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법철학 이론과 쟁점

법철학 이론과 쟁점

[ 제2판 ]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베스트
법학계열 top20 5주
정가
25,000
판매가
25,000
구매 시 참고사항
eBook이 출간되면 알려드립니다. eBook 출간 알림 신청
분철서비스 시작 시 알려드립니다. 분철서비스 알림신청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7년 08월 20일
쪽수, 무게, 크기 350쪽 | 835g | 180*252*26mm
ISBN13 9791130330679
ISBN10 1130330672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제1장 법철학이란 무엇인가?1
Ⅰ. 법철학에 대한 다양한 이해방식들 _1
Ⅱ. 법철학의 개념 _3
Ⅲ. 법철학의 방법과 내용 _6
Ⅳ. 법철학의 의의 _7
Ⅴ. 맺음말 _14


제2장 법실증주의15
Ⅰ. 서 론 _15
Ⅱ. 법실증주의의 이해 _16
1. 법실증주의의 적용영역 16
2. 법실증주의의 법개념론 18
3. 법의 여러 영역에 걸친 이론으로서의 법실증주의 20
Ⅲ. 켈젠의 법이론 _22
1. 켈젠의 지위 22
2. 켈젠의 법실증주의 22
3. 근본규범론 27
Ⅳ. 하트의 법이론 _29
1. 논의의 범위 29
2. 내적 관점에 따른 법의 기술 30
3. 법실증주의론 32
4. 규칙의 특성과 재판 38


제3장 자연법론41
Ⅰ. 서 론 _41
Ⅱ. 자연법론 _42
1. 자연법론의 적용영역 42
2. 자연법론의 법개념 42
3. 자연법론의 재판이론 46
4. 자연법론의 연구방법론 47
Ⅲ. 토마스 아퀴나스의 법이론 _47
1. 법의 분류 47
2. 부정의한 법 48
Ⅳ. 풀러의 자연법론 _51
1. 절차적 자연법론과 내재적 도덕성의 원칙 51
2. 사악한 지배와 합법성의 원칙 53
3. 풀러의 절차적 자연법론에 대한 평가 54
Ⅴ. 드워킨의 자연법론 _55
1. 드워킨의 법철학계 내에서의 지위 55
2. 드워킨의 법개념 56
3. 드워킨과 자연법론 60
Ⅵ. 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의 비교 _60
1. 법개념론에서의 양자의 수렴 60
2. 연구방법론에서의 상호인정 61
3. 양자의 대립 62


제4장 법과 도덕65
Ⅰ. 법과 도덕의 관계 _65
Ⅱ. 밀과 스티븐의 논쟁 _68
1. 밀의 주장 68
2. 스티븐의 비판 71
Ⅲ. 하트와 데블린의 논쟁 _72
1. 올펜덴 보고서 72
2. 데블린의 비판 73
3. 하트의 비판적 입장 77
Ⅳ. 포르노에 관한 윌리엄스 위원회와 드워킨의 논쟁 _79
1. 윌리엄스 위원회 79
2. 드워킨의 비판 81
V. 판례에 나타난 법과 도덕의 문제 _85


제5장 정 의91
Ⅰ. 들어가는 말 _91
Ⅱ. 법과 정의의 관계 _93
1. 아우구스티누스: 법은 정의로워야 한다 93
2. 켈젠: 법은 정의와 무관하다 93
3. 재판규범으로서의 법과 정의 94
4. 검토 96
Ⅲ. 정의란 무엇인가? _97
1. 예비적 고찰 97
2.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 99
3.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의론 102
4. 칸트의 정의론 103
5. 롤즈의 정의론 104
6. 드워킨의 정의론 107


제6장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119
Ⅰ. 법에 있어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_119
Ⅱ. 의무론적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_122
1. 롤즈의 의무론적 자유주의 122
2. 공동체주의의 비판 123
Ⅲ. 정치적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_128
1.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 128
2. 공동체주의의 비판 133


제7장 권리141
Ⅰ. 권리론의 현황 _141
Ⅱ. 권리 개념의 형성 _143
1. 근대와 권리 143
2. ius와 권리 144
3. 칸트와 벤담의 권리 철학 145
4. 법실증주의의 법적 권리론 147
Ⅲ. 권리의 본질 _148
1. 의사설 148
2. 이익설 152
Ⅳ. 권리의 양상―호펠드의 이론을 중심으로 _155
1. 호펠드의 권리 분석론 156
2. 권리의 제 양상 156
3. 권리의 특성 158
Ⅴ. 권리 개념의 존재 의의 _160


제8장 법치주의163
Ⅰ. 법치주의의 의의 _163
1. 우리 법체계와 법치주의 163
2. 법치주의에 대한 불일치와 정당화 기능 164
3. 법치주의와 법률가 165
Ⅱ. 법치주의에 대한 다양한 이해 _166
1. 동아시아 문화와 법치주의 166
2. 법치국가, 법치, 법의 지배 168
Ⅲ. 법의 지배 사상의 역사적 뿌리 _170
1. 법의 지배 170
2. 이성의 우위 172
3. 상위법 174
4. 시민주권 176
Ⅳ. 법치주의의 양상 _179
1. 실질적 접근과 형식적 접근 179
2. 형식적 법치주의의 이론 180
3. 실질적 법치주의의 이론 182
Ⅴ. 법치주의의 미래 _184




제9장 법준수의무와 시민불복종187
Ⅰ. 법준수의무와 시민불복종의 논점들 _187
Ⅱ. 법준수의무 _188
1. 동의이론과 법준수의무 188
2. 공정한 경기이론과 법준수의무 191
Ⅲ. 시민불복종 _193
1. 시민불복종의 개념 및 정당화 요건 194
2. 시민불복종의 법적 정당화 여부 202
Ⅳ. 저항권 _206


제10장 법의 해석213
Ⅰ. 서 론 _213
Ⅱ. 법해석론에서의 개념들 _214
1. 법해석 214
2. 법발견과 법형성 214
3. 해석과 흠결의 보충 215
4. 법률의 문언에 따른, 법률의 문언을 넘어서는, 법률의 문언에 반하는 법해석 216
Ⅲ. 판결의 검토 _224
1. 아름다운 판결 224
2. 성전환자 호적정정에 관한 결정 226
3. 발행지를 기재하지 않는 어음의 효력에 관한 결정 230


제11장 법적 추론237
Ⅰ. 법적 추론의 의의 _237
Ⅱ. 법적 추론의 기본모델로서 법적 삼단논법 _238
1. 의 의 238
2. 법적 삼단논법의 배후근거 239
3. 서술방식 241
Ⅲ. 제1단계: 사실확정 _243
1. 의 의 243
2. 인식론의 지평에서 본 사실확정의 어려움 243
3. 사실확정의 방법 244
4. [예시사례]의 경우 250
Ⅳ. 제2단계: 법규범 구체화 _251
1. 관련 법규범 탐색 252
2. 관련 법규범 해석 253
Ⅴ. 제3단계: 사안적용 _256
Ⅵ. 전통적인 포섭이론의 한계와 법해석학에 의한 재구성 _256
1. 전통적인 포섭이론의 한계 256
2. 법해석학을 통해 재구성한 포섭과정 258


제12장 법과 젠더263
Ⅰ. 법과 젠더의 법철학적 의의 _263
Ⅱ. 법과 젠더의 상호연관성 _264
1. 개 관 264
2. 사회구조의 남성젠더 편향성 264
3. 근대법의 남성젠더 편향성 266
4. 법과 젠더의 상호연관성 267
5. 법철학의 문제영역으로서 법과 젠더 268
Ⅲ. 여성의 정체성에 관한 논의 _268
1. 개 관 268
2. 인간으로서 여성 269
3. 남성과는 다른 여성 270
4. 다원적으로 해체되는 여성 272
5. 검 토 273
Ⅳ. 여성주의 법학의 방향 _273
1. 개 관 273
2. 자유주의적 여성주의 법학 274
3. 급진적 여성주의 법학 274
4. 포스트모던적 여성주의 법학 276
5. 검 토 276
Ⅴ. 법과 젠더의 문제영역 _277
1. 법과 젠더의 대표적 문제영역으로서 “성”과 관련된 법 277
2. 성희롱의 의의 및 유형 278
3. 성희롱의 판단기준 279


제13장 법과 생명윤리283
Ⅰ. 현대 사회와 생명윤리 _283
Ⅱ. 생명윤리의 형성과 발전 _284
Ⅲ. 생명윤리에 대한 법적 접근 _287
Ⅳ. 생명윤리법학 _293


제14장 법과 정보299
Ⅰ. 정보사회와 법 _299
Ⅱ. 사이버공간의 규제 가능성과 방법 _300
1. 법을 통한 규제 300
2. 사이버 무정부주의 302
3. 법과 코드에 의한 이원적 규제 305
Ⅲ. 법적 쟁점 _307
1. 프라이버시권 307
2. 정보사회와 표현의 자유 313


제15장 법과 환경321
Ⅰ. “법과 환경”의 법철학적 의의 _321
Ⅱ. 환경문제의 구조적 특성 _322
1. 환경 개념의 다원성 322
2. 환경문제에 대한 상이한 시각 323
3. 환경문제의 복잡성 324
Ⅲ. 인간중심주의와 환경중심주의 _326
1. 인간중심주의 326
2. 환경중심주의 327
Ⅳ. 법적 쟁점 및 대응 _331
1. 법적 쟁점 331
2. 법적 대응 336

색인345

한줄평 (1건) 한줄평 총점 10.0

혜택 및 유의사항 ?
평점5점
뒤로 나아갈수록 만족스럽네요
1명이 이 한줄평을 추천합니다. 공감 1
YES마니아 : 로얄 r*****d | 2018.09.12
뒤로 앞으로 맨위로 공유하기