 둘의 사이를 눈치챈다. 마침내 안나는 남편에게 사실을 대담하게 고백하고 이혼을 요구한다. 결국 안나는 브론스키의 딸을 낳고, 가족은 물론 사교계에도 커다란 파장을 일으킨다. 반면 키티는 마음의 병으로 휴양을 떠났다가 마음의 변화를 느끼며 돌아온다. 레빈은 그녀에 대한 자신의 마음이 변치 않았음을 확인하고, 마침내 둘은 결혼하게 된다. 한편 안나와 브론스키는 딸과 함께 외국을 전전하며 살아간다. 안나는 여전히 남편과의 이혼은 요원하고, 첫 아이인 아들에 대한 그리움이 커져 가자, 점점 더 브론스키에게 집착하게 되는데…….
구매안나 카레니나 더클래식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매**요|2021.02.11|추천1|댓글0리뷰제목
안나 카레니나 - 더클래식 세계무학 스페셜 에디션이다.
러시아의 유명한 작가로는 도스토예프스키와 톨스토이가 있는 것 같다. 톨스토이의 작품 중 처음으로 만나게 된 안나 카레니나.
더클래식의 번역에 대해서 좋다는 사람과 좋지 않다는 사람이 많은 걸로 알고 있다. 그런데 그냥 별 느낌을 못 받겠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한 이유로 행복하지만 불행한 가정은;
구매안나 카레니나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포**잇|2020.01.08|추천1|댓글0리뷰제목
뮤지컬 안나 카레니나를 보고 관심을 가져 원작 소설도 읽어보게 되었어요. 처음에는 안나 카레니나가 주인공이라고 생각했고, 그녀를 동정하고 연민하는 소설이겠다.. 라는 생각도 했는데 읽다보니 진짜 주인공은 레닌인것 같네요. 아마 레닌이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고 작가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삶을 그리고 있는거겠죠? 읽다보면 다 그냥 어느 정도는 동정받을 부분이 있고 어;
뮤지컬 안나 카레니나를 보고 관심을 가져 원작 소설도 읽어보게 되었어요. 처음에는 안나 카레니나가 주인공이라고 생각했고, 그녀를 동정하고 연민하는 소설이겠다.. 라는 생각도 했는데 읽다보니 진짜 주인공은 레닌인것 같네요. 아마 레닌이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고 작가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삶을 그리고 있는거겠죠? 읽다보면 다 그냥 어느 정도는 동정받을 부분이 있고 어느 정도는 비난 받을 부분도 있는, 딱 그 당시의 귀족들의 삶의 모습을 그리는 듯 합니다. 그 가운데서도 레닌과 키티의 이야기는 진정한 사랑을 찾기 위한 여정의 모습이라 로맨스적 요소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구매안나 카레니나 - 더클래식 세계문학 스페셜 에디션
내용
평점5점
편집/디자인 평점5점YES마니아 : 로얄스타블로거 : 블루스타책*기|2023.11.30|추천0|댓글0리뷰제목
더클래식 출판사에서 출간된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 리뷰입니다.
대작가로 유명한 톨스토이의 작품이라서 기대가 많았는데 역시 명작이네요.
주인공 안나를 통해 보여주는 여러 이야기들이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해줍니다.
톨스토이의 작품 중에 아직 읽지 못한 것들이 꽤 많은데 다른 작품들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잘 읽었습니다. 추천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